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sinensis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초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에 근거한 온주밀감과 '부지화'의 잠재적 재배지 변화 예측 (Projection of Potential Cultivation Region of Satsuma Mandarin and 'Shiranuhi' Mandarin Hybrid Based on RCP 8.5 Emission Scenario)

  • 문영일;강석범;이혜진;최영훈;손인창;이동훈;김성기;안문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5-222
    • /
    • 2017
  • 감귤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온주밀감(Citrus unshiu Marc.)과 '부지화'[Shiranuhi, (Citrus unshiu ${\times}$ C. sinensis) ${\times}$ C. reticulata]를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0년까지를 기준년도로 하여 2090년까지 잠재적 재배지 변화를 예측하였다. 재배지 변화는 국가농림기상센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와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된 30m 해상도를 가진 농업용전자기후도를 이용하였다. 온주밀감의 잠재적 재배적지는 기준년도에서는 대부분 제주 지역이 해당되었으며, 재배가능지는 제주 동부지역과 남해안 일부지역이 포함되었다. 2030년대에는 온주밀감 재배적지는 증가하였으며 재배가능지도 전남지역의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2060년대부터는 재배적지는 제주 산간과 전남과 경남, 강원도 해안지역으로 점차 증가하고 재배가능지도 경북, 충남, 전북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부지화' 감귤인 경우 기준년도에서 재배적지는 제주 해안 지역 일부만 포함되었으며 재배가능지는 제주지역과 전남 남해안 일부 지역만 해당되었다. 2030년대 재배적지는 현재 온주밀감 재배지가 해당되었으며 재배가능지도 남해안 일부 지역까지 북상하였다. 2090년대에는 재배적지가 점점 증가하여 제주지역 전체와 전남, 경남, 강원도 해안지역이 재배적지가 되었으며 재배가능지도 점점 해안가를 중심으로 북상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근거로 감귤의 재배적지변화를 예측해 본 결과 온주밀감재배적지는 감소하고 '부지화' 감귤의 재배적지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세기 말에는 강원도 지역까지 감귤이 재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부영양 저수지의 조류제거를 위한 기능성 천연물질혼합제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Test of Plant-Mineral Composites to Control Nuisance Phytoplankton Aggregates in Eutrophic Reservoir)

  • 이주환;김백호;문병천;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31-41
    • /
    • 2011
  • 유해 조류 제거를 위해 기 개발된 천연물질혼합제의 최적화 조건을 찾기 위해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조류제거율 및 유기물 응집부상량을 조사하였다. 천연무질혼합제는 천연 식물체(상수리나무, 밤나무, 녹차 잎)와 광물질(황토, 맥반석, 제오라이트)을 단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혼합한 물질로 비중이 낮은 유기물질을 응집시켜 부상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실험은 농도 $0{\sim}1.0\;mL\;L^{-1}$, 광도는 $8{\sim}1,400\;{\mu}mol\;m^{-2}s^{-1}$, 수온은 $10{\sim}30^{\circ}C$, pH는 7~10, 수심은 10~50 cm 그리고 조류종은 cyanobacteria, diatom, green algae의 조건 범위에서 각각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0{\sim}1.0\;mL\;L^{-1}$ 농도에서 모두 80% 이상의 조류제거율을 나타냈으나 경제성과 안전성을 고려했을 때 가장 낮은 농도인 $0.05\;mL\;L^{-1}$가 적정 농도로 판단되었다. 광도는 $1,400\;{\mu}mol\;m^{-2}s^{-1}$에서 약 93%, 수온은 $20{\sim}30^{\circ}C$에서 약 60~74%, pH는 7~9 사이에서 약 93%, 수심은 50 cm 이하 모든 수심에서 90% 이상, 조류종에서는 cyano bacteria가 우점하는 수체에서 약 86%로 각각 가장 좋은 조류제거율을 나타냈으며, 응접부상효과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에서 천연물질혼합제는 수중 부유물보다 조류의 제거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수중 조류나 부유물질의 크기가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천연물질혼합제는 수온이 상승하는 봄~여름(수온: $20{\sim}30^{\circ}C$), cyanobacteria와 green algae가 우점하는 수체에 적용 시 높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현장 적용을 통한 효과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창원시 보호수의 분포현황과 실태진단 (Diagnosis of Real Condition and Distribution of Protected Trees in Changwon-si, Korea)

  • 유주한;박경훈;이영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9-70
    • /
    • 2011
  • 본 연구는 창원시에 위치한 보호수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항목은 일반현황, 입지정보, 개체정보, 건강정보, 토양정보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수 현황은 총 26개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푸조나무, 은행나무, 개서어나무, 반송, 굴참나무, 소나무, 왕버들 등 9종이다. 보호수 유형에서는 정자목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보호수가 수령 200년 이상이었다. 해발범위는 14~173m였고, 평탄지에 보호수가 많이 있었다. 입지유형의 경우 마을형, 산야형 순이었으며, 토지이용은 건물지가 가장 많았다. 수고범위는 8.0~30.0m, 지하고는 0.6~5.1m, 흉고직경은 240~700cm, 근원직경은 210~800cm이었다, 수관면적의 경우, 5번 느티나무가 가장 넓었다. 현황판은 23번과 26번을 제외하고 대부분 설치되어 있었다. 보호책이 설치된 지역은 9개소, 석축이 있는 지역은 14개소였다. 지지대가 설치된 지역은 5개소, 복토는 대부분 되어 있지 않았다. 바닥재질은 흙, 자갈과 식생의 순이었다. 고사지율 범위는 0~40%이며, 수피이탈율은 0~60%이었다. 공동이 있는 지역은 23개소였으며, 12번 푸조나무가 공동의 면적이 가장 넓었다. 답압 발생 지역은 7개소, 병충해 발생 지역은 2개소, 상처 발생 지역은 23개소, 뿌리 노출 지역은 13개소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토양산도 pH 4.5~8.0, 유기물함량 3.5~69.8g/kg, 전기전도도 0.11~2.87dS/m, 유효인산 3.0~490.6mg/kg, 치환성 칼륨 0.10~1.05cmol+/kg, 치환성 칼슘 1.41~16.45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37~1.96cmol+/kg, 치환성 나트륨 0.25~2.41cmol+/kg, 양이온치환용량 8.35~26.55cmol+/kg으로 나타났다.

남해군 어촌지역 무인도 생태현황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f Ecology Status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Fishing Village in Namhae-Gun)

  • 강현경;이수동;조현서
    • 농촌계획
    • /
    • 제15권2호
    • /
    • pp.81-96
    • /
    • 2009
  •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ecology(topography structure. land-use, flora, plant community structure, wildbird) in 10 uninhabited islands(i.e. Kei island, Hadon island, Sangdon island, Daewa island, Hwanggang island, Naebi island, Oebi island, Prickly castor-oil tree island, Tongin island, Yuk island), Namhae-gun, Gyeongsangnam-do. Moreover, It has suggested ways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ecology status by classifying the type of environment ecology about the degree of use and damage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environment ecology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opography structure survey, the survey site altitude was ranged within 1m$\sim$25m, otherwise, the radient was classified the rock area(.i.e. slope of less than $5^{\circ}$ the dead level) and the slope area where is steep slope. Moreover, there was showed evenly a variety of aspect. Land-use were divided the field(Kei island), dry native grasslands(Hadon island), naturalized grasslands(Sangdon isl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Dacwa island, Hwanggang island, Naebi island, Yuk island), the rock area(Oebi island, Prickly castor-oil tree island, Tongin island). As the results of flora surve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ere 30$\sim$115 species and the naturalized species were found 2$\sim$12 species in each site. The result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The dominant species wer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were in upper tree layer, furthermore, it were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Prunus sargentii, Celtis sinensis, Morus bombycis, ect. in cannopy tree layer. In shrub layer, the dominant species were Rosa multiflora, Rubus crataegifolius, Parthenocissus tricuspidata, etc. The status of wildbird bird, had been found 42 species 938 individuals, especially, there were Bubo bubo kiautschensis(natural monument No. 324) and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natural monument No. 326). According to these synthetic results, we are able to classify the 5 types of environment ecology such as the natural coast forest that composed of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Daewa island, Hwanggang island, Naebi island, Oebi island, Tongin island, Yuk island), the field in vegetation area(Kei island), vegetation succession area of fallow field type(Hadon island), vegetation damage area by the forest fire and disturbance elements(Prickly castor-oil tree island), dominant naturalized species grassland by grazing cattle(Sangdon island).

부산광역시 동백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Busan)

  • 김경원;이경재;최진우;염정헌;안인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5-214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 46호인 동백섬에 대해 문화경관림으로서의 식생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동백섬 내 자연휴식년제 지역인 정상부 주변 $20,000m^2$이었다. 지형, 식생, 식생관리현황을 기준으로 식생구조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유형별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식생구조 유형은 관리되고 있는 동백나무림,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 험준지의 미관리된 사스레피나무림 등 3개로 구분되었으며,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유형 I), 사스레피나무(유형II, III)가 우점하였다. 특히, 관목층을 중심으로 난대림의 극상수종인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결과, 유형 I, II에서 중경목의 팽나무와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고 모든 유형의 관목층에서 후박나무가 4~44주 생육하였다. 교목층의 평균 수령은 66년, 아교목층은 22.9년이었으며 종다양도는 0.5472~0.8646로 분석되었다. 동백섬의 식생관리 방향으로서 기존 관리된 동백나무림은 주기적인 관리를 유지하며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은 사스레피나무를 제거하고 동백나무를 식재하는 관리를 제안하였다. 관리되지 않은 험준지 사스레피나무림은 동백나무경관 형성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측되어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천이유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억새 EST 정보 유래 전사요소 WRKY의 난지형 잔디의 저온 발현 반응성 (Miscanthus EST-originated Transcription Factor WRKY Expression in Response to Low Temperature in Warm-season Turfgrasses)

  • 정성진;최영인;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68-375
    • /
    • 2013
  • 국내에 자생하는 참억새(M. sinensis)와 물억새(M. sacchariflorus)의 잎과 지하경 조직 EST로부터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전사요소 탐색하여 저온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고 난지형 잔디에서 저온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탐색된 전사조절 요소의 종류는 총 50 종류로 나타났고, 그 중 WRKY family에 속하는 EST 절편이 226개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9.6%). 그 중 억새 WRKY family를 기능이 밝혀진 다른 작물의 WRKY 유전자들과 비교 검색한 결과 약 80개의 억새 isotig가 저온에 반응하여 발현이 유도 또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애기장대와 벼에서 저온 처리 후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억새의 MSIR7180_ WRKY4 유전자를 대상으로 그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버뮤다그래스는 비교구에서와 비슷하게 처리기간 동안 높은 유전자의 발현을 보였고, 금잔디(Z. matrella)간의 교배를 통해 얻어진 세밀 품종은 처리기간 내내 발현이 미약하였다. St. Augustinegrass는 3일 동안은 비교구와 큰 차이가 없다가 5일째부터 발현이 증가하였고, Seashore paspalum은 처리 초기에 발현이 높다가 처리가 진행되면서 약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버뮤다그래스와 St. Augustine grass는 저온 반응성이 신속하여 휴면을 준비하지만 금잔디와 Seashore paspalum은 휴면 돌입이 늦어 녹색이 상대적으로 늦게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저온 적응을 위한 또 다른 환경요인의 작용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녹색 기간이 길고 내한성이 높은 품종의 개발을 위해서는 더 많은 유전자의 종합적인 고찰과 판단이 요구된다.

산화적 상해로 인한 상피세포암 세포(KB) 억제에 미치는 천연약용식물 추출물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Natural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rowth Inhibition of Carcinoma (KB)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 김정희;주은미;김진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183-19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약용작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하에서 상피세포암 세포 생장억제의 상승효과를 검색하였다. 한국인 호발암인 간암, 위암 및 대장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총 51 종의 천연 약용작물을 선정하여 메탄올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고 ,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하에서 이 추출물의 암세포생장억제상승효과를 검색하였다. 사용된 51종의 시료 중 27 시료가 다양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이 나타난 27 시료 중 고련피, 곽향, 노나무, 도인, 방기, 백두웅, 백화사설초, 전호, 오미자, 조각자, 천궁의 11시료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부가시 $IC_{50}$ 값이 50% 이상 감소되었으며, 다른 16 시료엣 50-25%의 $IC_{50}$ 값의 감소가 나타났다.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 11 시료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용량 의존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가장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노나무(Catalpa ovata)로서 과산화수소수 75 및 100 uM을 가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부가하였을 때 각각 61 및 28%의 $IC_{50}$ 값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그 외 고련피, 곽향, 도인, 백두옹, 오미자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설악산의 식물군락연구 제1보 : 계통 및 군업의 분류 (Investigation Report on Plant Communities of Mt. Sulak. Report I. Researches on the Classification of Formation and Association)

  • 박만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권2호
    • /
    • pp.1-21
    • /
    • 1959
  • 1. The plant communities on Mt. Sulak, a typical alpine mountain in central Korea was researched from the standpoint of ecological survey. 2. The plant on this mountain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2 categories, the warm zone (below 1100m) and the frigid zone. The former is again classified into a broad-leaved tree formation and a needle-leved tree formation, and the latter is calssified into a broad-leaved tree formation and needle-leaved tree formation, and shrub formation. 3. The broad-leaved tree formation in the warm zone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a Carpinus laxiflora-syringa Palibiniana var. kanibayashi association(1), a Carpinus erosa-Acer Pseudo-sieboldianun association(2), and a Quercus mongolica- Tripterygium Regelii association(3). 4. The needle-leaved tree formation in the warm zone can also largely ben classified into a Pinus densiflora- Miscanthus sinensis association(4), Abies holophylla- Tripterygium regelii association(5), Pinus kordiens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ssociation(6) In the association(4), the canopy of the Pinus densiflora is gradually being occupied by the Quercus mongolica which is one kind of broad-leaved trees. 5. We can fully see a DryoPteris type of the flour layer plant type in the association (3) and also see a Sasamorpha type in the association (5). 6. The broad-leaved tree formation in the frigid zone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ssociation (8). The constituents of tree and subtree layers in (7) and (8) associations are similar to those association (3), but the constituents of the shrub lay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ssocitation (3)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7. The needle-leaved formation in the frigid zone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Thuja koraiensisRodgersia podophylla var. viritis association (9) and Abies nephrolepis-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sscciation (10). The species of alpine plants or subalpine plants are gradually increased in this formation. 8. The shrub formation can also largely be classified into a Rhododendron mucronulatum- Patrinia saniculaefolia association (11) and Pinus pumila associatio (12). Association (12) has largely developed on the windy place. Association (12) was burned due to the bombing during the Korean war, but now we recoginized there occurred an invasion of Tripterygium Regelii in such a place. 9. The herb layer species which constitute the shrub formation are mostly alpine or subalpine plants of small size, and their kinds are also very few. 10. The growth of the Moss layer is especially good because of the varied conditions of the habitat. The kinds which can easily be seen are the genus of Thunidium, Haplocladium, Brachythecium, Macromitrium, Holonitrium, Atrichum, Schwstchkeopsis, Grimmia, Hedwigia, Rhynchostegium and Mnium. 11. The genus of the Sphagnum densly grows like a mat at the acid and moisturous place above 1100m. The authors should express their thanks to father. Yang Kisup, Dean of Catholic Medical College, Prof. Yoon Doksuen, from their valuable advice. Thanks arealso due to Prof. Numata, Chiba University, Prof. Takagi, Nagoya University and Prof. Ando, Hiroshima University in Japan for his kind help and identification of Bryophytes.

  • PDF

경상북도 동해안 곰솔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thunbergii Stand in the Eastern Coast of Gyeongsangbuk-do)

  • 천광일;정성철;윤호중;변준기;주성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57-68
    • /
    • 2012
  • 본 연구는 관광객의 증가 및 개발로 인해 식생의 파편화가 진행되고 있는 해안 곰솔림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곰솔 우점림에 조사구 70개($20{\times}20m$)를 설치하여 수행하였다. 경상북도 동부 해안가 곰솔림의 군집분석 결과 곰솔림은 3개의 군집(곰솔-소나무군집, 곰솔-아까시나무군집, 곰솔-소나무-팽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다수응답순열절차 검정 결과, 군집은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 결과, 유의한 종은 소나무, 작살나무, 노간주나무, 산철쭉 등 19종이 분석되었다. 곰솔림의 개체군 구조는 12~26 cm의 직경급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봉형 양상(hump-shape pattern)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H')는 목본층에서 $1.033{\pm}0.234{\sim}1.629{\pm}0.226$, 초본층에서 $2.448{\pm}0.232{\sim}2.545{\pm}0.318$ 사이로 나타났다.

국내 수종별 BVOCs 방출량(II): 도시 숲 주요 수종 (Emission Rate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Various Tree Species in Korea (II): Major Species in Urban Forests)

  • 장한나;손정아;김주완;김준혁;김영성;최원실;이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490-501
    • /
    • 2022
  • 식물체에서 isoprene, monoterpene, sesquiterpene과 같은 화합물들 형태로 방출되는 피톤치드를 포함한 VOCs를 총칭하여 생물유래 휘발성유기화합물 BVOCs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로 구분하고 있다. 피톤치드는 중요한 산림치유 인자인 동시에 질소화합물과 광학반응을 하여 오존 및 이차 유기에어로졸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숲 주요 32 수종을 선정하여 3년생 이하 묘목을 연구 대상으로 표준환경조건(온도: 30℃, 광도: 1,000 μmol/m2/sec)에서 400 L Tedlar bag을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여 도시숲 주요 수종에서 방출되는 기체시료를 포집하여 열탈착-GC/MS로 분석하였다. 해당 수종의 잎을 건조시켜 건중량 당 수종별 isoprene 및 terpene류 38종의 방출량을 분석하였다. Isoprene 방출량은 전체 수종 중에서 신갈나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버드나무, 아까시나무, 왕버들이 주요 isoprene 방출 수종으로 분류되었다. Monoterpene 방출량은 스트로브잣나무가 가장 높았으며 참죽나무, 박태기나무가 주요 monoterpene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erpene 주요 물질은 α-pinene, myrcene, camphene, limonene이였으며, oxygenated monoterpene의 주요 물질은 eucalyptol이였다. Oxygenated sesquiterpene에서는 caryophyllene oxide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지만 32개 수종에서 sesquiterpene과 oxygenated sesquiterpene의 방출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