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062X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체심정방정 구조 Fe-Co계 합금상의 합성 및 그 자기적 특성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Body-centered-tetragonal Fe-Co Alloy)

  • 김경민;권해웅;이정구;유지훈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9-134
    • /
    • 2017
  • 합금 제조에 흔히 이용되는 기존의 용해, 응고, 열처리 등의 가공 공정으로 덩치 형태의 체심정방정 구조의 Fe-Co계 합금상을 합성하고, 그 결정학적,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Fe_{100-x}Co_x)_{1-y}C_y$ 합금에서 체심정방정 구조의 단일상(martensite)이 얻어지는 Co 및 C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어, Co의 함량 x = 2.5, C의 함량 y = 0.062로 제한된 조성에서 체심정방정 구조의 단일상 합금이 얻어졌다. 합성된 조성 $(Fe_{97.5}Co_{2.5})_{0.938}C_{0.062}$인 체심정방정 구조의 단일상 합금의 정방성(tetragonality, c/a)은 1.05였으며, 이 합금의 결정자기 이방성 상수, $K_1$ 값은 순수 철(${\alpha}-Fe$)의 $K_1$ 값에 비하면 3.1배 정도 높은 $1.5{\times}10^5J/m^3$였다.

지적좌표계의 세계좌표 변환 연구 (A Study on Converting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to Global Coordinate System)

  • 박춘수;홍성언;박종오;정택승;성백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적좌표체계의 세계좌표체계로의 변환 실험연구를 통하여 위치 및 면적의 변화량과 이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검토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개선점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의 좌표변환 결과, 모든 필지경계점(총 478점)에 대한 좌표변환의 표준편차가 X=0.0079m, Y=0.0153m로 나타나 매우 양호하게 산출되었다. 면적의 차이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0.062$m^2$정도의 차이를 보여, 이는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면적허용오차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대상지역에 한정하여 본다면 위치나 면적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세계좌표계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Ultra Thin Film Encapsul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n a Plastic Substrate

  • Park, Sang-Hee;Oh, Ji-Young;Hwang, Chi-Sun;Lee, Jeong-Ik;Yang, Yong-Suk;Chu, Hye-Yong;Kang, Kwang-Yong
    • ETRI Journal
    • /
    • 제27권5호
    • /
    • pp.545-550
    • /
    • 2005
  • We have carried out the fabrications of a barrier layer on a polyethersulfon (PES)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based on a plastic substrate by means of atomic layer deposition (ALD). Simultaneous deposition of 30 nm $AlO_x$ film on both sides of the PES film gave a water vapor transition rate (WVTR) of $0.062 g/m^2/day (@38^{\circ}C,\;100%\;R.H.)$. Further, the double layer of 200 nm $SiN_x$ film deposited by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and 20 nm $AlO_x$ film by ALD resulted in a WVTR value lower than the detection limit of MOCON. We have investigated the OLED encapsulation performance of the double layer using the OLED structure of ITO / MTDATA (20 nm) / NPD (40 nm) / AlQ (60 nm) / LiF (1 nm) / Al (75 nm) on a plastic substrate. The preliminary life time to reach 91% of the initial luminance $(1300 cd/m^2)$ was 260 hours for the OLED encapsulated with 100 nm of PECVD-deposited $SiN_x$ and 30 nm of ALD-deposited $AlO_x$.

  • PDF

Analysis of Nonclassical Fullerene C24 Regioisomers Encapsulating H2O using Hybrid Density Functional Methods B3LYP and M06-2X

  • Lee, Seol;Lee, Ji Young;Lee, Kee Ha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3호
    • /
    • pp.899-904
    • /
    • 2014
  • The atomic structures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six classical and nonclassical $H_2O$@$C_{24}$ fullerene regioisomers are systematically studied using the hybrid density functional B3LYP method and M06-2X method with empirical dispersion in conjunction with the 6-31G(d,p) basis sets. The charge transfer, frontier orbitals, dipole moment, energy gap between the HOMO and LUMO, and volume change of the $C_{24}$ cage are analyzed upon encapsulation of a $H_2O$ molecule in each $C_{24}$ regioisomer. All encapsulation processes are endothermic and the relative stabilities of six $C_{24}$ fullerene regioisomers change upon encapsulation of $H_2O$.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BiFeO3 Multiferroic Ceramics

  • Roy, M.;Jangid, Sumit;Barbar, Shiv Kumar;Dave, Praniti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4권2호
    • /
    • pp.62-65
    • /
    • 2009
  • The multiferroic $BiFeO_3$ has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in both thin film and ceramic form. However, the synthesis of a perfect sample with high resistivity is a prerequisite for examining its properties. This paper reports the synthesis of multiferroic $BiFeO_3$ along with its structural,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in ceramic form. Polycrystalline ceramic samples of $BiFeO_3$ were synthesized by solid-state reaction using high purity oxides and carbonates. The formation of a single-phase compound w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and its lattice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a standard computer program. The microstructural studies and density measurement confirmed that the prepared samples were sufficiently dense for an examination of its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The dc electrical conductivity studies show that the sample was resistive with an activation energy of ${\sim}0.81\;eV$. The magnetization measurement showed a linear ($M{\sim}H$) curve indicating antiferromagnetic characteristics.

졸-겔 합성에 의한 BaFe12-2xCoxTixO19 미립자의 자기적 특성 (Magnetic Characteristics of BaFe12-2xCoxTixO19 Particles Prepared by Sol-gel Synthesis)

  • 최현승;정지형;박효열;김태옥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2-68
    • /
    • 2003
  • 졸-겔법으로 보자력 제어에 뛰어난 첨가제인 Co와 Ti을 첨가한 Ba-ferrite 미립자를 합성하였다. 졸-겔 반응시, 반응 시간이 90분에서 120분 이내에서 온도, pH 및 점도의 변화가 없고, aging 시간에 따라 점도가 안정한 상태치 졸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졸을 건조 및 열처리 후,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DTA)와 X-Ray Diffractometer(XRD)를 통해 Ba-ferrite 상이 약 $700^{\circ}C$부터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열처리 온도 증가에 의해 결정성이 좋아짐을 볼 수 있었다. Scanning Election Microscopy(SEM)로 표면형상을 관찰한 결과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비교적 균질한 입도 분포의 미립자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VSM)로 Co와 Ti의 첨가량에 따른 자기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포화자화(M$_{s}$ )값은 첨가량에 관계없이 변화가 없었으나, 보자력(H$_{c}$)값은 첨가량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다.

춘천 연옥의 결정화학과 미시적 공생관계에 관한 연구 (Crystal Chemistry and Fine-scale Paragenesis of Chuncheon Nephrite)

  • 노진환;최진범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6-114
    • /
    • 2000
  • 춘천 연옥은 색깔에 따라 세가지 유형 (연녹색, 암녹색, 및 회색 연옥)으로 구분되고 이들은 각기 서로 다른 조직과 조성을 나타낸다. 연녹색 연옥이 이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연옥은 주로 극미립의 연옥질 투각섬석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미량의 휘석, Mg-녹니석 및 방해석이 불순물로서 수반된다. 연옥질 투각섬석 결정들은 그 폭이 5$\mu\textrm{m}$ 이하의 극미립질 침상 결정형을 이루며 서로 치밀하게 얽혀있는 연옥 특유의 조직을 나타낸다. 주사전자현미경 하에서 (110)의 벽개면의 발달이 현저하고, 주사탐침현미경 하에서는 벽개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특징적인 조선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연옥질 투각섬석은 투과전자현미경 하에서 흔히 단쇄형과 복쇄형이 결합한 3중쇄형 격자가 복쇄형의 투각섬석 구조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협재되는 혼성격자 구조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드물지만 5중쇄형 격자와 4중쇄형 격자도 관찰되는데, 이 같은 불규칙한 격자 혼재상은 회색 연옥에서 보다 현저한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혼성격자 구조형의 존재는 춘천 연옥이 열역학적으로 비평형 상태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리트벨트법에 의한 구조검증을 통해서 구해진 연옥질 투각섬석들의 격자상수 값들은 X-선회절의 경우, a=9.837(1)~9.9804(4)$\AA$, b=18.046(2)~18.062(1)$\AA$. c=5.2765(7)~5.2803(3)$\AA$, $\beta$=104.717(9)~104.786(3)$^{\circ}$로 계산되었다. 이에 비해서 중성자 회절법에 의해서 측정되 격자 상수 값은 a=9.8841(6)~9.8933(7)$\AA$, b=18.1429(7)~18.161(2)$\AA$, c=5.3024(3)~5.3060(7)$\AA$, $\beta$=104.698(7)~104.771(4)$^{\circ}$로서 X-선회절에 의한 값들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연옥질 투각섬석은 Ca에 대한 Mg의 치환에 의해 M(4) 자라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b축의 단위포도 함께 줄어드는 결정화학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중성자 회절분석에 의해서 구해진 M(4)의 자리점유율과 M(4)-O의 원자간 거리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연옥질 투각섬석에 대한 리트벨트법에 구조검증 결과는 연옥의 유형별 미시적 광물상과 혼성격자 구조형의 특징에 별다른 연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이스 하키 슬랩 샷(slap shot)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Ire hockey slap shot)

  • 문곤성;박종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Ice hockey slap sh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professional ice hockey players. The reflective markers were attached on the anatomical boundary line of bod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shot. Ariel Performance Analysis System was used to capture and digitize the shooting image, the data were analyzed by LabView 6i.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The period of the back swing phase was $0.542{\pm}0.062sec$, the down swing phase was $0.28{\pm}0.056sec$ and the total swing time was $0.825{\pm}0.017sec$ 2. The maximum linear velocity of the stick blade for x direction was shown after 7% of impact, for y, z direction were shown before 2%, 8% of Impact. 3. The maximum velocity of each segment for the left arm was $2.35{\pm}0.05m/s$ in the upper arm, $3.56{\pm}0.34m/s$ in the forearm, $4.75{\pm}0.67m/s$ in the hand. 4. The maximum velocity of each segment for the right arm was $4.67{\pm}0.43m/s$ in the upper arm, $7.22{\pm}0.69m/s$ in the forearm, $9.42{\pm}0.89m/s$ in the hand. 5. The angle of left elbow was generally flexed from the ready stance to the impact and was $82.26{\pm}3.45^{\circ}$ the moment of Impact. 6. The angle of the left shoulder was increased ut the down swing phase and was $78.74{\pm}4.78^{\circ}$ on the moment of impact. 7. The angle of the right shoulder was decreased in the down swing phase and increased before the impact. and the angle was $51.28{\pm}3.54^{\circ}$ on the moment of impact.

Crystal Structures of Vacuum Dehydrated Fully $Cd^{2+}$-Exchanged Zeolite A and Its Ethylene Sorption Complex

  • Kwang Nak Koh;Un Sik Kim;Duk Soo Kim;Yang Ki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2호
    • /
    • pp.178-181
    • /
    • 1991
  • The crystal structure of dehydrated fully $Cd^{2+}$-exchanged zeolite A evacuated at $2{\times}10^{-6}$ Torr and $450^{\circ}C (a = 12.225(2){\AA})$ and of its ethylene sorption complex (a = 12.219(2) ${\AA}$) have been determine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techniques in the cubic space group Pm3m at $21(1)^{\circ}$. The structures were refined to final error indices, $R_1$ = 0.063 and $R_2$ = 0.065 with 266 reflections and $R_1$ = 0.055 and $R_2$ = 0.062 with 260 reflections, respectively, for which $I{\gg}3{\sigma}(I)$. In both structures, six $Cd^{2+}$ ions lie at two distinguished three-fold axes of unit cell. Dehydrated $Cd_6$-A sorbs 4 ethylene molecules per unit cell at $25^{\circ}C$ (vapor pressure of ethylene is ca. 100 Torr). Each $Cd^{2+}$ ion forms a lateral ${pi}$ complex with an ethylene molecule. Four $Cd^{2+}$ ions exist in a nearly tetrahedral environment, 2.210(7)${\AA}$ apart from three framework oxygen ions (considering ethylene molecule as a monodentate ligand) and $2.67(6){\AA}$ from each carbon atom of ethylene molecule.

측두하악장애의 진단에서 Bone Scan의 유용성 (Clinical Utility of Bone Scan in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김인주;강양호;손석만;이경석;이재복;김용기;서봉직;박준상;고명연;손성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1-517
    • /
    • 1995
  • 목적 : 골 및 관절질환의 예민한 진단방법으로 이미 잘 알려진 골스캔의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진단 및 관절원판변위와 관절염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한 측두하악관절원판 변위환자 21예(일측성 13, 양측성 8), 관절염 환자 26예(일측성 23예, 양측성 3예)와 측두하악장애의 병력과 증상이 없는 대조군 39예에서 골스캔을 시행하고, 10만 계수의 두경부의 측면영상에서 측두하악관절부위?l 섭최계수를 구하여 각 측두하악관절의 섭취율과 양측측두하악관절 섭취율의 차이를 구하여, 임상증상과의 일치정도를 확인하고, 환자군에서는 경두개 및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측두하악관절의 단순섭취율은 정상대조군에서 $1.084{\pm}0.172$였고, 관절염으로 이환된 관절에서 $1.673{\pm}0.606$으로 가장 높았으며, 관절원판변위로 이환된 관절에서는 $1350{\pm}0.351$로 대조군에서 보다 증가되어 있었다. (p<0.01). [대조군의 평균치+2표준편차]인 1.428%이상 증가된 경우는 일측성으로 이환된 관절원판변위 환자에서 21.3%, 일측성관절염 환자에서 69.6%였다. 2) 양측 측두하악관절 단순섭취율의 차이는 대조군에서 $0.062{\pm}0.063$이었고, 일측성 관절염 환자에서 $0.608{\pm}$0.533으로 가장 높았으며, 관절원판변위 환자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p<001). [대조군의 평균치+2표준편차]인 0.188이상 증가된 경우는 일측성 관절염환자의 87%, 일측성 관절원판변위 환자의 23%였다. 3) 방사선 촬영결과 골변화가 나타났던 관절과 골 변화가 없었던 관절사이의 섭취율 차이는 없었고, 방사선 촬영결과의 골변화와 골스캔상의 섭취율의 증가가 임상상과 일치한 경우는 일측성 관절원판변위 환자 13예 중 각각 0예와 3예, 일측성 관절염환자 23예 중 12예와 16예였다. 결론 : 측두하악관절의 장애가 유발된 경우 골스캔상 측두하악관절의 섭취가 증가되며, 이는 관절원판변위 환자보다 관절염 환자에서 더욱 현저히 관찰된다. 양측 측두하악관절 섭취율의 차이도 일측성 관절염환자에서 일측성 관절원판변위 환자보다 더욱 현저히 증가되어 보인다. 따라서 골스캔은 특히 일측성으로 이환된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진단 및 관절원판변위와 관절염의 구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간편한 진단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