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y QAM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2초

비동기 DS-CDMA/M-ary QAM 시스템에서 다단병렬간섭제거기와 부분 다단병렬간섭제거기에 의한 성능 개선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Improvement by Adopting a Multistage Parallel Interferece Canceller and a Partial Multistag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er on the Asynchronous DS-CDMA/M-ary QAM Systems)

  • 김봉철;오창헌;최충열;조성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A호
    • /
    • pp.929-938
    • /
    • 2001
  • CDMA 2000 1X EV.(HDR, 1XTREME, LAS-CDMA)에서는 고속데이터 전송을 위한 변조방식으로 M-ary QAM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M-ary QAM을 사용한 DS-CDMA 시스템은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반면에 M-ary 수가 증가할수록 잡음(AWGN)과 타 사용자에 의한 다중접속간섭(MAI)의 영향이 커져 비트에러율(BER)이 증가하고 채널용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DS-CDMA/M-ary QAM 시스템에서 많은 사용자에게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잡음을 줄이거나 MAI를 경감시킬 수 있는 성능 개선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개선 기법으로서 다단병렬간섭제거기(MPIC : Multistag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er)와 부분 다단병렬간섭제거기(partial MPIC)를 채용한 비동기 DS-CDMA/M-ary QAM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과에서, MPIC와 partial MPIC를 채용함으로써 4 QAM, 16 QAM 및 64 QAM을 사용한 DS-CDMA 시스템의 BER과 채널용량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MPIC를 채용한 경우는 AWGN 채널의 BER에 근접하였다. 또한, MPIC는 partial MPIC보다 BER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더 많은 채널용량 개선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MPIC는 partial MPIC 보다 계산량이 훨씬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성능과 복잡도 사이에 타협(tradeoff)이 필요하다.

  • PDF

PAR 저감기법을 적용한 COFDM 시스템의 성능분석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COFDM System using PAR Reduction Method)

  • 성태경;김동식;조형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5-2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OFDM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송신단의 피크전력 대 평균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e; PAR) 을 고려하여 부호화된 OFDM (Coded OFDM) 시스템을 설계하고 PAR 저감기법을 사용하여 BER (Bit Error Rate)과 SNR (Signal to Noise Ratio) 특성을 평가하였다. 변조방식에 따른 성능 평가를 위하여 M-ary PSK와 M-ary QAM 방식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16-PSK와 16-QAM 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16-QAM이 16-PSK 방식보다 10-3의 오차범위에서 2 dB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Peak Power Clipping 기법에서는 약 5dB 정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실수 M진 QAM의 정확한 분석 (Exact Analysis of a Real-Number M-ary QAM)

  • 전성배;이지훈;정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299-306
    • /
    • 2017
  • 실수 M진 QAM 시스템은 PAPR을 낮추고 M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분석의 복잡성으로 인해 근사적인 성능 분석만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성상도 상의 신호 점들의 사용 빈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계선의 변화를 고려하는 정확한 성능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PAPR에서 확연히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2 시간 차원 ($3{\times}2^m$)진 QAM (홀수 m) 시스템의 성상도를 제안한다. 성능분석에 있어서 실수 M진 QAM에 대한 신호 점의 오류율과 비트 오류율을 m 값에 대하여 일반화하고 기존의 $2^k$진 QAM (정수 k)간의 성능을 비교한다.

Max-Log-MAP 방식을 이용한 M-ary QAM Demapper의 성능 (Performance of M-ary QAM demapper with Max-Log-MAP)

  • 이상근;이윤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6-4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Max-Log-MAP 방식을 이용하여 M-ary QAM Demapper를 구성하고 이 출력을 터보 복호기에 입력시켜 반복 복호 결과를 보인다. Demapper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Max-Log-MAP 방식과 이 방식의 구현 복잡도를 줄인 근사형 수식을 이용하고 실제 설계 방안도 제시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Max-Log-MAP 방식에 비해 근사형 방식은 성능의 저하를 보이지만 설계 복잡도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M-ary QAM의 심벌 오류 확률 (Probability of symbol error for M-ary QAM in nakagami fading channel)

  • 조경국;윤동원;한영열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1호
    • /
    • pp.9-15
    • /
    • 1997
  • The Nakagami m-distribution is used to model different fading environments and shown to fit experimental resutls more accurately than other distributions. In this paper, the probability of symbol error for M-ary QAM with square signal constellation in frequency-nonselective shlow Nakagami fading and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is derived. When Nakagami fading index is integer, the derived resutls leads to the closed-form of a finite series.

  • PDF

M-ary QAM 신호를 적용한 다단계 MCMA 블라인드 등화 기법 (Multi-level MCMA Blind Equalization Technique using M-ary QAM signal)

  • 김성미;조주필;백흥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B호
    • /
    • pp.1453-145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ary QAM를 시스템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CMA는 크게 두가지의 문제점을 가지는데 첫째 M의 크기가 4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렴 성능이 저조하여 등화기의 성능이 떨어지며 둘째 수렴 후 위상이 왜곡되는 점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16-QAM 변조 방식을 적용한 신호의 등화시 변조된 신호에 따라 일정한 구간을 정한 다음 이에 따라 등화하는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심볼간 간섭을 줄이고 등화 성능을 높이도록 하였다 모의 실험에서는 residual ISI를 이용하여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다.

  • PDF

반송파 주파수 옵셋에 따른 OFDM M-ary QAM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of OFDM M-ary QAM System in the presence of Carrier Frequency Offset)

  • 계선형;유형석;서종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B호
    • /
    • pp.1024-103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고속 광대역의 정보신호를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M-ary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신호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전송방식을 사용할 때, 반송파의 주파수 \ulcorner셋이 발생하는 동기오차가 수신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OFDM-16QAM 및 OFDM-64QAM의 수신 SER(Symbol Error Rate)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OFDM 전송시스템에서 반송파의 주파수 \ulcorner셋에 의한 인접 부채널간 간섭은 부반송파의 개수에 비례하여 크게 증가하였고, 높은 신호대 잡음전력비에서도 SER 성능에 error floor가 발생하였다. 즉, OFDM-64QAM의 경우, OFDM-16QAM보다 주파수 \ulcorner셋에 의한 SER 성능열화가 커서 정규화된 반송파의 주파수 \ulcorner셋이 0.011일 때 SER=1$\times$10-7에서 error floor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OFDM-16QAM과 OFDM-64QAM 시스템에서 요구 SER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허용 가능한 최대 주파수 \ulcorner셋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부호화된 MIMO 시스템을 위한 M-ary QAM 연판정 검출 기법 (M-ary QAM soft detection scheme for coded MIMO systems)

  • 김영민;김흥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7-338
    • /
    • 2012
  •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은 추가적인 대역폭의 필요 없이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세대 방송기술 및 이동 통신기술에서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다중 안테나 전송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또 다른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큰 특징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중 경로 및 무선 경로 페이딩에 의한 성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판정 검출 값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사용에 있다. 이 경우에 수신단에서 MIMO 검출 후 수행되는 터보 부호에 대한 복호 과정에서 연판정 입력이 필요하고, 이 연판정 입력 값이 복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판정 검출 값이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MIMO 검출 후 M-ary QAM 복조시 경판정 경계를 이용한 연판정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적은 연산을 요구하는 M-ary QAM 의 연판정 검출 방식을 제안한다.

  • PDF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OFDM/MQAM의 전송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FDM/MQAM Transmission Performance for Wireless Multimedia Communication)

  • 강희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7-25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고속 광대역의 정보신호를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M-ary QAM OFDM 전송 시스템을 제안하고 반송파의 주파수 옵셋이 발생하는 동기오차가 수신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수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상 디지털 방송을 위해서 검토한 SP방식 프래임 구성의 64QAM OFDM의 비트 오율 이론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검토를 하여 이의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다단계 복소 활성 함수를 이용한 신경회로망에 의한 M-ary QAM 신호의 적응 등화 (Neural adaptive equalization of M-ary QAM signals using a new activation function with a multi-saturated output region)

  • 유철우;홍대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5C권1호
    • /
    • pp.42-54
    • /
    • 1998
  • For decreasing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due to band-limited channels in digitalcommunication, the uses of equalization techniques are necessary. Among the useful adaptive equalization techniques, because of their ease of implementation and nonlinear capabilites, the neural networks have been used as an alternative for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channel distortion. In this paepr, a complex-valued multilayer percepron is proposed as a nonlinear adaptive equalizer. After the important properties that a suitable complex-valued activation function must possess are discussed, a new complex-valued activation function is developed for the proposed schemes to deal with M-ary QAM signals of any constellation sizes. It has been further proven that by the nonlinear transformation of the proposed fun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of input data decreases when they are jointly Gaussian random variables. Last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is demonstrated by simulations.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compared with the linear equalizer using the least mean squares (LMS) algorith, an interesting improvement concerning Bit Error Rate (BER) when channel distortions are nonline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