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

검색결과 125,953건 처리시간 0.095초

시판 효소식품의 유용성분과 HACCP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Effective Components of Commercial Enzyme Food Products and Their HACCP Scheme)

  • 이은주;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61-468
    • /
    • 2001
  • 본 연구는 시판 건강보조식품 중 효소식품의 성분을 분석하고 그 제조공정을 조사하여 HACCP system에 근거한 품질관리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12종류의 효소식품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효소활성도 및 미생물과 아플라톡신의 오염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효소식품의 제품포장에 표시된 일반성분함량과 실험치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식품의 가장 큰 유효성으로 알려진 효소활성의 측정결과에서도 ${\alpha}-amylase$의 경우, 최고 $1793\;{\mu}g/min$ g에서 최저 $159\;{\mu}g/min$ g으로 커다란 편차를 보였으며, ${\beta}-amylase$의 경우, 최고 $171\;{\mu}g/min$ g와 최저 $11\;{\mu}g/min$ g, 그리고 protease이 경우 최고 $27.57\;{\mu}g/min$ g와 최저 $0.18\;{\mu}g/min$ g으로 나타나 단지 ${\alpha}-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이 양성일 경우 적합판정을 내리는 현 공전상의 규정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규정상 대장균 군에 대하여 음성이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효소식품의 반수가 대장균 군에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세균수에 있어서도 $1.3{\times}10^5-1.2{\times}10^9$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효소활성을 위해 저온살균공정을 거치는 이들 제품의 위생적 관리가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따라 위해요소 중점 관리기준(HACCP)을 작성하여 효소식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관리지침을 수립하였다.

  • PDF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Effects of Segmenting Video Lectures on the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th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phones-)

  • 홍원준;임철일;박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48-1057
    • /
    • 2013
  • 본 논문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동영상 강의의 분할시간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상위 35%, 하위 35%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집단에 동영상 강의를 5분, 10분, 15분, 20분으로 분할하여 제공하였다. 먼저, 동영상 분할시간의 주효과를 보면 학업성취도에서는 10, 15분 동영상이 좀 더 효과적이었으며, 만족도에서는 15분, 20분 동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는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만 나타났는데 특히, 사전지식 상위 35% 집단은 15분, 20분 동영상에서, 하위 35% 집단은 10분 동영상에서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상기 연구결과는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에게는 좀 더 긴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5분 동영상 강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적합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Coconut-derived D-xylose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individuals

  • Yun, Jung-Bae;Bak, Youn-Kyung;Kim, Bum-Sik;Kim, Min-Sun;Lee, Jin-Hee;Sung, Mi-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6호
    • /
    • pp.533-539
    • /
    • 2011
  • Metabolic alterations includ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have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related diseases. Xylose is a sucrase inhibitor suggested to suppress the postprandial glucose surg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inhibitory effects of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xylose on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in the presence of other macronutrients.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xylose on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follow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 study 1, the overnight-fasted study subjects (n = 49) consumed a test sucrose solution (50 g sucrose in 130 ml water) containing 0, 5, or 7.5 g D-xylose powder. In study 2, the overnight-fasted study subjects (n = 50) consumed a test meal (50 g sucrose in a 60 g muffin and 200 ml sucrose-containing solution). The control meal provided 64.5 g of carbohydrates, 4.5 g of fat, and 10 g of protein. The xylose meal was identical to the control meal except 5 g of xylose was added to the muffin mix. In study 1, the 5 g xylose-containing solutions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rea under the glucose curve (AUCg) and area under the insulin curve (AUCi) values for 0-15 min (P < 0.0001, P < 0.0001), 0-30 min (P < 0.0001, P < 0.0001), 0-45 min (P < 0.0001, P < 0.0001), 0-60 min (P < 0.0001, P < 0.0001), 0-90 min (P < 0.0001, P < 0.0001) and 0-120 min (P = 0.0071, P = 0.0016). In study 2, the test meal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UCg and AUCi values for 0-15 min (P < 0.0001, P < 0.0001), 0-30 min (P < 0.0001, P < 0.0001), 0-45 min (P < 0.0001, P = 0.0005), 0-60 min (P = 0.0002, P = 0.0025), and 0-90 min (P = 0.0396, P = 0.0246). In conclusion, xylose showed an acute suppressive effect on the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surges.

MARPOL 73/78의 기준에 따른 선박오수 처리 장치(SBR 및 MBR 복합공정)의 사용 가능성 평가 : 영양염류 위주 (T-N 및 T-P) (Feasibility Study of a Shipboard Sewage Treatment Plant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Membrane Bioreactor) in Accordance with MARPOL 73/78, Focusing Mostly on Nutrients (T-N and T-P))

  • 정진희;윤영내;최영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233-123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hanges in the TN and TP removal efficienc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settling process is applied, in a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process with a membrane bioreactor (MBR). Nutrient removal was considered in terms of developing an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for ships in accordance with water quality standards set forth by 227(64). For these purposes, the TN and TP concentrations in the inflow and outflow water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TN and TP removal efficienc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settling process was used. Water discharged from a bathroom, which was constructed for the experiment, was used as the raw water. The experiment that included a settling process was conducted twice,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were: aeration for 90 min, settling for 30 min, agitation for 15 min, and settling for 15 min for one experiment; and aeration for 150 min, settling for 45 min, agitation for 15 min, and settling for 15 min in the other.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experiment that did not include a settling process were: aeration for 180 min and agitation for 60 min. The concentration of the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MLSS) in the reactor was 3,500 mg/L, while the aeration rate was 121 L/min and the water production rate was 1.5 L/min. For the two experiments where a settling process was applied, the average TN removal efficiencies were 44.39% and 41.05%, and the average TP removal efficiencies were 47.85% and 46.04%. For the experiment in which a settling process was not applied, the average TN removal efficiency was 65.51%, and the average TP removal efficiency was 52.51%. Although the final nutrient levels did not satisfy the water quality standards of MEPC 227(64), the TN and TP removal efficiencies were higher when a settling process was not applied.

개실술에서 우측흉골우연소절개법을 이용한 최소침투수술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through A Small Right Parasternal Incision)

  • 공준혁;이응배;조준용;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9호
    • /
    • pp.723-728
    • /
    • 2000
  • Background: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for open heart surgery are widely accepted in these days. There are minimally invasive approaches by the right or left parasternal incision and another approaches by mini-sternotomy of upper or lower half or sternum. We report the safety and efficacy of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with right parasternal incision compared with the routine full sternotomy. Material and Method: From April 1997 through February 1999, 20 patients(Group A)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cardiac operations. We chose 41 patients(Group B) whose preoperative diagnosis were the same and general conditions were similar and who underwent routine full sternotomy before April 1997. We compared A group and B group in many aspects. We performed routine full median sternotomy in B group but we did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through a small right parasternal incision in A group. Result: mean age was 36.1 years in both groups. In disease entities, there were 11 cases of ASD, 9 cases of mitral valve disease in group A, and 16 cases of ASD, 25 cases of mitral valve diseases in group B. In ASD, operation tim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of aortic occulusion time were 263 min, 82 min, and 41 min in group A and 180 min, 53 min, and 32 min in group B. In mitral valve disease, operation tim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and aortic occlusion time were 267min, 106 min, and 70min in A group and were 207 min, 82 min, and 69 min in group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ration time, CPB time, and ACC tim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bleeding in postoperative day 1 between group A and group B of mitral diaseas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bleeding in other comparisons. Mean length of incision was 8.7 cm in group 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tween A group and B group. There was no mortality in either group.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is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with right parasternal incision is cosmetically excellent but it is not effective in reducing operative ti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very tim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d with routine full sternotomy.

  • PDF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에 따른 멸치의 건조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Subjected to Microwave Drying)

  • 금준석;박광장;이창호;임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09
    • /
    • 1998
  • 생멸치를 열풍건조 후 마이크로파(MW), 마이크로파/열풍(MWH), 마이크로파 진공(MWV)의 건조방법들을 이용하여 5분 건조 1분 정지를 12회 및 10분 건조 1분 정지를 6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 pH, 색도, 산도, 휘발성, 염기질소는 마이크로파 건조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의 경우 포화산이 38.34%, 모노엔산이 22.91%, 폴리엔산이 38.75%로 나타났으며 마이크로파 건조방법도 각각 비슷한 구성을 나타내었고 각 건조방법 공히 palmit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마이크로파 건조 후 마른 멸치의 palmit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각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 공히 alanine, arginine, lysine, leucine 등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은 대조구에 비교하여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이 각 측정항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검사 결과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역삼투막 공정을 이용한 붕산수 중의 실리카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moval of Silica from the Boric Acid Solution by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

  • 구본문;임지원;이태원;박길웅
    • 멤브레인
    • /
    • 제5권4호
    • /
    • pp.137-144
    • /
    • 1995
  • Hydranautic사의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재질로 된 RO S/W 4040을 이용하여 2성분계의 붕산수용액 및 붕산수에 함유된 실리카의 3성분계 수용액에 대하여 조업온도, 운전압력 및 공급유량 변화가 투과량, 붕산회수율, 실리카 배제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붕산수용액의 경우 35$^{\circ}$C, 20atm 및 원액의 유속이 2.82l/min에서 붕산회수율 및 투과도는 각각 58.7% 및 2.82l/min, 35$^{\circ}$C, 10atm에서는 68.1% 및 1.56l/min이었다. 또한 실리카 및 붕산이 함께 함유된 용액의 경우 35$^{\circ}$C, 3.2atm에서 붕산회수율 69.7%, 실리카 배제율 97.5% 및 투과도 0.47l/min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35$^{\circ}$C, 20atm에서 원액의 유속이 2.92l/min의 경우 붕산회수율 56.4%, 실리카 배제율 96.1% 및 투과도 2.72l/min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 PDF

최대하 PACER 검사를 통한 비만 남자 중학생의 VO2max 추정 (Prediction of VO2max Using Submaximal PACER in Obese Middle School Boys)

  • 김도윤;김원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71-380
    • /
    • 2013
  • 본 연구는 남자 비만 중학생을 대상으로 최대하 방법의 PACER 검사를 통해 최대산소섭취량($\dot{V}O_{2max}$)을 추정할 수 있는 추정식을 개발하고자 중학교 남자 비만 학생 57명을 대상으로 Bruce 프로토콜의 최대운동부하검사와 PACER 검사를 실시하였다. 최대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PACER 운동 중 목표심박수(75%$HR_{max}$ 이상)가 나타나는 왕복횟수 구간별 대사반응을 측정하였으며, $%HR_{max}$ 구간별(75%, 80%, 85%, 90%, 95%) 대사반응 지표를 단계적 선택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모형이 산출되었다. 모형 1(90%$HR_{max}$의 모형): $\dot{V}O_{2max}$(ml/kg/min) = 142.721-0.275(왕복횟수)-0.48(심박수)+0.177(체중)-1.536(연령)[표준오차 3.90ml/kg/min; 2단계까지 운동진행]. 모형 2(95%$HR_{max}$의 모형): $\dot{V}O_{2max}$(ml/kg/min) = 182.851-0.103(왕복횟수)-0.744(심박수)+0.186(체중)-0.324(연령)[표준오차 4.51ml/kg/min; 3단계까지 운동진행]. 모형 1의 추정된 $\dot{V}O_{2max}$와 실측 $\dot{V}O_{2max}$간 차이 평균은 $3.25{\pm}6.32ml/kg/min$(%error=6.84%), 모형 2는 $3.16{\pm}4.54ml/kg/min$(%error=5.75%). 비만인 대상자들에게 최대하 운동방법으로는 심박수와 운동지속시간이 짧았던 모형 1이 모형 2보다 적합한 형태로 생각된다.

저온플라즈마(Microwave Plasma)를 활용한 Acidovorax citrulli 감염 수박종자의 살균 효과 검정 (Effect of Microwave Plasma on Sterilization of Acidovorax citrulli Infected Watermelon Seeds)

  • 김상우;주한준;권병헌;마헤시 아드히카리;김현승;박미리;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27권1호
    • /
    • pp.8-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microwave plasma)를 이용하여 종자에 감염된 Acidovorax citrulli 11-251의 살균효과를 확인하였다. 감압처리를 통하여 수박 종자에 A. citrulli 11-251를 인공접종하여 이병 종자를 제작하였으며, Aac ImmunoStrip및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확인 결과, 종피 및 종자 내부에 1×107/30분 처리한 조건에서 감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플라즈마 처리는 50 W (3분, 5분, 10분), 80 W (3분, 5분, 10분), 100 W (3분, 5분, 10분) 조건으로 실험 결과, 인공감염종자를 플라즈마 처리 시 대조구와 비교해보면 종피의 경우 80W/10분, 99.56%의 살균 효과를 보였고, 종자 내부는 80 W, 100W/10분, 100%의 높은 살균 효과를 보였다. 인공접종 종자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살균장치의 종자살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발아율은 무처리구보다 플라즈마 처리 시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플라즈마 처리가 A. citrulli 11-251의 세포막을 파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 citrulli가 접종된 수박 종자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 시 살균 및 발아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 조건에 대한 추가 실험이 수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