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50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34초

Criticality benchmark of McCARD Monte Carlo code for light-water-reactor fuel in transportation and storage packages

  • Jang, Junkyung;Lee, Hochul;Lee, Hyun Ch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7호
    • /
    • pp.1024-1036
    • /
    • 2018
  • In this paper, McCARD code was verified using various models listed in the NUREG/CR-6361 benchmark guide, which provides specifications for single pin-cells, single assemblies, and the whole co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nuclear properti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McCARD code was verifi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ose of SCALE code for single pin-cell and single assembly benchmark problems. The difference in the multiplication factor obtained through the two codes did not exceed 90 pcm. The benchmark guide treats a total of 173 whole core experiments. The experiments are categorized as simple lattices, separator plates, reflecting walls, reflecting walls and separator plates, burnable absorber fuel rods, water holes, poison rods, and borated moderator. As a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using McCARD, the mean value of the multiplication factors is 1.00223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ultiplication factors is 285 pcm.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ication factors and the experimental value is in the range of -665 pcm to + 1609 pcm. In addition, statistics of results for experiments categorized by reactor shape, additional structure, burnable poison, etc., are detailed in the main text.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copoletin, a Constituent of Solanum lyratum

  • Kang, So-Young;Sung, Sang-Hyun;Park, Jong-Hee;Kim, Young-Cho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718-722
    • /
    • 1998
  • Scopoletin (7-hydroxy-6-methoxycoumarin), a coumarin, was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 of Solanum lyratum Thunb. by the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employing carbon te trachloride-intoxicated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as a screening system. Its hepatoprotective activity was first evaluated by measuring the release of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nd sorbitol dehydrogenase from carbon tetrachloride-intoxicated rat hepatocytes into the culture medium. Scopoletin significantly reduced the releases of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nd sorbitol dehydrogenase from the carbon tetrachloride-intoxicated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by 53% and 58%, respectively, from the toxic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over concentration ranges of 1mcM to 50mcM. Further studies revealed that at the concentration of 10mcM, scopoletin significantly preserved glutathione content by 50% and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by 36% and also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alondialdehyde to the degree as seen in the control.

  • PDF

약제에 의한 Pythium zingiberum의 생장 및 생강 근경부패병 발병 억제효과 (Effects of Chemicals on Growth of Pythium zingiberum Causing Rhizome Rot of Ginger and Inhibition of the Disease Development)

  • 최인영;이왕휴;소인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1-335
    • /
    • 1996
  • 1993년 전북완주와 충남 서산 지역에서 생강 근경 부패병에 감염된 식물체로부터 Pythium sp.를 분리하였으며, 52균주를 형태적 특징과 병원성 검정을 통해 Pythium zingiberum으로 동정하였다. P. zingiberum으로 동정된 균주들이 재배지에서 사용되는 metalaxyl(MT), metalaxyl+copper oxychloride(MC), echlomezol(EM) 및 propamocarb hydrochloride(PC)등에 균사 생장, 난포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약제방제 효과 등을 검토하였다. MT, MC, EM 등이 혼합된 평판배지에서의 균사생육 정도는 50, 100 mg/L에서도 균사생장 억제를 나타냈으나 3균주는 EM 100mg/L에서도 균사생장이 저지되지 않았다. 100mg/L에서도 균사생육 억제효과가 적은 PC의 경우 저항성균주의 난포자 형성량은 약제 희석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하되었으나, 감수성을 나타낸 균주는 10, 50mg/L에서 오히려 증가하였다. 또한 폿트실험을 통한 약효검정 결과에서도 MT, MC, EM등은 대조구에 비해 생강 근경부패병을 억제하였다.

  • PDF

Forskolin의 흰쥐적출관류부신으로 부터 Ach, Excess $K^+$, DMPP, McN-A-343에 의한 Catecholamine 분비효과의 증강작용 (Forskolin-Induced Potentiation of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Ach, DMPP, McN-A-343 and Excess $K^+$ From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김원식;최철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7-181
    • /
    • 1991
  • Adenylate cyclase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약물인 Forskolin의 흰쥐 적출관류 부신으로부터 Ach, excess $K^+$, McN-A-343 및 caffein에 의한 catecholamines (CA) 분비작용에 대한 영향을 검색하고, 그 기전을 규명코자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Forskolin (1.0 uM)은 흰쥐 부신적출정맥내로 1분동안 관류시킨 후 Ach(50 ug), excess $K^+$(56 mM), DMPP (100 uM) 및 caffeine (0.3 mM)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현저히 증강시켰으나 McN-A-343에 의한 CA분비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orskolin 자체는 CA분비작용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또한 세포의 calcium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위 약물에 의한 CA분비작용에 대하여 유의한 증강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cN-A-343의 CA작용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위의 약물의 CA분비작용을 유의하게 강화시켰다. Cyclic AMP를 증가시키는 약물로 알려져 있는 dibutyryl cyclic AMP (DBcAMP)는 300 uM농도를 1분간 관류시 Ach, excess $K^+$ 및 DMPP의 CA 분비작용을 뚜렷하게 증강시켰으나 McN-A-343 및 caffeine의 CA분비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DBcAMP 자체도 CA분비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또한 DBcAMP는 세포의 칼슘제거시에도 위의 약물에 의한 CA분비작용을 의의있게 증강시켰다. 그렇지만,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증강시키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Forskolin는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cyclic AMP 농도를 증가시켜 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증강시키며, 또한 세포내의 칼슘이동에도 관여함으로써 cholinergic nicotinic stimulation 및 depolarization에 의한 CA분비작용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Cement/Slag/Fe(II) 시스템에 의한 클로로포름과 메틸렌클로라이드 함유 액상폐기물의 분해성 고형화/안정화 (Degradative Solidification/Stabilization of Liquid Waste Containing Chloroform and Methylene Chloride by Cement/Slag/Fe(II) Systems)

  • 성요셉;안철홍;최원호;박주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1034-1038
    • /
    • 2008
  • 분해성 고형화/안정화(DS/S, degradative solidification/stabilization)는 전통적인 고형화/안정화(S/S, Solidification/Stabilization)에 경제성과 유기 오염물질의 분해를 추가한 기술이다. 무기 오염물질은 고정되며 유기 오염물질은 DS/S시스템에 의해 분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폐기물 내의 클로로포름(CF)과 메틸렌클로라이드(MC) 분해를 위해 cement/slag/Fe(II)시스템을 바인더로 한 DS/S의 효율성을 평가 하였다. 초기 CF의 농도는 0.26 mM, 1.0 mM, 8.4 mM, 25 mM and 42 mM 그리고 Fe(II) 농도는 200 mM로 하였다. 실험결과 다양한 농도의 CF의 분해경향은 유사일차반응으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초기농도 0.26 mM에서 5일 이내에 95%가 분해되었다. MC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중금속 50 mg/L을 추가하였으나 분해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MC의 분해를 위해서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다른 반응 경로의 부산물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을 통해 cement/slag/Fe(II)에서 메탄 계열의 염소계유기화합물의 명확한 분해 경로와 메카니즘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DR 센서를 이용한 암면 슬라브 수분 특성 분석 및 파프리카 재배의 적용 예 (Analysis of Moisture Characteristics in Rockwool Slabs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Sensors and Their Applications to Paprika Cultivation)

  • 박종석;뉴엔타이;안태인;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8-243
    • /
    • 2009
  • TDR 수분함량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암면 슬라브 배지의 수분함량, 수분분포, 배액 시점의 특성과 포수 시킨 슬라브 배지의 수분함량 분포를 중량법(로드셀 이용)과 TDR 법으로 비교하였다. 배지수분 함량이 40%, 50%, 60%를 TDR 센서 3개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급액시점을 정하며 $5{\sim}6$개월간 파프리카 72주를 유리온실에서 재배하였다. 두 곳의 급액 포인트로부터 등간격으로 설치된 5개의 TDR 센서를 이용하며 건조상태에서 0.2L씩 식 증액시키면서 급액시 슬라브내의 수분분포 특성을 살펴본 결과 급액 장소와 관계없이 슬라브내의 위치별 수분 분포가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슬라브내의 포화수분 상태에서 TDR 센서값은 약 $58{\sim}65%$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약 $50{\sim}55%$의 수분함량 조건에서 배액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배양액으로 완전 포화시킨 슬라브의 TDR 값은 100%를 보인 반면 중량법으로 측정한 유효수분함량(v/v, %)은 90%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증발에 의해 슬라브내의 수분함량이 낮아지면서, 두 측정간의 오차도 줄어들어, 약 60% 이하의 수분함량 조건에서 두 측정방식간의 오차는 5%미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채류 급액 제어 방식으로 TDR 센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급액 시점을 3가지 배지수분조건으로 파프리카를 재배하였을 때 파프리카의 과수, 과중, 식물체의 엽면적 또는 경장과 같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다.

과루인 Methylene Chloride층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 (Apoptotic Effect of MC Fraction of Trichosanthis Kirilowii Maxim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 이주령;이은옥;차윤이;강인철;박영두;안규석;김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43-647
    • /
    • 2003
  • The Methylene Chloride(MC) fraction of Trichosanthis kirilowii Maxim has been investigated anti-tumor activities in vitro. The MC fraction of Trichosanthis kirilowii Maxim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leukemic U937 cell with an IC50 of approximately 10μg/ml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found that the MC fraction upregulated of caspase9 and caspase-3 activity and cleaved PARP expression but it didn't affect bax and bcl-2. which were demonstr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exerted that the MC fraction suppessed human leukemic U937 cell proliferation by inducing apoptosis, suggesting the MC fraction of Trichosanthis kirilowii Maxim is possible to show anti-cancer activity in vivo.

MC-CDMA 기반 통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영역 스크램블링 부호 할당 (Frequency Domain Scrambling Code Allocation for MC-CDMA Based Communication Systems)

  • 임형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A호
    • /
    • pp.44-50
    • /
    • 2007
  • 일반적으로 MC-CDMA 시스템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집합이 할당된 서로 다른 단말기에게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할 때에는 해당 셀에 주어진 스크램블링 부호 집합 중에서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임의로 선택하여 할당한다. 주파수 영역 스크램블링 부호로서 직교 부호가 사용되는 경우, 타이밍 및 주파수 동기가 완벽하고 채널특성이 편평하다면 스크램블링 부호간의 직교성으로 인하여 스크램블링 부호의 선택에 따라 수신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지만, 실제 동작 환경에서는 스크램블링 부호간 직교성이 깨져서 부호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밍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MC-CDMA에서의 주파수 영역 직교 스크램블링 부호의 최적 할당순서를 도출한다.

양성자 빔을 이용한 3차원 마이크로 구조물 가공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Micro Structure Using Proton Beam)

  • 이성규;권원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4호
    • /
    • pp.301-307
    • /
    • 2015
  • MC-50 사이클로트론에서 방출되는 양성자 빔은 직경이 2-3 mm 의 가우시안 분포를 가진다. 이렇게 넓게 조사되는 양성자 빔은 작은 스팟과 정밀한 위치정밀도를 요구하는 반도체 식각, 마이크로 머시닝 등에는 사용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경제적인 대안으로 양성자 빔을 마이크로 홀에 통과시켜 수십 ${\mu}m$ 의 직경을 가지도록 조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양성자 빔의 조형을 위하여 평균 직경 $21{\mu}m$, 두께 9mm 의 세장비 428 의 마이크로 홀을 제작하였다. 마이크로 홀과 양성자 빔을 정밀하게 정렬하여 양성자 빔을 조형하였다. 이렇게 조형된 양성자 빔을 이용하여 수십 ${\mu}m$ 크기의 마이크로 구조물의 가공성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GEANT4 를 이용한 전산모사를 이용하여 해석한 후, 실험결과와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MC-50 사이클로트론이 조형 장치와 함께 20 마이크론 대의 3 차원 구조물 제작을 위한 마이크로 공정기술에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겨우살이의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In Vitro)

  • 홍창의;유수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5-3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의 항산화, 항노화, 미백 효능을 알아보았다. 겨우살이 분획물은 hexane (HX), ethyl acetate (EA), butanol (BU), methylene chloride (MC) 총 4 가지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HX 분획물이 4 가지 분획물 중 가장 높은 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EA 분획물이 가장 높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catalase-유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C 분획물이 가장 높은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 활성을 나타냈다. MC 분획물은 또한 가장 우수한 hyaluronidase와 elastase 억제능을 보였다. 미백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tyrosinase 억제능을 알아보았는데, HX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억제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한국산 겨우살이는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