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7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3초

U-251-MG 세포에서 PSA 경로에 작용하는 Hepatocyte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on the PSA Signaling Pathway of U-251-MG Cells)

  • 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25-4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U-251-MG 세포를 이용하여 증식, 이동, 침윤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에 미치는 PSA와 HGF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은 약 3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 (10 ng/mL)에 의해 증식이 약 1.4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에 의한 U-251-MG 세포의 이동은 약 60%가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이동이 약 1.3배 증가되었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침윤이 약 6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세포의 침윤이 약 4.3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처리에 의해 MMP-2의 분비는 약 25%, MMP-9의 분비는 약 20% 억제되었으며, HGF에 의해 PSA siRNA에 의해 억제된 MMP-2 및 MMP-9의 분비가 약 2.8배 및 3.5배 증가되었다. HGF 처리에 의해 플라스민의 분비량은 약 14배 증가되었고, PSA를 억제한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플라스민의 분비가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MMP-2의 발현은 유의할만한 변화가 없었으나, MMP-9의 발현은 약 85% 억제되었다. PSA를 억제시킨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MMP-2의 발현은 약 5.7배, MMP-9의 발현은 약 6.3배 증가되었다. 한편, MMPs의 광범위 억제제인 BB-94 처리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억제 된 것은 MMP-2 및 MMP-9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해준다.

사람 난자-난구 복합체 ECM의 Gelatinase (Gelatinases of Extracellular Matrix of Human Oocyte-Cumulus Complex)

  • 이인선;나경아;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23-129
    • /
    • 2001
  • 포유동물의 난포내 난자의 성숙 시에는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난구세포의 확장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현상에는 hyaluronic acid 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조직 재구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MMP)가 사람의 성숙한 난자-난구 복합체의 extracellular matrix(ECM)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외수정 시술 시에 얻어지는 사람의 난자-난구 복합체를 재료로 zymography와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난자-난구 복합체의 ECM에는 300kDa, 240kDa, 200kDa, 180kDa, 116kDa, 97kDa, 그리고 84kDa의 분자량을 갖는 적어도 7종류의 gelatinase들이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들 gelatinase가 MMP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zymography 동안에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혹은 phenanthroline 등의 MMP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7종류 모두의 gelatinase 효소활성이 사라졌다. 또한 MMP의 활성제인 aminophenylmercuric acetate를 zymography를 시행하기 전에 ECM에 처리한 결과 200kDa, 180kDa, 97kDa, 84kDa의 gelatinase활성이 사라지고, 대신에 80kDa, 65kDa, 60kDa의 분자량을 갖는 새로운 gelatinase 단백질의 효소활성이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사람 난자-난구 복합체의 ECM에는 여러 종류의 gelatinase들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MMP-2와 MMP-9의 동위효소들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 효과와 UVB에 유도된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의 항노화 효과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aging treatment of UVB-irradiated human HaCaT keratinocytes with ethanol extracts of colored rice varieties)

  • 최은영;이진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3-6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유색미 2품종에 대한 자외선 조사에 따른 노화 억제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산화방지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JE와 SRE 모두 $500{\mu}g/mL$ 농도에서 88.5%와 88.9% 이상의 높은 DPPH 라디칼 억제능을 보였으며, ABTS 억제활성 실험에서는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93.5%와 95.7% 이상의 ABTS 라디칼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억제 활성 실험 결과, JE와 SRE 모두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73.2%, 74.4% 이상의 효소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MMPs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억제를 확인한 결과, MMP-1과 -3의 단백질 발현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MMP-1은 JE와 SRE의 $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29.8%와 3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100{\mu}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78.3%와 70.8%의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MP-1과 -3의 mRNA의 발현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JE $100{\mu}g/mL$의 농도를 처치한 경우에 mRNA 발현이 매우 유의하게 감소(약 50.7%와 37.9%)되었음을 확인하였다. SRE는 MMP-3 mRNA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39.7%가 억제되었으며, MMP-1 mRNA의 발현은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66.4%가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별된 유색미 2종인 조생흑찰과 신토흑미의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방지 및 항노화 효능을 확인함에 따라 기능성 식품 화장품 분야에서 주름개선 및 항노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양심층수의 cytochrome P450 1A1, aromatase 및 MMP-9 활성 억제 효과 (Effect of Deep Sea Water on Cytochrome P450 1A1, Aromatase and MMP-9.)

  • 손윤희;김미경;남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3-508
    • /
    • 2008
  • 동해 해양심층수의 유방암예방 효능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ytochrome P450 1A1 활성과 aromatase 활성 및 유방암세포의 침윤성, 이와 관련된 MMP-9 의 활성과 그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양심층수는 체내외의 여러 화학물질을 체내에서 활성화시켜 발암이나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cytochrome P450 1A1을 경도의존적으로 저해시켰다. 또한 호르몬 의존성 유방암의 진행에 관여하는 aromatase의 활성도 경도의존적으로 저해시켰다($5.6{\sim}51.9%$). 해양심층수 처리에 의해 사람유방암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침윤성은 $73.7{\sim}29.4%$로 감소하였으며, 세포의 침윤시 작용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MMP-9의 활성과 단백질 발현도 경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해양심층수는 유방암 예방과 전이관련의 더 많은 연구에 의해 유방암 예방과 전이 억제작용을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색미 겨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Reactions)

  • 최선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22-227
    • /
    • 2004
  •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백혈구가 분비하는 염증관련 산물인 nitric oxide, histamin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대식세포 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반미와 유색미 추출물 간에 큰 활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histamin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유색미 추출물이 일반미에 비해서 약 3.6-5.4배 정도의 우수한 저해능을 보였다. 특히 조사한 유색미 5품종 중 LK1-3-6-12-1-1가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색미 추출물이 matrix metalloproteinase(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미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오히려 효소활성이 증가한 반면, 유색미 경우는 LK1A-2-12-1-1을 제외하고 농도의 증가에 따라 효소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LK1-3-6-12-1-1와 Elwee의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인 백혈구의 histamine과 MMP의 분비를 저해하는 능력이 일반미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Flavonoid Compounds from Viola hondoensis and Their Effect on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Ultraviolet Irradiation of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 Moon, Hyung-In;Lee, Joong-Ku;Zee, Ok-Pyo;Chung, Jin-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43-146
    • /
    • 2005
  •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consequences of ultraviolet irradiation,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natural products. Ultraviolet irradiation is widely considered to be an environmental stress.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2',4',7-trihydroxyisoflavone on the regulation of MMP-1 and type 1 procollagen in Ultraviolet irradiation of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whole plants of Viola hondoensis led to the isolation of five flavonoid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2',4',5,7-tetrahydroxyisoflavone (1), 2',4',7-trihydroxyisoflavone (2), 4',7-dihydroxyflavone (3), isoorientin (4), and isovitexin (5) using spectroscopic analysis. Among these, 2',4',7-trihydroxyisoflavone reduced the expression of MMP-1 at the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ultraviolet irradiat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2',4',7-trihydroxyisoflavone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MMP-1 induction by ultraviolet irradiation.

한련초 추출물의 치주염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clipta Prostrata L.(Ecliptae Herba) on periodontitis rats)

  • 박준혁;이해수;양웅모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4
    • /
    • 2018
  • Objectives: Periodont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with the destruction of periodontal ligament, alveolar bone loss and inflammation of gingva, leading to teeth loss. Eclipta prostrata L. (Ecliptae Herba) has been used to treat the inflammatory disease as a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 prostrata L. on periodontitis. Methods: E. prostrata L.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lyophilized. The aqueous extract of E. prostrata L. (EP) was topically applied to the periodontal lesion for 2 weeks. To induce the periodontitis, a 3-0 nylon ligature was placed around the cervix of the lower first molar in rat.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 = 7); NL group (non-ligatured and non-treated), L group (ligatured and vehicle-treated) and EP group (ligatured and EP-treated). After sacrifice, the mandibles was dissected and stained with methylene blue solution to analyze the alveolar bone loss. The expression of MMP-9 was determined in gingival tissues. To confirm the effect of EP on recovery of gingiva, mRNA expressions of type I pro-collagen and MMP-9 levels were investigated in LPS-treated HS68 fibroblast cells. In addition, inflammatory mediators were evaluated in LPS-treated RAW264.7 cells. Results: Alveolar bone los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EP treatment. The mRNA expression of MMP-9 was attenuated in rats treated with EP. In addition, treatment with EP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ype I pro-collagen, while the expression of MMP-9 was decreased in LPS-stimulated HS68 fibroblast cells. Furthermore, EP down-regulated the LPS-induced IL-6, $TNF-{\alpha}$, COX-2 and iNOS production in RAW264.7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 have ameliorative effects on periodontitis through inhibiting alveolar bone loss and modulating the inflammatory mediators. Therefore, E. prostrata L. may be an alternative o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생쥐 치아의 초기발생과정에서 Osteopontin mRNA의 발현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xpress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BMP-7) Following Regenerative Periodontal Surgery)

  • 한경윤;조세열;임기정;김흥중;박주철;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51-65
    • /
    • 2000
  •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is degraded by enzymes of the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MMPs are produced by both hemopoietic and structural cells. Increased activity of MMP-3 in periodontium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 of BMP-7 on regeneration of periodontium. The optical density was measured by microwell plate reader at 450 nm.The difference of the optical density and the relative activity ofMMP-3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tracycline-HCl showed the tendency to inhibit the activity of MMP-3 at the concentration lower than $25{\mu}g/ml$. 2. Doxycycline-HCl inhibited significantly the activity of MMP-3 at the concentration lower than $100{\mu}g/ml$. 3 . Minocycline-HCl inhibited the activity of MMP-3 at the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10 to 200${\mu}g/ml$. Within the limit of the present study,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bone morphogenetic protein-7 may play a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of periodontium.

  • PDF

Current Evidence on Associations Between the MMP-7 (-181A>G) Polymorphism and Digestive System Cancer Risk

  • Ke, Pan;Wu, Zhong-De;Wen, Hua-Song;Ying, Miao-Xiong;Long, Huo-Cheng;Qing, Liu-Gu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269-2272
    • /
    • 2013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degrade various component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functional polymorphisms in encoding genes may contribute to genetic susceptibility to many cancers. Up to now, associations between MMP-7 (-181A>G) and digestive system cancer risk have remained inconclusive.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the MMP-7 (-181A>G) genotype in digestive cancer development, we conducted th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encompassing 3,518 cases and 4,596 controls. Overall, the MMP-7 (-181A>G) polymorphism was associated with higher digestive system cancer risk on homozygote comparison (GG vs. AA, OR=1.21, 95% CI = 1.12-1.60) and in a dominant model (GG/GA vs. AA, OR=1.16, 95% CI =1.03-1.46). On subgroup analysis, this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linked to higher risks for gastric cancer (GG vs. AA, OR=1.22, 95% CI = 1.02-1.46; GA vs. AA, OR=1.82, 95% CI =1.16-2.87; GG/GA vs. AA, OR=1.13, 95% CI =1.01-1.27; GG vs. GA/AA, OR= 1.25, 95% CI = 1.06-2.39. We also observe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colorectal cancer and esophageal SCC in both homozygote (OR = 1.13, 95% CI = 1.06-1.26) and heterozygote comparisons (OR = 1.45, 95% CI = 1.11-1.91). In the stratified analysis by controls, significant effects were only observed in population-based studies (GA vs. AA, OR=1.16, 95% CI=1.08-1.50; GA/AA vs. GG, OR=1.10, 95% CI=1.01-1.72). According to the source of ethnicity,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was found among Asian populations in the homozygote model (GG vs. AA, OR=1.40, 95% CI=1.12-1.69), heterozygote model (GA vs. AA, OR=1.26, 95% CI=1.02-1.51), and dominant model (GG/GA vs. AA, OR=1.18, 95% CI=1.08-1.55).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MMP-7 (-181A>G) polymorphism may be a risk factor for digestive system cancer, especially among Asian populations.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시계꽃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 (Availability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s Inner Beauty Material)

  • 이재남;김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80-1189
    • /
    • 2020
  • 본 연구는 시계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을 확인하여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 내에서의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 HDF 세포에서의 MMP-1의 발현 억제능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시계꽃 추출물의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 mg/mL의 농도에서 각 157 mg/g, 173.5 mg/g의 우수한 함량을 확인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에 대해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를 통해 100 ㎍/mL에서 69.3%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HDF 세포에서 MMP-1의 발현 억제능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시계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 피부세포에 대한 낮은 독성, MMP-1의 발현 억제를 통한 항노화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다양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