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L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1초

마늘 저장 중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경시적 농약 잔류량 평가 (Safety Assesment of Pesticides Treated on Garlic to Control Black Rot during the Storage)

  • 유오종;진용덕;황세구;이용훈;임양빈;김진배;권오경;경기성;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8-158
    • /
    • 2009
  • 마늘 저장 중 발생하는 부패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침지와 경엽살포 및 관주처리 방법으로 농약을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마늘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시험농약인 diphenylamine, prochloraz, tebuconazole 및 dimethoate를 침지, 경엽살포 및 관주 처리한 후 6개월까지 저장하면서 매월 1회 잔류분석을 수행하였다. 잔류시험 결과 침지는 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관주처리에서는 주당 50 mL를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단양재래종, 의성재래종 및 남도종을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경시적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단양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 0.008~0.28 mg/kg, tebuconazole 0.03~0.32 mg/kg, prochloraz가 0.02~0.12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2~0.25 mg/kg이었다. 의성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09 mg/kg, tebuconazole이 0.08~0.45 mg/kg, prochloraz가 0.02~0.5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4~0.38 mg/kg이었다. 또한 남도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52 mg/kg, tebuconazole이 0.07~1.67 mg/kg, prochloraz가 0.02~0.1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3~0.73 mg/kg이었다. 검출된 농약 중 tebuconazole은 잔류허용기준(MRL)인 0.1 mg/kg을 초과하였으나, dimethoate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MRL인 1.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으며, diphenylamine과 prochloraz는 MRL이 설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였다.

식물근권세균 처리에 의한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 (Suppression of Citrus Melanose on the Leaves Tre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after Inoculation with Diaporthe citri)

  • 고윤정;강소영;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1-337
    • /
    • 2012
  • 감귤 검은점무늬병은 감귤 재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병으로 감귤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고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다른 감귤병과 마찬가지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에는 주로 화학 농약이 사용된다. 최근 농약의 부작용 때문에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방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 검은점무늬병균 Diaporthe citri에 항균효과가 있는 식물근권세균 TRH423-3, MRL408-3, THJ609-3, TRH415-2을 선발하였다. 이들 세균의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방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감귤 잎에 전 접종한 후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을 접종하였다. 선발된 모든 식물근권세균이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대해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방제 정도는 식물근권세균의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을 접종한 후 추가로 식물근권세균을 접종하였더니 모든 처리구에서 방제 효과가 증진되었다. 한편, 식물근권세균 rDNA의 internal transcript space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MRL408-3와 TRH423-3은 Burkholderia gladioli로, TRH415-2은 Pseudomons fluorescens로 그리고 THJ609-3은 Pseudomonas pudia로 동정되었다. 이들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은 화학적 방제 수단의 적용이 제한된 친환경 감귤 재배지에서 가치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를 이용한 fMRI신호 분석 (Analysis of fMRI Signal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 문찬홍;나동규;박현욱;유재욱;이은정;변홍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2호
    • /
    • pp.188-195
    • /
    • 1999
  • fMRI의 신호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선호들이 혼합된 상태이며 , 비록 몇 가지의 요소에 대해 모델링하여 그 선호 형태를 추측할 수 있으나 모든 신호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뇌신경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알아 내기는 어려운 일이다. 또한 뇌와 신체의 생리적 현상으로 발생하는 잡음뿐아니라 움직임이나 계기의 잡음은 fMRl의 데이터 분석을더욱 어렵게 한다. 따라서 실제 뇌신경의 활성화를 정확히 나타내는 참고데이터(reference data)를 선택하는 것은 힘든 일이며, 뇌신경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의미 있는 여러 신호 형태에 대한 분석은 현재 fMRl의 후처리 (post-processing) 분석 방법에서 하나의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rioriknow­-ledge 혹은 참고 데이터가 필요 없는 분석 방법인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lCA) 를 이용하여 fMRI선호를 분석하였다. ICA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관 분석 방법에 비해 신호의 형태를 분석하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지연된 반응 형태를 갖는 신호나 움직임에 의한 신호의 패턴을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한편, ICA만으후 fMRl의 신호에 따라 분석이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hreshold, wavelet spatial f filtering, 부분적 영상 분석 방법들을 ICA전에 수행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ICA는 fMRl 신호의 형태 분석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데이터의 자유도를 감소 하기 위해서는 선 필터링 (pre-filtering)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 PDF

근권세균을 전 접종한 감귤에서 감귤 더뎅이병 억제 효과 및 기작 (Suppression Effect and Mechanism of Citrus Scab in the Citrus Pre-inocul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 김소연;현재욱;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2-310
    • /
    • 2011
  • Elsinoe fawcettii는 현재 감귤 산업의 경제 가치를 떨어뜨리며, 감귤 더뎅이병을 일으키는 원인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살균제를 이용하여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생물학적인 방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미생물 방제에 대한 연구로서 제주에서 분리한 식물근권세균 215개 중 Elsinoe fawcettii에 의해 발병되는 감귤 더뎅이병균의 항균 효과와 병원균 발병 억제효과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그 중 in vitro 실험에서 더뎅이병균에 저지원을 형성하며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근권세균은 THJ 609-3, MRL 408-3, TRH 423-3이었다. 또한 이들 식물근권세균을 선처리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감귤 더뎅이병 억제효과가 있었다. 근권세균에 의한 병억제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선발된 식물근권 세균이 병원균의 포자수를 감소시켰으며 병원균 발아율도 접종 1일 후에 감소되었다. 식물근권세균 rDNA의 Internal Transcript Spaces(ITS)을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THJ 609-3은 Pseudomonas pudia로 동정되었으며, MRL 408-3과 TRH 423-3은 Burkholderia gladiol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생물적 방제로 감귤 더뎅이병균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적 미생물제제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살충제 Cypermethrin 및 살균제 Diethofencarb의 살포방법에 따른 인삼 중 잔류 (Residues Amounts of Cypermethrin and Diethofencarb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 이주희;김영환;전영환;신갑식;김효영;김태화;박찬;유용만;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2-418
    • /
    • 2009
  •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know the residue patterns of insecticide cypermethrin and fungicide diethofencarb in ginseng sprayed by various application methods. Two pesticides were sprayed separately on ginseng using traditional, soil and vinyl mulching applications. The vinyl mulching application was that head part of ginseng protected from pesticides. When cypermethrin was sprayed on ginseng by traditional application, its residue amount in ginseng was 0.25 mg/kg which exceeded 0.1 mg/kg, maximum residue limit(MRL) established b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FDA). But in case of vinyl mulching and soil application, its residue amounts were 0.04 and 0.07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amount of diethofencarb in ginseng was 3.01 mg/kg which exceeded the MRL, 0.3 mg/kg. Further, in case of vinyl mulching and soil application, its residue amounts were 1.71 and 9.39 mg/kg which exceeded the MRL 0.3 mg/kg. Although the residue amounts of both pesticides exceeded the MRLs for ginseng, we can explain that pesticides remained in head part of ginseng is probably the reason why higher pesticides residue levels were observed.

식물근권세균을 처리한 감귤 잎에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감귤 더뎅이병균의 생장 억제 관찰 (Observation of Growth Inhibition of Elsinoe fawcettii on Satsuma Mandarin Leaves Pre-tre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박재신;송민아;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16
  • 감귤 더뎅이병을 일으키는 E. fawcettii에 항균효과가 있는 식물근권세균 B. gladioli MRL408-3, TRH423-3, P. fluorescens THJ609-3, TRH415-2에 의해 감귤 더뎅이병이 감소하였다. 이들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Satsuma mandarin 감귤 잎에 감귤 더뎅이병균을 접종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잎에서 무처리한 잎에 비해 감귤 더뎅이병의 병반수가 감소되었다. 특히 B. gladioli MRL408-3 균주를 전 처리한 식물에서 감귤 더뎅이병의 병반수가 뚜렷하게 억제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 결과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감귤 잎 표면에서 병원균의 발아율과 발아관의 길이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판 농약인 imibenconazole을 처리한 잎에서 감귤 더뎅이병균의 성장이 가장 뚜렷하게 억제되었는데, 이는 병반수가 가장 적게 형성된 것과 상통한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식물근권세균에 의해 감귤 잎 표면에서 감귤 더뎅이병균의 발아와 생장이 억제되고 그 결과 감귤 더뎅이병의 발생이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엽 및 관주처리에 따른 배추 중 Trifloxystrobin의 안전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Trifloxystrobin in Chinese Cabbage by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 안설화;이상복;안문호;김재덕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1
    • /
    • 2007
  • HPLC에 의한 배추 중 trifloxystrobin의 회수율은 $84.6{\sim}95.3%$이었고 대사산물인 CGA321113의 회수율은 $86.4{\sim}87.3%$이었으며, 검출한계는 모두 0.04 mg $kg^{-1}$이었다. 경엽처리시 배추 중 trifloxystrobin 잔류량은 수확 5일과 6일전 2회 처리, 수확 3일과 7일전 3회 처리에서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temporary MRL, 0.5 mg $kg^{-1}$)을 초과하였다. 관주처리 배추에서의 trifloxystrobin 잔류량은 기준량(1500배 희석액 주당 150 mL) 및 배량(1500배 희석액 주당 300 mL)처리에서 각각 0.16, 0.31 mg $kg^{-1}$으로 MRL 미만이었다. 따라서 살균제 trifloxystrobin(22% 액상수화제)를 사용하여 배추 재배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의하여 토양처리가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엽처리시 안전사용기준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된 살균제 Tolclofos-methyl, Azoxystrobin 및 Difenoconazole의 인삼 중 잔류량 (Residues of Tolclofos-methyl,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 김장억;김태화;김영환;이주희;김진수;백승경;최수연;윤영남;유용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90-396
    • /
    • 2008
  • The aim of this work is to assess the safety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difenoconazole and azoxystrobin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When tolclofos-methyl was sprayed on ginseng by safe use guideline, the residue amounts (MRL) of it in ginseng was 0.13 mg/kg which is below than 0.3 mg/kg, maximum residue limit established b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residue amounts of ginseng parts, head part was 0.37 mg/kg and main body part was 0.13 mg/kg. In case of difenoconazole, the residue amounts in ginseng was 0.81 mg/kg. which was exceed the MRL, 0.2 mg/kg. By the analyze results of ginseng part, the residues of head and main body part were 3.01 and 0.40 mg/kg, respectively. In experiment of vinyl mulching, the residue amount of difenoconazole in ginseng was 0.05 mg/kg. The residue amounts of azoxystrobin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was 0.14 mg/kg. This residue was not exceed the MRL 0.5 mg/kg. The residue amounts by ginseng parts was 0.51 mg/kg for head part and 0.28 mg/kg for main body part. In case of vinyl mulching, the residue amount of azoxystrobin was 0.02 mg/kg.

Trichlorfon (TCF)의 약욕 투여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 잔류량 및 약물동태학 연구 (Residue level and pharmacokinetics of trichlorf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fter bath treatment)

  • 조현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뱀장어에 대한 trichlorfon (TCF)의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뱀장어를 대상으로 하여 trichlorfon (TCF) 노출에 따른 체내 잔류량 및 약물동태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28℃와 18℃ 에서 각각 30 ppm 및 150 ppm의 TCF를 30분간 약욕하여 이에 따른 체내 약물잔류농도를 LC-MS/MS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PK solver program 을 이용하여 혈청, 근육 및 간에서 TCF의 약동학 파라미터를 얻었다. 혈청, 근육 및 간에서 최고 농도(Cmax)는 25.87-357.42, 129.91-1043.73 및 40.47-375.20였고, 최고 농도 도달시간(Tmax)는 0.13-1.32 h, 1.17-3.34 h, 및 0.14-5.40 h이었으며, 배설 반감기 (T1/2)는 2.13-3.92 h, 5.30-10.35 h, 및 0.65-13.81 h이었다. 30 mg/L농도 투여군에서는 약욕 후 96시간이 지난 뱀장어의 혈청에서 TCF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근육 및 간에서는 336시간이후 부터 검출 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에 150 mg/L농도 투여군에서는 약욕 후 336시간이 지난 뱀장어의 혈청에서 TCF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근육 및 간에서는 336시간에도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들은 향후 양식 뱀장어에 대한 trichlorfon (TCF)의 잔류허용기준(MRL) 설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