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창원시 보호수의 분포현황과 실태진단

Diagnosis of Real Condition and Distribution of Protected Trees in Changwon-si, Korea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영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Park, Kyung-Hu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Han (Dept. of Eco-friendliness Research,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투고 : 2011.02.10
  • 발행 : 2011.03.31

초록

본 연구는 창원시에 위치한 보호수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항목은 일반현황, 입지정보, 개체정보, 건강정보, 토양정보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수 현황은 총 26개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푸조나무, 은행나무, 개서어나무, 반송, 굴참나무, 소나무, 왕버들 등 9종이다. 보호수 유형에서는 정자목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보호수가 수령 200년 이상이었다. 해발범위는 14~173m였고, 평탄지에 보호수가 많이 있었다. 입지유형의 경우 마을형, 산야형 순이었으며, 토지이용은 건물지가 가장 많았다. 수고범위는 8.0~30.0m, 지하고는 0.6~5.1m, 흉고직경은 240~700cm, 근원직경은 210~800cm이었다, 수관면적의 경우, 5번 느티나무가 가장 넓었다. 현황판은 23번과 26번을 제외하고 대부분 설치되어 있었다. 보호책이 설치된 지역은 9개소, 석축이 있는 지역은 14개소였다. 지지대가 설치된 지역은 5개소, 복토는 대부분 되어 있지 않았다. 바닥재질은 흙, 자갈과 식생의 순이었다. 고사지율 범위는 0~40%이며, 수피이탈율은 0~60%이었다. 공동이 있는 지역은 23개소였으며, 12번 푸조나무가 공동의 면적이 가장 넓었다. 답압 발생 지역은 7개소, 병충해 발생 지역은 2개소, 상처 발생 지역은 23개소, 뿌리 노출 지역은 13개소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토양산도 pH 4.5~8.0, 유기물함량 3.5~69.8g/kg, 전기전도도 0.11~2.87dS/m, 유효인산 3.0~490.6mg/kg, 치환성 칼륨 0.10~1.05cmol+/kg, 치환성 칼슘 1.41~16.45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37~1.96cmol+/kg, 치환성 나트륨 0.25~2.41cmol+/kg, 양이온치환용량 8.35~26.55cmol+/kg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aw data to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manage the protected trees located in Changwon-si,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information of location, individual, management, health and soi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otected trees were located in 26 spots, and species of trees were 9 taxa; Zelkova serrata, Celtis sinensis, Aphananthe aspera, Ginkgo biloba, Carpinus tschonoskii,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Salix glandulosa. In protected tree types, shade trees were the most, and the majority of theirs were 200 years or more in age. The range of altitude was 14~173m, and the number of trees located in flat fields was the most. For location types, village and field and mountain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nd, in land use, land for building was the most. The range of height was 8.0~30.0m, 0.6~5.1m in crown height, 240~700cm in diameter of breast and 210~800cm in diameter of root. In case of crown area, Zelkova serrata of No.5 was most large. The status boards were mostly installed except No.23 and No.26. The sites with fence were 9 spots, and the site with stonework were 14 spots. The sites with the support beam were 5 spots, and most sites were not covered up with soil. The materials of bottom were soil, gravel and vegetation in the order. The range of withering branch rate was 0~40%, and peeled bark rate was 0~60%. The sites made holes were 23 spots, and the hole size of Aphananthe aspera of No.12 was the largest. The sites disturbed by human trampling were 7 spots, the sites by disease and insects of 2 spots, the sites by injury of 23 spots and the sites by exposed roots of 13 spots. In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there showed that acidity was pH 4.5~8.0, organic matter content of 3.5~69.8g/kg,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0.11~2.87dS/m, available $P_2O_5$ of 3.0~490.6mg/kg, exchangeable K of 0.10~1.05cmol+/kg, exchangeable Ca of 1.41~16.45cmol+/kg, exchangeable Mg of 0.37~1.96cmol+/kg, exchangeable Na of 0.25~2.41cmol+/kg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8.35~26.55cmol+/k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경, 이승제(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II-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2): 36-45.
  2. 강호철, 이정환, 이광수, 사공영보(2002). 농촌지역 노거수의 생장활력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1)-진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4): 27-36.
  3. 강호철, 이정환(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실태와 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63-83.
  4. 김도균(2007). 임해매립지의 느티나무 식재 이후 뿌리 생장특성-뿌리 구조 및 세근의 공간적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5): 46-55.
  5. 김승환, 김순희(1996). 부산시 노거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생육환경 및 배치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2): 86-98.
  6. 김용수, 임원현, 나정화, 윤영활(1996). 노거수목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4(2): 1-17.
  7. 김재생(1983). 경남지역의 보호수와 그 전설에 대한 조사연구. 경남문화연구. 6: 43-61.
  8. 김태식, 이창훈, 박인환, 이혜영(2009). 전라도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 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36-147.
  9. 문형태, 표재훈, 김준호(1998).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한국생태학회지. 21(1): 1-6.
  10. 박봉주, 윤용한, 김원태, 이원호(2007). 충주시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 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60-71.
  11. 방광자, 이승제, 강현경(2003).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3): 35-45.
  12. 서정영, 이영이, 나명하, 이재근(2009). 보호수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화성시 보호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93-102.
  13. 심근정, 강신용, 김수봉, 김용수(1999). 농촌지역 노거수의 변천과정과 보전대책-경남 합천군을 대상으로-. 환경과학논집. 4(1): 1-17.
  14. 심우경(1991). 한국 보호수의 상징적 가치와 보호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91-104.
  15. 오구균, 최송현, 김성현, 최우경(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영봉 및 도락산일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90-98.
  16. 유주한(2005).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128.
  18. 윤용한, 주진희(2010). 제천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현황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67-74.
  19. 이승제(2004).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노거수 관리방안. 상명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임원현, 유주한, 손호기, 도후조(2009). 경주월성의 생태적 특성 및 진단에 따른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9-48.
  21. 장명준(2003). 노거수의 생육환경 및 보호에 관한 조사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은재, 김종원(2007). 노거수 생태와 문화. 서울: 도서출판 월드사이언스.
  23. 차동관, 손호기(1999). 울산시 노거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녹지환경논총. 2: 69-80.
  24. 하태주, 방광자(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 활력도 측정에 관한 연구-경상도 천연기념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1): 100-107.
  25. 허상현, 하재호(2004). 경주시 보호수 생육실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3(10): 883-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