• 제목/요약/키워드: MW

검색결과 2,483건 처리시간 0.032초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 박윤경;나재운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419-423
    • /
    • 2011
  • 항균제 대체제로 응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SC; MW1, MW3, MW5, MW10)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항균제 대체제 사용 가능여부와 그 작용 기작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다양한 분자량 형태의 LMWSC를 이용하여 사람에게 유해한 각종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중 MW10의 항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반면 사람의 적혈구를 이용한 용혈활성 실험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MW10의 항균 효과가 세균의 어느 부분에서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박테리아의 세포막 조건(PE/PG=7/3, w/w)으로 인공리포좀을 만들었고, 여기에 MW10을 처리한 결과 세균 막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추론할 수 있었다.

매실 와인의 제조공정에 따른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의 변화와 품질 특성 (Change in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Prunus mume) wine according to preparation steps and its characteristics)

  • 조정원;김병용;최수진;정진부;김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2-47
    • /
    • 2019
  • 매실청을 제조한 후 매실을 제거하지 않은 매실청(MW1)과 매실을 제거한 매실청(MW2)을 발효하여 매실 와인을 제조하였다. 매실청은 당침 기간이 증가하면서 아미그달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매실 와인 제조과정별 아미그달린 함량을 비교하면, MW1이 MW2보다 모든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아미그달린을 함유하고 있었다. 매실청의 희석부터 효모의 첨가까지는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는 유의적이나 공정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MW1의 경우 1차 발효 후 아미그달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후 2차 발효와 병입까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MW2는 효모 첨가 후 1차와 2차 발효를 거쳐 병입될 때까지 미미하지만 유의적으로 아미그달린 함량이 감소하였다. 완성된 매실 와인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아미그달린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MW1이 MW2보다 아미그달린 함량에 있어 빠른 감소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매실 와인들의 알코올 함량은 숙성 초기에 10.11-10.94%이었으며, 3개월 숙성 후 9.87-10.30%를 나타내었고, 처리군들 사이에서 또는 숙성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pH와 적정산도는 숙성기간이 연장되면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W2에 비해 MW1의 pH는 낮고, 적정산도는 높았다. 색 특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MW1이 MW2보다 밝은 색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최근 술 소비 패턴과 최소한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높은 알코올 농도의 담금주에 매실을 재어 침출하는 침출주 형태보다는 효모에 의해 매실청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매실 발효주(와인)이 매실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pplicability of Messenger Wire for Purpose of Lightning Protection

  • Seo, Hun Chul;Han, Joon;Choi, Sun Kyu;Lee, Byung Sung;Rhee, Sang Bong;Kim, Chul Hwa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67-174
    • /
    • 2016
  • The Korean distribution line currently consists of overhead ground wires (OHGW), overhead distribution lines, neutral wires (NW), and messenger wires (MW). The MW is installed under the NW. The lightning protection system in Korea is focused on OHGW and lightning arrester and the MW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applicability of MW for purpose of lightning protec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effects of lightning overvoltag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OHGW and MW and the grounding conditions of the MW in the Korean distribution system. The grounding conditions of the MW that we took into consideration were the common or separate grounding of the MW and NW. The analysis based on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distribution pole at each condition was performed. The distribution lines and lightning were modeled using the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EMTP). For each of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OHGW and MW, the various lightning conditions were simulated and analyzed for both direct and indirect lightn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if the OHGW was not installed in the Korean distribution system, the lightning overvoltage could be reduced by the common grounding of the MW and NW.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 Fraction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Dŏdŏk (Codonopsis lanceolata)

  • Kim, Dong-Soo;Kim, Byoung-Mok;Lee, Myung-K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261-267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 (MW) fractions of crude polysaccharide from $D\check{o}d\check{o}k$ (Codonopsis lanceolata). The crude polysaccharide cut off for each fraction was: <1,000 MW (Fr I), 1,000 MW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large 2 MW and 3 MW wind turbines on existing onshore wind farms

  • Bilgili, Mehmet;Ekinci, Firat;Demirdelen, Tugce
    • Wind and Structures
    • /
    • 제32권2호
    • /
    • pp.81-87
    • /
    • 2021
  •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large 2 MW and 3 MW wind turbines operating on existing onshore wind farms using Blade Element Momentum (BEM) theory and Angular Momentum (AM) theory and illustr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turbines as a function of wind speed (U∞). To achieve this, the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two different Wind Energy Power Plants (WEPPs) located in the Hatay region of Turkey was used. Two different horizontal-axis wind turbines with capacities of 2 MW and 3 MW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and comparison. The hub-height wind speed (UD), turbine power output (P), atmospheric air temperature (Tatm) and turbine rotational speed (Ω) data were used in the evaluation of the turbin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urves of turbine power output (P), axial flow induction factor (a), turbine rotational speed (Ω), turbine power coefficient (CP), blade tip speed ratio (λ), thrust force coefficient (CT) and thrust force (T) as a function of U∞ were obtained for the 2 MW and 3 MW wind turbines and these characteristic curves were compared. Results revealed that, for the same wind speed conditions, the higher-capacity wind turbine (3 MW) was operating at higher turbine power coefficient rates, while rotating at lower rotational speed ratios than the lower-capacity wind turbine (2 MW).

Physical Origin of the Planar Alignment of Satellite Galaxies

  • Seo, Chanoul;Paudel, Sanjaya;Yoon, Suk-Jin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33.3-34
    • /
    • 2020
  • The Milky Way (MW) and other systems including M31 and Cen A have flattened structures of their satellites (Disk of Satellites, DoS). Such structures are rare in simulations under the ΛCDM paradigm. DoS is known to depend mainly on 1) the alignment of satellite orbits and 2) the degree of central concentration of satellites. In this work, we examine quantitatively how these two parameters affect the flatness of a system. We find that the MW-like DoS is rare in IllustrisTNG100 simulation because its two parameters are out of the 1-s range and furthermore the MW has a structure more flattened than the other systems having similar parameters. Besides, we propose a new criterion for the MW-like systems superseding the conventional ones such as major-minor axis ratio of the MW's DoS with a value of 0.183. Each satellite system has a specific orbital combination and thus has a particular distribution of its parameters (and thus flatness). The median of the distribution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value of each system. And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MW can be used as a new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MW-like DoS. We reconstruct the orbital combination of the observed MW satellites using GAIA DR2 data and find the systems in the simulation that have representative values similar to the new criterion from the reconstructed MW system. This allows u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rarity of MW-like DoS in cosmological simulations.

  • PDF

산소소모법을 이용한 주택 가연물 발열량 측정 (Heat Release Rate Measurements of Residential Combustibles Using Oxygen Consumption Method)

  • 최병일;한용식;김명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4-107
    • /
    • 2008
  • 산소소모법을 이용한 화재발열량 측정장치를 구성하고 대표적인 주택가연물(침대, 책상, 냉장고, 장롱)에 대하여 화재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발열량 측정 결과 최대 발열량은 각각 냉장고 1MW, 책상 0.8MW, 장롱 4.2MW, 침대 0.4MW로 나타났으며, 특히 냉장고와 장롱의 경우 화재성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위험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가용화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적용성 및 화학적 촉매의 첨가에 따른 효과 (Feasibility of Microwave for the Solubilization of Cattle Manure and the Effect of Chemical Catalysts Addition)

  • 김향기;강경환;이재호;박태주;변임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86-193
    • /
    • 2017
  • 마이크로웨이브(MW)는 유전가열에 의한 열적, 비열적 그리고 이온성 전도 효과를 가지며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가용화에 대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고형물 함량이 높은 우분을 대상으로 MW를 이용하여 가용화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MW의 유전가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적 촉매물질인 $H_2SO_4$과 NaCl을 첨가하여 우분의 가용화율과 가용화 방법에 따른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을 평가하였다. 우분 고형물 농도 12%와 MW 출력 800 W 및 설정온도 $40^{\circ}C$ 조건에서 70.5 mg $SCOD_{increased}/kJ$로 에너지 대비 최대 가용화율을 보여주었으며, 이때의 SCOD 농도는 원시료 대비 53.2% 증가하였다. 가용화 최적 조건에서 화학적 촉매로 $H_2SO_4$를 주입하였을 경우 MW 단독 처리 대비 SCOD 농도는 36% 증가하였으며, NaCl을 주입하였을 경우 22.7% 증가하였다. BMP test에서도 우분 원시료 대비 MW를 이용한 가용화는 메탄 생성량이 6.7%, $H_2SO_4$를 주입한 MW 가용화는 13.3%, NaCl을 주입한 MW 가용화는 11.3% 증가하였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는 우분의 가용화 전처리에 효율적인 수단이며, 마이크로웨이브의 가용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화학적 촉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고부하에서의 보일러 플랜트 부하변동 묘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cess Model for Description of Load Change of Boiler Plant in High Load)

  • Park, Jeong;Lee, Ki-Hyun;Yang, Li-Ming;In, Jong-Soo;Park, Seok-Ho;Kweon, Sang-Hyeok;Oh, Dong-Han
    • 에너지공학
    • /
    • 제6권1호
    • /
    • pp.41-51
    • /
    • 1997
  • 단일 드럼형 보일러를 갖는 발전 플랜트의 동특성 해석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이 모듈 개념을 기반으로 묘사된다. 현재의 프로세스 모델은 플랜트 전체 구성 요소 및 고부하에서의 부하 변동을 포함하며 lumped parameter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근된다. 플랜트 성분을 의미하는 모듈은 필수적으로 성분 특성을 잘 묘사하며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배열에 대해 압력점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프로세스 모델의 발전 플랜트 시스템에 대한 적용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100MW발전 플랜트의 실제 운전 LOG-IC을 갖는 제어 시스템에 연결하여 3MW/min 부하 변동율로 75MW에서 95MW, 95MW에서 75MW조건에 대해 조사된다.

  • PDF

김해 딴섬의 고투수성 누수 피압대수층에서 수리전도도의 규모종속효과 (The Scale-depend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in Leaky Confined Aquifer with High Permeability at the Ttaan Isle, Gimhae City)

  • 김태영;강동환;김성수;김병우;권병혁
    • 지질공학
    • /
    • 제18권4호
    • /
    • pp.415-422
    • /
    • 2008
  • 강변여과수 개발예정지역인 낙동강과 밀양강의 합류지점에 위치한 김해시 딴섬 지역에 형성된 지표면하 $25{\sim}35\;m$ 구간의 고투수성 누수 피압대수층 내 수리전도도의 규모종속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양수시험이 수행되었다. 양수시험 시 관측정은 양수정(PW)을 기준으로 남서 방항(MW1, MW2), 북동 방향(MW3, MW4)에 2 m와 5 m 간격으로 개발되었다. 양수시험은 $2,500\;m^3/day$의 양수율로 수행되었으며, 양수 후 경과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자료를 AQTESOLV 3.5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수리전도도를 산정하였다. 양수정에서 산정된 수리전도도는 $1.745{\times}10^{-3}\;m/sec$ 이었으며, 양수정과 MW1 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452{\times}10^{-3}m/sec$, 양수정과 HW2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161{\times}10^{-3}m/sec$, 양수정과 MW3 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270{\times}10^{-3}m/sec$, 양수정과 MW4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591{\times}10^{-3}m/sec$로 산정되었다. 양수정과 관측정의 이격거리(d)에 따른 수리전도도(K) 증가함수는 남서 방향(PW-MW1-MW2 라인)에서는 logK = 0.0693logd - 2.671, 북동 방향(PW-MW3-MW4 라인)에서는 logK = 0.0817logf - 2.655로 추정되었다. 양수정을 기준으로 남서 방향과 북동 방향 대수층에서의 이격거리에 대한 수리전도도 증가함수는 유사하였다. Schulze-Makuch et al. (1999)의 규모지수 산정방법을 적용하여, 시험대수층의 시험부피에 대한 수리전도도의 규모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시험대수층의 규모지수는 0.15로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시험대수층이 고투수성 자갈층으로서 불균질성이 매우 낮음을 의미한다. 양수시험에 의해 산정된 투수량계수, 양수시험 시 최대수위변화, 양수정과 관측공 간의 거리 및 양수율에 의해 산정된 영향반경은 남서 방향 7.148 m, 북동 방향 6.912 m로 산정되었다. 양수정에서 영향반경까지의 수리전도도 증가율은 남서 방향 1.40배, 북동 방향 1.49배 정도로서 본 시험대수층 매질의 불균질성이 북동 방향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