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1초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Makes No Difference)"는 논증과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분석

  • 김세화
    • 논리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2
    • /
    • 2007
  • 본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Makes No Difference)"는 논증(줄여서 MND 논증)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앨런 베이커(Alan Baker)의 반론을 자세히 살펴본다. MND 논증, 특히 그 전제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데, 베이커는 이를 위해 이갈 크바크(Igal Kvart)의 분석을 이용한다. 이에 필자는 크바트의 분석을 비판함으로써 이에 의존한 베이커의 주장을 비판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Fine-Tuning 논증을 예로 삼아, 크바트의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분석, 특히 그의 반법칙적 조건문에 대한 분석은 실제 과학자들의 논의와도 상충되며, 이 과학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철학적 논쟁과도 상충되기 때문에 그의 분석을 받아들일 수 없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필자는 크바트의 분석에 의존하여 MND 논증을 공격한 베이커의 결론도 마찬가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보인다.

  • PDF

A Pilot Study on Single-dose Toxicity Testing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 Son, Ilhong;Lee, Sangmi;Kim, Doho;Jeong, Hohyung;Cho, Seung-Hun;Lee, Eun-Yong;Lee, Seung-Deok;Ahn, Seong-Hun;Kim, Sungchu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7-6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single dose toxicity and the lethal dose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 rats.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KTR), an institution authorized to perform non-clinical studies, under the regulations of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Sprague-Dawley rats were chosen for the pilot study. Dos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0.1, 0.5, and 1.0 mL,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mL doses of normal saline solution were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Animal Ethic Committee. Results: No deaths or abnormalities occurred in any of the groups.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weight, hematological parameters or clinical chemistry were not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organs and tissues, we used microscopy to examine representative histological sections of each specified orga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organs or tissue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s a relatively safe to use for treatment. Further studies on the subject should be conduct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

국방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 개발 기법 (A Development Technique of Core Architecture Data Model(CADM) for Defens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 최남용;진종현;송영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3호
    • /
    • pp.683-690
    • /
    • 2004
  • 현대 국방부에서는 국방정보체제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키텍처 산출물을 쉽고 일관성 있게 개발할 수 있는 국방아키텍처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된 아키텍처 산출물을 저장하여 재사용하고 국방 전반의 아키텍처 정보의 교환, 비교,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CADM)의 개발이 필요하다. CADM은 국방아키택처프레임워크에서 도출된 데이터 요구사항을 통해 엔티터를 추출하여 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실사례를 통해 엔티티를 검증하였다. 설사례로는 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의 아키텍처 산출물을 작성하여 그들의 아키텍처 데이터를 저장소에 저장한 후 다양한 쿼리를 통해 검증하였다. CADM을 통해 전군의 아키텍처에 대한 공통의 데이터 모델을 제공하여 국방정보체계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자원관리와 상호운용 및 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합리적 국방획득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 (A Plan for Building up the Rational Defense Acquisition System)

  • 김종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
    • /
    • 2009
  • 본 논문은 방위사업청 개칭이후 국방획득체계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것은 앞으로 국방부가 획득체계를 개선할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제시된 방안들은 첫째, 국방부와 방위사업청간 중기계획 및 예산편성에 관한 기능을 재정립해야 한다. 둘째,소요-획득-운영유지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경제적 획득관리 및 전력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소요-획득분야 인력순환(순환근무)을 제도화하고, 획득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인력관리법 및 전문교육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넷째, 무기체계 '총수명주기체계관리'를 시행하고, 방위사업청 주도의 개발 및 운용시험평가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이것은 국방부-방위사업청-각 군 간 획득사업을 둘러싸고 파생되는 업무혼선과 갈등을 최소화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SBA를 위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념모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 Conceptual Model of Architecture Framework for Simulation based Acquisition)

  • 손미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09-318
    • /
    • 2010
  • Simulation-based acquisition(SBA)는 획득의 제단계에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S)를 적용함으로써 획득기간을 단축하고 무기체계 총 소유비용을 낮추며 소요군이 요구하는 성능목표를 가진 무기체계를 획득하고자 하는 새로운 획득 패러다임이다. 우리 군이 SBA의 정착을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BA의 성공적인 실행을 보장해 주는 청사진 역할을 하는 SBA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MND-AF를 기반으로 SBA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념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우리 군의 획득 프로세스를 근간으로 운영 뷰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운영 뷰에 포함된 각종 운영활동들이 임무 완수를 위해 활용하게 될 도구와 기술을 식별했으며, 데이터들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해주는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을 제안해 시스템 뷰에 포함시켰다. 특히 시스템 뷰에는 통합사업 관리팀과 운영활동의 주체들이 분산되어 있는 M&S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는 SBA AF 포털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SBA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념모델에는 기술 뷰와 아키텍처 구축을 위한 최상위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올 뷰가 포함되어 있다.

국방 관련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ITA)의 메타모델 조정 방안 연구 (A Study on Korea Government ITA Meta-Model Tailoring for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Development)

  • 장재덕;박영원;박철영;이중윤;구여운;김연태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44-354
    • /
    • 2008
  • The ITA meta-model descriptions being promoted by Korean government was developed to build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for applications in public institution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is ITA meta-model is not easy because of the complexity and overlapping between classes and attributes which reside in the ITA meta-models. Additionally, the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is planned for development using the MND-AF. Since the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must align with the Government ITA for interoperability and consistency, it is crucial the differences in the meta-models between MND-AF and Government ITA must be resolved. This study presents the trade-off results between the meta-models of MND-AF and Government ITA. It also proposes a set of tailored meta-models for use with the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development. The tailored meta-models use an ERA (Element, Relationship, Attribute) data structure that decreases complexity and eliminates the overlapping between classes and attributes.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ITA/EA)와의 연계를 위한 국방 정보기술아키텍처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ND ITA/EA Framework for Alignment to KG ITA/EA)

  • 김진수;홍진기;최종섭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1-558
    • /
    • 2005
  • 최근 정부의 정보기술아키텍처(ITA/EA)에 관한 연구와 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조만간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가 운용될 예정이다. 국방부 또한 정보체계 개발시 상호운용성 확보, 효율적인 정보자원관리, 투자 우선순위 결정 등의 목적으로 국방 아키텍처프레임워크인 MND-AF를 적용하고 있으나, 국가 대전략(정치, 외교, 경제, 사회, 군사 등) 차원에서의 접근보다는 군사적 차원의 체계별 아키텍처 개발에 적용하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 추진 중인 정보기술아키텍처는 미 연방정부 모델인 FEA와 유사할 것으로 보이며, 상호운용성,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각 기관은 아키텍처 구축시 범정부 참조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관련성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국방부 차원에서 이러한 정부 모델과의 연계 및 국가정책과 연계된(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이 포함된) 국방 정보기술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부분에서 이미 채택하고 있는 MND-AF의 지속적 사용과 정부와의 연계성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방조직의 정보보호 평가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Methodology for Defense Organization)

  • 조성림;최인수;박지훈;신우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7-90
    • /
    • 2013
  • As Cyber threats are rising, the scope of information Security (IS) is extending from technical protection of a single information system to organizational comprehensive IS capabilit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has established the IS evaluation for defense organization in 'the Directive for Defense Informatization Affairs.' However, no information about an evaluation method, process and organization is provided. We surveyed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 and related best practices in public sector and other countries, and analysed the military information security affairs. Thus, this paper recommends the IS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The trial IS evaluation is in progress this year and the MND will expand this IS evaluation to the entire organization.

LG 데이콤의 차세대인터넷(IPv6) 기반 VoIP 시범서비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loyment of IPv6 based VoIP trial service provided by LG Dacom)

  • 이동열;김희동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IPv6 trial service provided by LG DACOM and discusses about the output of trial service. MIC has urged public organizations to introduce IPv6 technology into their network. As one of propelling policies, MIC and NIA launched some IPv6 trial project. LG DACOM, MIC's agent in doing IPv6 trial project, has selected three public organizations in order to deploy IPv6 based VoIP trial service. KMA, KISITI and MND gave out their different service requirements. In achieve this project we developed IPv6 supported voice IP phone, video IP phone, media gateway and IP-PBX. Furthermore, two KMA provincial offices adopted trial IP phone as working phone and replaced legacy PBX with IP-PBX. At the same time, public organizations introduced IPv6 technology into their local networ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