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Subjected to Microwave Drying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에 따른 멸치의 건조 특성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quality of dried anchovy, raw anchovies after hot air drying were subjected to six different processes: 5 min microwave and 1 min holding-12 times (MW5), 10 min microwave and 1 min holding-6 times (MW10), 5 min microwave with hot air and 1 min holding-12 times (MWH5), 10 min microwave with hot air and 1 min holding-6 times (MWH10), 5 min microwave vacuum and 1 min holding-12 times (MWV5), 10 min microwave vacuum and 1 min holding-6 times (MWV10) at 100 Watt and 2450MHz.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different processes on water content, pH, color, acid valu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The sum of fatty acids on commercial anchovy occupied 38.34% of saturates 22.91% of monoenes and 22.91% of polyenes and dried anchovies subjected to microwave processes had similar compositions. Dominant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in each process. Among the free amino acids, alanine, arginine, lysine and leucine were dominant in all processes. Dried anchovies showe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xture in all processes. Sensory evaluation data showed that the quality of dried anchovy subjected to microwave process was acceptable and microwave vacuum process was the most desirable one.

생멸치를 열풍건조 후 마이크로파(MW), 마이크로파/열풍(MWH), 마이크로파 진공(MWV)의 건조방법들을 이용하여 5분 건조 1분 정지를 12회 및 10분 건조 1분 정지를 6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 pH, 색도, 산도, 휘발성, 염기질소는 마이크로파 건조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의 경우 포화산이 38.34%, 모노엔산이 22.91%, 폴리엔산이 38.75%로 나타났으며 마이크로파 건조방법도 각각 비슷한 구성을 나타내었고 각 건조방법 공히 palmit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마이크로파 건조 후 마른 멸치의 palmit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각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 공히 alanine, arginine, lysine, leucine 등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은 대조구에 비교하여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이 각 측정항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검사 결과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