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DI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9초

Crude MDI의 정제 및 Monomeric MDI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Monomeric MDI and Purification of Crude MDI)

  • 정종원;김영철;박남국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588-596
    • /
    • 1996
  • Crude MDI를 정제하여 고순도의 Momeric MDI와 반응성이 양호한 Polymeric MDI를 얻기 위해 1차 및 2차 증류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으며, Monomeric MDI의 변색 및 중합방지를 위하여 첨가제 사용 실험을 하였다. 또한 Polymeric MDI는 표준 Polyol system으로 우레탄 반응을 유도하여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1차 증류에서 증류분이 약 32wt%일 때 4,4'-MDI의 함량이 98wt% 이상으로 유지되었으며, 2차 증류에서는 2,4'-MDI의 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류분을 약 20wt% 분리하고 잔류분으로 약 9wt%를 남겼다. 환류비를 2이상으로 유지했을 때 최종 증류분인 Monomeric MDI의 응고점은 $38.4^{\circ}C$ 이상으로 나타났다. Monomeric MDI는 매우 불안정하여 착색이 용이하고 자체 중합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및 인계 2차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중합방지제로는 Benzoyl chloride를 사용한 결과 45일 경과 후에도 색은 APHA 20이하이고, Dimer 생성율은 0.36wt% 이하로 유지되었다.

  • PDF

Thermal Stability of Phenylphosphonic Acid Modified Polyurethanes

  • Dong-Eun Kim;Seung-Ho Kang;Sang-Ho Le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8권2호
    • /
    • pp.70-80
    • /
    • 2023
  • The effect of phenylphosphonic acid (PPOA) on polyurethane (PU) thermal stability was studied throug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o synthesize PPOA-modified PUs (PPOA-PUs), polyether-type diols (Mw=62, 106, 190, 419, 605) were chemically modified with PPOA and then reacted with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 and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in air, the PPOA embedded in the PUs formed intumescent phosphocarbonaceous char. Below 400℃, PPOA-H12MDI-PUs were more unstable, as PPOA decomposed at lower temperatures than phenyl groups and aliphatic ethers. Above 550℃, the thermal stability of PUs followed this order: PPOA-MDI-PUs > PPOA-H12MDI-PUs > MDI-PUs > H12MDI-PUs. At 700℃, unmodified PUs had no residue, while the PPOA-MDI-PU residue was 4.4~23.0 wt.% and the PPOA-H12MDI-PU residue was 1.5~17.5 wt.%. The enhanced thermal stability of PPOA-MDI-PUs at high temperatures can be attributed to the synergetic effect of PPOA and phenyl groups on the formation of phosphocarbonaceous char.

pMDI 커플링제가 마이크로피브릴 셀룰로오스 강화 PBS 나노복합재료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MDI as Coupling Agent on The Properties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reinforced PBS Nanocomposite)

  • 장재혁;이승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83-490
    • /
    • 2014
  • 마이크로피브릴 셀룰로오스(MFC) 강화 polybutylene succinate (PBS) 나노복합재료의 성질에 미치는 MFC 첨가량 및 커플링제로서 polymeric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pMDI)의 첨가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노복합재료의 인장강도 및 탄성율은 MFC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또한 pMDI 첨가에 의하여 인장강도 및 탄성율은 증가하였으며, MFC첨가량이 증가하면서 그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PBS/MFC (70/30) 복합재료에서는 인장강도가 pMDI(1 중량부)의 첨가에 의하여 약 1.5배 이상 향상되었다. 이러한 향상은 pMDI 첨가에 의한 MFC의 분산성 및 메트릭스 고분자와의 계면접착성 향상에 기인하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파단면 관찰로 확인하였다. 또한, pMDI 첨가에 의하여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안정성도 향상되었다.

DRM/DRM+ 이더넷모드의 다중화분산접속 설계분석 (Multiplex Distribution Interface Analyzer Using Memory Sharing Techniqyes on Ethernet Mode for DRM/DRM+ Systems)

  • 우용제;강민구;서정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43-14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라디오 표준인 DRM(Digital Radio Mondiale) 및 DRM+(Digital Radio Mondiale Plus) 시스템을 이더넷모드에서 분석할 수 있는 다중화분산접속(MDI, Multiplex Distribution Interface) 분석기를 설계한다. 제안하는 MDI 분석기는 메모리 공유 기술을 가진 공통 블록 모듈을 사용하여 MDI 패킷들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차세대 디지털 라디오 방송시스템을 위해 수신된 MDI 패킷을 통해 IP(Internet Protocol)와 DRM/DRM+ 시스템의 FAC(Fast Access Channel)/SDC(Service Description Channel) 구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오존산화 콩기름 변성 pMDI 접착제의 고온 및 중온 경화 접착력 (Bonding Strength of Ozonized Soybean Oil-based Modified pMDI Adhesive Hardened at High and Medium Temperature)

  • 이응수;강찬영;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541-54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3시간 오존산화 처리식용유와 pMDI를 혼합하여 고온과 중온에서의 접착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상태 인장전단 접착강도 시험을 통하여 식용유의 목재 접착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고온조건에서 3시간 오존산화 식용유의 상태 접착강도 시험 결과, 오존산화 식용유 : pMDI 비율이 1 : 0.5일 때 4.74 kgf/$cm^2$, 1 : 0.75일 때 7.14 kgf/$cm^2$, 1 : 1일 때 9.29 kgf/$cm^2$, 1 : 2일 때 16.53 kgf/$cm^2$, 1 : 3일 때 17.42 kgf/$cm^2$, 1 : 4일 때 16.75 kgf/$cm^2$를 나타냈다. 따라서 3시간 오존산화 식용유 : pMDI 비율이 1 : 2∼1 : 3일 때 가장 높은 접착력을 보임을 알 수 있어, 두 물질의 적정 당량비가 이 비율에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중온조건에서 3시간 처리한 식용유의 상태 접착강도 시험 결과, 식용유 : pMDI 비율이 1 : 0.5일 때 3.16 kgf/$cm^2$, 1 : 0.75일 때 6.13 kgf/$cm^2$, 1 : 1일 때 8.18 kgf/$cm^2$ 1 : 2일 때 11.82 kgf/$cm^2$이 나타났다. 즉, 고온, 중온에서의 오존산화 처리한 식용유:pMDI 혼합비율이 1 : 2~1 : 3 부근에서 높은 접착력을 보였고, 목재접착제로서 고온에서 접착 할 경우 합판에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Performance of Hybrid Adhesives of Blocked-pMDI/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s for the Surface Lamination on Plywood

  • Lubis, Muhammad Adly Rahandi;Park, Byung-Dae;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200-209
    • /
    • 2019
  • To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of melamine-urea-formaldehyde (MUF) resins, different levels of blocked polymeric 4,4 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B-pMDI) were blended with MUF resins to prepare B-pMDI/MUF hybrid adhesives, and their adhesion performances were evaluated for the surface lamination of fancy veneer on plywood. FT-IR spectra showed that the de-blocked -NCO groups reacted with the -OH of hydroxymethyl groups of the MUF resins to form urethane bonds at 2% B-pMDI/MUF, which was detected before and after their hydrolysis. The mass loss after the hydrolysis consistently decreased as the B-pMDI level increased, indicating an improvement in the water resistance. As the B-pMDI level increased, the activation energy of hybrid adhesives decreased, which improved the reactivity of the hybrid adhesives. Additionally, the water resistance improvement of the hybrid adhesives increased the tensile shear strength of the surface laminated plywood in semi-water proof and water-proof by 23 % and 8 %, respectively, at 2% B-pMDI level. This was likely due to the urethane linkages in the hybrid adhesives. However, the formaldehyde emission from plywood panels bonded with the hybrid adhesives increased in the dry state, indicating incomplete curing of the hybrid adhesives.

Effect of Several Exterior Adhesive Types on Dimensional Stability of Bamboo Oriented Particleboard

  • Iswanto, Apri Heri;Munthe, Rensus;Darwis, Atmawi;Azhar, Irawati;Susilowati, Arida;Prabuningrum, Dita Sari;Fatriasari, Widya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77-281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dhesive types on dimensional stability of bamboo-oriented particleboard. The materials used in this research are bamboo tali(Gigantochloa apus J.A & J.H. Schult. Kurz), UF/MDI(8, 10, 12 % level), and MF, MDI, and PF at 7 % level. Particle and adhesive are mixed using a blending machine; then, mat forming and hot pressing processes are performed using adhesive-suitable temperature and time references. MDI resin is set at $160^{\circ}C$ temperature for 5 minutes. PF resin and MF resin are pressed at $170^{\circ}C$ for 10 minutes, and $140^{\circ}C$ for 10 minutes, respectively, while UF/MDI sets at temperature of $140^{\circ}C$ for 10 minute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leboard using PF resin produces the lowest thickness swelling value. The particleboard using UF/MDI resin also produces good response for thickness swelling value. Interesting things happen in that UF/MDI adhesive produces a thickness swelling value better than that of MDI resin. FTIR analysis on particleboard bonded by UF/MDI resin combination shows the presence of carbonyl group C=O vibration on multi substitution of urea at wave number of around $1,700cm^{-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전분과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혼합에서 커플링제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효과 (Effect of Coupling Agent, Methylene Diisocyanate, in the Blending of Poly(methyl methacrylate)-Modified Starch and Styrene-Butadiene Rubber)

  • 이미춘;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2호
    • /
    • pp.117-126
    • /
    • 2014
  •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전분/스티렌-부타디엔 고무(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개질제로 조사되었다. 한쪽에는 우레탄 결합의 형성으로 인해 다른 한쪽에는 ${\pi}-{\pi}$ 접착 때문에 MDI는 PMMA-modified starch/SBR 계면에서 중간 결합 역할을 하는 것이 형태학적, 기계적, 동역학적 그리고 열적 분해 연구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결과적으로, MDI의 존재는 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과 열적 안정성을 괄목할만하게 개선하였다. 게다가, 생성된 MDI/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여러 가지 물성에 대한 전분 함량의 효과가 형태학, 가황 특성, 기계적 물성, 톨루엔 팽윤 거동, 그리고 열적 안정성에서 조사되었고 자세하게 논의되었다. MDI/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는 carbon black/SBR(CB/SBR) 복합체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였고, 고무 배합물에서 CB의 대체물로서 재생 가능한 전분의 유력한 사용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 -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for Insulation Material with Different Adhesives (I) -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Physical Properties -)

  • 장재혁;이민;강은창;이상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60-3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친환경 목섬유 단열재의 제조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멜라민 요소 폼알데하이드(MUF), 페놀 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DI (eMDI) 및 라텍스계 수지 등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UF, PF, eMDI 수지 접착제로부터는 경질(硬質) 저밀도섬유판이, 라텍스계 수지 접착제로부터는 연질(軟質)의 저밀도섬유판이 각각 제조되었다. 모든 저밀도섬유판은 일반 중밀도섬유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냈으며, 압출 발포 폴리스티렌과 유사한 단열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중 eMDI를 사용한 것은 흡수 두께/길이 팽창률 및 휨 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콩기름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포옴의 합성 (Synthesis of Polyurethane Foam with Soybean Oil)

  • 양도현;이광용;신재섭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731-736
    • /
    • 1999
  • 식물성 천연 유지인 콩기름을 peracetic acid로 에폭시화 시킨 후에 황산 촉매 하에서 메탄올과 반응시켜서 OH-value가 186(mg KOH/g)인 폴리올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폴리올에 계면활성제로는 silicon계 B-8409를, 발포제로는 증류수를, 촉매로는 dimethylcyclohexylamine을, 이소시아네이트로는 polymeric MDI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포옴을 합성하였다. 형성된 포옴의 밀도, 압축강도, 압축탄성률, cell의 구조 등을 조사하였다. MDI의 당량비를 변화시켜 가며 포옴을 형성시켜 보았으며, MDI index를 105로 고정하고, 발포제, 계면활성제, 촉매의 양을 각각 변화시켜 가며 포옴을 형성시켜 보았다. MDI index가 증가할수록 밀도와 압축 물성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