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03건 처리시간 0.057초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of Geranium nepalense Extracts)

  • 이근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15.0 ${\mu}g/mL$)${\mu}g/mL$)<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0.9 ${\mu}g/mL$)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현초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에탄올 추출물($OSC_{50},\;0.23{\mu}g/mL$) ${\mu}g/mL$)${\mu}g/mL$)순으로, aglycone 추출물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현초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에서 50 ${\mu}g/mL$ 농도에서 ${\tau}_{50}$이 67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각각 70.0, 19.9 {\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7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5.3%, 82.8%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초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현초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도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난백 내 Ovotransferrin의 분리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Purification Method of Ovotransferrin in Egg White)

  • 장애라;조윤제;이무하;김재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1025-1032
    • /
    • 2005
  • 난백 단백질 중 ovotransferrin을 gel chromato- graphy와 heparin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분리 하였다. 1차 gel filtration의 경우에 샘플인젝션 후 65-70min(fraction No. 14) 이후에는 ovalbumin이 ovotransferrin과 혼입되어 분리되고 오히려 ovalbumin의 농도가 더 높은 분포를 보였다. 고순도의 ovotransferrin을 분리하기 위하여 다시 fraction No. 12-14을 농축한 뒤 gel filtration을 실시한 결과 ovotransferrin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는데 이는 gel filtration만의 반복을 통해서 순수한 ovotransferrin을 얻는 것이 비효과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Ovotransferrin을 heparin affinity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리한 경우 칼럼에 Fe2+를 고정시킨 후 50mM EDTA를 흘려 주었는데 ovalbumin이 5-10분경에 용출이 되었고 10-15분경에 ovalbumin과 ovotransferrin이 같이 용출되었다. 그 후에 50mM Phosphate buffer (pH 7.2, 0.15M salt)를 흘려주었는데 여전히 ovalbumin의 밴드가 보여 순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Fe3+를 컬럼에 고정시킨 후 50mM EDTA를 흘려주었을 때 ovalbumin이 10-15분경에 용출이 되었고 15-20분경에 ovalbumin과 ovotransferrin이 같이 용출되었지만 50mM Phosphate buffer (pH 7.2, 0.15M salt free)를 흘려주었을 때 156-165분경에 ovalbumin이 혼입되지 않은 매우 순수한 ovotransferrin이 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gel chromatography를 반복적으로 실시한 경우 보다는 heparin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컬럼에 Fe2+를 고정시킨 경우보다 Fe3+를 고정시켰을 때 더욱 순수한 ovotransferrin을 분리해낼 수 있었다.

Inhibition of Calmodulin-Dependent Calcium-ATPase and Phosphodiesterase by Various Cyclopeptides and Peptide Alkaloids from the Zizyphus Species

  • Hwang, Keum-Hee;Han, Yong-Nam;Han, Byung-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02-206
    • /
    • 2001
  • The effects of various sedative cyclopeptides and peptide alkaloids from the Zizyphus species on calmodulin-dependent $Ca^{2+}$ -ATPase and phosphodiesterase were Investigated. Calmodulin-induced activation of $Ca^{2+}$-ATPase was strongly inhibited by sanjoinine-A dialdehyde (IC_{50}$, 2.3$\mu\textrm{m}$), -Ah1 (IC_{50}$, 4.0$\mu\textrm{m}$), -A (IC, 4.6$\mu\textrm{m}$), and -G2 (IC_{50}$, 7.2$\mu\textrm{m}$), while calmodulin-induced activation of phosphodiesterase was strongly inhibited by both deachuine- S10 (IC_{50}$, 4.9$\mu\textrm{m}$) and sanjoinine-D (IC_{50}$, 9.0$\mu\textrm{m}$).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various cyclopeptides and peptide alkaloids on $Ca^{2+}$-ATPase was found to correlate well with their Sedative activity.

  • PDF

까마중(Solanum nigrum L.) 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ole Plant Extracts of Solanum nigrum L.)

  • 성준섭;김경미;서지영;하지훈;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81-7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조된 까마중(Solanum nigrum L.) 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215.46{\mu}g/mL$, $42.43{\mu}g/mL$, $52.28{\mu}g/mL$이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의 총항산화능($OSC_{50}$) 평가에서, 까마중 50% 에탄올 추출물은 $25.25{\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7.05{\mu}g/mL$, 아글리콘 분획은 $6.25{\mu}g/mL$를 나타냈다.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는 까마중 50% 에탄올 추출물 및 아글리콘 분획은 $5{\sim}25{\mu}g/mL$ 농도에서는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으나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까마중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세포 수준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활성산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을 촉진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장품 등에 까마중 추출물을 응용할 때는 사용상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벼 키다리병균의 Benomyl 약제에 대한 감수성 기준 및 저항성 변화 (Baseline Sensitivity and Monitoring for the Resistance to Benomyl of Fusarium Species Causing Bakanae Disease in Korea)

  • 최효원;이용환;홍성기;이영기;이재금;김효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0-266
    • /
    • 2015
  • 국내에 분포하는 벼 키다리병균의 benomyl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도별로 균주를 수집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으며,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각 균주의 benomyl에 대한 MIC값과 $EC_{50}$값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06년부터 2007년에 분리한 균주의 MIC값은 1.5625~3.125 ug/mL인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분포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 분리균의 MIC값은 25 ug/mL 이상의 농도에서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2006년부터 2007년 분리균의 평균 $EC_{50}$값은 1.6397 ug/mL이었으며, 2013년부터 2014년 분리균은 2.4892 ug/mL로 조사되었다. 국내 벼 키다리병균의 benomyl에 대한 저항성 기준은 MIC값이 25ug/mL 이상이고, $EC_{50}$값이 2.4 ug/mL 이하일 때는 중도저항성으로, $EC_{50}$값이 2.4 ug/mL 이상일 때는 저항성으로 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준에 의한 저항성 균주의 비율은2006년부터 2007년에 12.5%에서 2013년부터 2014년에는 36.4%로 증가하였다. 한편, prochloraz와 benomyl에 모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가 20.3%인 것으로 나타나 벼 키다리병균의 다중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삼박 n-Hexane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ancer Potential of n-Hexane Extract from Ginseng Marc)

  • 인만진;채희정;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47-250
    • /
    • 2014
  • 인삼 추출물 제조 부산물인 인삼박의 지용성 성분을 n-hexane 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인삼의 n-hexane 추출물과 비교하였다. 인삼박의 hexane 추출물(HEGM)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88.8 mg/100 g으로, 인삼의 hexane 추출물(HEG)의 82%를 함유하고 있었다. HEGM의 DPPH 유리 라디칼 소거활성은 $IC_{50}$이 2.07 mg/mL이었고,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HEG가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_{50}=20.0{\mu}g/mL$)와 대장암세포 (SNU-C4, $GI_{50}=37.0{\mu}g/mL$)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과 동일한 양상으로 HEGM도 폐암세포($GI_{50}=34.0{\mu}g/mL$)와 대장암세포($GI_{50}=45.2{\mu}g/mL$)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박에서 얻어진 HEGM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 of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 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33-136
    • /
    • 2016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리라디칼 소거활성($EC_{50}=36.7{\mu}g/mL$)과 환원력($EC_{50}=53.2{\mu}g/mL$)이 증가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정상 세포인 인체 배아 폐상피세포(L132)에는 독성이 낮으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_{50}=74.3{\mu}g/mL$)와 대장암세포(SNU-C4, $GI_{50}=92.8{\mu}g/mL$)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spedeza cuneata extract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4-8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야관문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열수 및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60%로 열수추출물 12.60%보다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42.26 mg/g 및 160.73 mg/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열수추출물에서 92.07% 및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38%로 나타나 50% 에탄올 추출조건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 $1,000{\mu}g/mL$에서 각각 94.46% 및 63.3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50% 에탄올 추출시 높게 나타났으며, pH에 따라 산성에 가까울수록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Nitric oxide 생성량은 50% 에탄올 추출 $250{\sim}1,000{\mu}g/mL$에서 $7.15{\sim}20.61{\mu}M$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인간 폐암세포주(A549), 인간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인간 간암세포주(Hep3B) 및 마우스 복수암 세포주(sarcoma180)에 대한 암세포 생육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 및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생육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HeL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rotoberberine 알칼로이드가 PC12 세포중의 L-DOPA 유도 세포독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oberberine Alkaloids on L-DOPA-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 이재준;김유미;김춘매;양유정;강민희;이명구
    • 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0-233
    • /
    • 2003
  • Previously, protoberberine alkaloids such as berberine and palmatine have been found to lower dopamine content in PC12 cells (Shin et at., 2000).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erberine and palmatine on L-DOPA-induced increase in dopamine level and cytotoxicity in PC12 cells were investigated. Treatment of PC12 with L-DOPA at concentration ranges of 20∼50 $\mu$M increased dopamine content and the increase in dopamine levels by L-DOPA was inhibited by 10∼40 $\mu$M berberine and 10∼80 $\mu$M palmatine, which the concentration ranges did not show a cytotoxicity. However, berberine and palmatine at concentrations higher than 50 $\mu$M and 100 $\mu$M caused a cytotoxicity, respectively. In addition, berberine (10∼20 $\mu$M) and palmatine (10∼50 $\mu$M) at non-cytotoxic concentration ranges aggravated L-DOPA-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L-DOPA concentration ranges, 20∼50 $\mu$M). The L-DOPA-induced cytotoxicity was also significantly potentiated by berberine (50 $\mu$M) and palmatine (100 $\mu$M) with cytotoxic ranges. These data demonstrate that berberine and palmatine inhibit L-DOPA-induced increase in dopamine content and stimulate L-DOPA-induced neurotoxicity.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long-term L-DOPA treated patients with berberine and palmatine could be checked the adverse symptoms.

한국 남해에서의 해수의 광학적 성질 - 농어 . 쥐치 . 검복 - (The Spectrum of Feeding Sound and the Response of Seabass , Filefish and Swellfish)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8권2호
    • /
    • pp.61-67
    • /
    • 1982
  • 한국 남해에서의 해수의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0년 7월에 부산에서 제주도에 이르는 10개 관측점에서 투명도, 수색, 태양광의 4가지색(Clear ; 400~720nm, Red ; 600~700nm, Green ; 475~600nm, Blue ; 400~475nm)에 대한 해수의 표면조도 및 수중조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해역의 평균투명도는 17.1m (13~25m) 였고, 평균수색은 3.9 (3~5)였다. 2. 해수의 평균흡수계수는 적색광이 0.119 (0.069~0.154), 백색광이 0.102 (0.066~0.137), 청색광이 0.095 (0.056~0.129), 녹색광이 0.091 (0.054~0.123)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3. 해수의 흡수계수 k와 투명도 D와의 관계는 적색광이 k=2.01/D, 백색광이 k=1.71/D, 청색광이 k=1.60/D, 녹색광이 k=1.52/D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4. 태양광선의 표면광에 대한 평균 해중 투과율은 녹색광(수심 5m층에서 60.9%, 15m층에서 24.51%, 30m층에서 7.11%, 50m층에서 1.56%), 청색광(수심 5m층에서 59.4%, 15m층에서 22.92%, 30m층에서 6.09%, 50m층에서 1.29%), 백색광(수심 5m층에서 57.3%, 15m층에서 20.82%, 30m층에서 5.16%, 50m층에서 0.94%), 적색광(수심 5m층에서 52.2%, 15m층에서 15.99%, 30m층에서 2.99%, 50m층에서 0.39%)의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