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public spac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ADS-B, 기상, 지형 데이터의 통합을 통한 대기속도 추정 (Airspeed Estimation Through Integration of ADS-B, Wind, and Topology Data)

  • 김효중;박배선;유창경;이학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7-74
    • /
    • 2022
  • 일반적으로 동역학 방정식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기 역학적 성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진 대기속도가 필수적이다. 대기속도는 피토관과 같은 항공기의 탑재 장비를 이용하여 계측할 수 있으나, 상업용 항공기의 계측 데이터는 항공사 내규 관련 보안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확보하기 어렵다.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항적 데이터 중 하나로 방송형자동종속감시 데이터가 있으며 항공기의 속도를 대지속도 형태로 제공한다. 대지속도는 진 대기속도와 바람 속도의 합으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인들이 획득 가능한 항적, 기상, 지형 데이터를 결합하여 진 대기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각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좌표계를 일치시킨 후 고도 기준을 평균 해수면 고도로 통일하였다. 또한, 해상도가 가장 낮은 기상 데이터의 격자를 기준으로 보간을 수행하여 항적 데이터의 모든 점에 대한 바람 벡터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여러 항적에 적용하여 기상, 지형 데이터의 통합을 통해 진 대기속도를 추정하였다.

밀폐공간 종류별 유해가스 발생 농도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Hazardous gases in Confined Spaces)

  • 박현희;유계묵;함승헌;정광재;신민아;이구용;장경조;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1-389
    • /
    • 2009
  • Confined spaces are inherently dangerous workplace and many fatal and nonfatal accidents have been reported. Even though these accidents occur in various kinds of confined spaces, there has rarely been reported on the health hazard agent, i.e., the types of gases and their concentration rang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several toxic and asphyxiating gas concentrations in various confined spaces. We surveyed 57 manholes, 3 sewage treatment plants, 2 yellow radish manufacturing companies and 7 barge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oxygen($O_2$), hydrogen sulfide($H_2S$), carbon monoxide(CO), ammonia($NH_3$). Lower Explosion Limits(LEL)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ose four types of confined spaces occupies 56% of accidents during last 9 years in Korea. In 57 manholes, the concentr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manholes; rainfall and sewage, and by location;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Sewage manhole in industrial area was evaluated as the most hazardous than other types of manhole like rainfall manholes, residential sewage manholes. The highest $H_2S$ concentration and the lowest $O_2$ concentration at sewage manhole in industrial area were 300 ppm, 8.7% respectively. In 3 sewage treatment plants, $H_2S$ and $NH_3$ concentrations were reached up to the 500 ppm and 200 ppm respectively. Two yellow radish manufacturing companies showed the concentrations of 316 ppm, 505.2 ppm, 90 ppm and 15.7% for $H_2S$, CO, VOCs and $O_2$, respectively. Seven barges showed 15.9%~20.9% oxygen concentration. Gas species and concentration ranges varied by the types and location of confined spaces; CO, $H_2S$, $O_2$ could be hazardous in manhole, especially manhole connected to sewage plants. CO, $H_2S$, LEL, $O_2$, $NH_3$ should be controlled in sludge silo and sluge pumping confined spaces in sewage treatment plant. The activity of lifting out radish from the storage tank was evaluated more hazardous rather than the other activities in yellow radish manufacturing industry. The employers must conduct the survey to identify all possible confined spaces in their local workplace prior to performing the tasks. At the national level to reduce the accidents in the confined spaces, we suggest that systemic approach and activ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possible hazards,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ventilation pla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confined spaces should be implemented.

교육시설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분포 특성 연구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in Indoor School Spaces)

  • 조영민;이지윤;권순박;박덕신;박재형;조기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7-125
    • /
    • 2011
  • There are many studies reporting the average carbon dioxide levels in various indoor spaces. However,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showing how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ried at many measurement points in one indoor space.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t classroom, library, and kindergarten were reported to find its carbon dioxide distribution change at various locations and altitudes. The maximu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3 sites were measured as 2,684, 2,295, and 1,526 ppm, respectively. These values exceeded the guideline concentration of 1,000 ppm for public plac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higher at upper area than lower area, and this is probably due to the rise of warm breathing air generated from students. In the upper area,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higher at center area than four corners. However, in the lower area,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higher at four corners than center area.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enter of upper area is the best place for the installation of ventilation or carbon dioxide removal system.

국내 종합병원 설계경기 당선작의 설계 변경 원인에 관한 연구 - 건축 고정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uses of Changes in Architectural Plan on the Prizewinner of General Hospital Design Competitions in Korea -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Fixed-Elements)

  • 육허정일;김성현;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15-2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esign drawing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design process between hospital design competition and the final detailed design. Based on this, factors that can reduce the rate of changes in drawings are deri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to lessen the rate of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e design and can be reflected in the design competition guidelines. Methods: In this study, cases of hospitals are selected which are built in 5 recent years. Then compare and analyze the drawings which was drawn in the process from submission of competition to final design. After investigating the design changes that occur after the design competition, analyze the fixed-elements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design changes. Fixed-elements can be narrow down into few architecture-factors such as vertical-core, shafts, public-corridor, HAVC, and mechanical/electrical spaces. Results: Result of the rate of changes in each selected hospital floors can be sorted into variable-elements and fixed-elements which tells that the higher the rate of changes of the fixed-elements, the higher the rate of changes of the variable-elements. Implication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as the lower the change rates of the fixed-element, lower changes in whole design changes which represents that the greater the efficiency can be shown in the design process.

고령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한 전시시설 환경디자인 체크리스트 적용현황 비교분석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 Design Checklist at Exhibition Facilities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 - Focused on Korea and Japan-)

  • 오지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4권
    • /
    • pp.277-287
    • /
    • 2016
  • 본 연구는 증가하는 전시시설 고령관람자들의 신체 특성을 반영한 환경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 전시시설의 적용현황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국·공립 박물관 8곳 (역사계 4곳, 미술계 4곳)을 선정하고 전시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체크리스트 적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전시시설의 공간범위는 진입공간, 전시공간, 교육활동공간, 공공서비스공간, 이동공간으로 구분되며 고령자의 신체특성은 감각영역(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운동영역(골격, 근력, 체력)으로 구분된다. 체크리스트에 근거하여 설치, 부분설치, 미설치로 구분하여 해당점수를 부여하여 평균값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과 일본 전시시설 모두 평균값 이상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고령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한 환경디자인이 시설 내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난 전시공간과 교육활동공간은 대부분 권장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대부분 부분설치 또는 미설치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 번째, 고령자의 신체특성 중 감각영역(청각)에 해당하는 항목의 설치가 특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고 음성안내, 긴급호출벨, 보청설비 등 추가 시설이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네 번째, 전시시설의 건립시기, 리모델링 시기에 따라 체크리스트 평가점수가 다르게 나타나며, 역사계와 미술계 전시시설의 특성에 따라서도 점수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수유 실천과 관련 요인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 박천만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43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e factors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during an infant period to grasp elements detrimental to breast-feeding and, therefore, provide basic information useful for its effective practice and encouragement. Method: From April 1 to June 30, 2001,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mothers of 337 who were 6 months old, as of the surveyed date, of infants born in 2002 and registered in Seongju-gun Public Health Center, Gyeongsangbug-do Province. The method for its survey included both of the visiting and telephone interviews, and questions were mainly about the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3 questions), infants' general characteristics(3 questio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 delivery( 4 questions), support to breast-feeding(4 questions),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5 questions), and feeding type during the 1 to 6-month period after birth. Result: 1. The feeding type during the I-month period after birth showed that the breast-feeding accounted for 42.4%, which was higher than dry milk-feeding(30%) or mixed milk-feeding(26.8%). However, it began to be lower than the dry milk-feeding from the 2-month period after birth. During the 6-month period, the breast-feeding accounted for 28.6% which was lower than 56.5% of the dry milk-feeding. 2. The mothers who were encouraged by their delivery clinic to and were educated to breast-feed infants accounted for 55.4% and 41.4%, respectively, which were relatively low. Th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indicated that the responses were positive from the view point of mother & infant health, but negative from mother's physical form. 3. It was shown that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p〈0.05) and the higher the unemployment of mother(p〈0.001), the higher the positiv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and that the higher the entire support to breast-feeding, the more positive their understanding. 4. It was also shown that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p〈0.05), the higher the unemployment of mother(p〈0.001), the more the experience in breast-feeding at a delivery clinic(p〈0.01) and the faster the initial feeding(p〈0.001), the higher the rate of breast-feeding. 5. The factor having an effect on breast-feeding included a delivery clinic's encouragement to breast-feed(p〈0.001),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p〈0.01), father's comment on feeding method(p〈0.05) and mother's employment(p〈0.05). Discuss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breast-feeding, as shown above, it is required, fist of all, to offer pregnant women an education about importance and excellence of breast-feeding and its appropriate method before delivery in advance to result in a positive comprehension of the breast-feeding. To do that, both the publicity activities and program development designed to encourage the breast-feeding must be performed in advance at the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to that, the mother-infant space as ‘rooming-in’ available for breast-feeding immediately after delivery must be prepared on the basis of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inally, female employees' leave after childbirth must b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ductive welfare and circumstances also be prepared for breast-feeding, such as a children's home at work.

중국의 도시녹지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에 관한 법제도의 현황과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in China)

  • 신익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녹지에 관한 현행 중국의 법제도를 조사하여 도시녹지의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을 항목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그 속성을 이해하고, 국내 규정과 상이한 특이점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향후 이들 법규의 국내 도입 여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원녹지, 생산녹지, 방호녹지, 부속녹지, 기타녹지 등 5종류로 구분되는 중국의 도시녹지는 공원과 녹지 개념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점이 공원과 녹지가 엄밀히 구분되어 있는 국내의 공원녹지 개념과는 상이하며, 종합공원, 공동체공원, 전문공원 및 대상(帶狀)공원 등으로 구분되는 중국의 도시공원의 종류는 하위 법규인 '도시녹지분류표준'에서 밝히고 있다. 둘째, 옥상조경 시 중국에서는 주민 출입이 용이한 지하나 반지하 건물의 옥상 외에는 옥상조경의 조경면적을 도시녹지의 녹지율 산입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고, 도시 주민들의 생활환경 확보를 위해 거주구 계획 설계 시의 녹지 요구 조항과 거주구, 소구(小區), 조단(組團) 등 거주구 종류별 의무적 공공녹지 확보율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셋째, 거주구 내 녹지계획 시 녹지계통 수립이 의무화되고, 기존 수목과 녹지의 보존 이용을 명시하고 있다. 녹지율은 구거주구 재정비시의 경우 신거주구 건설시보다 완화시켜 주고, 특이하게 녹지 경사도를 별도로 명시하고 있다. 거주구공원, 어린이공원(소유원(小遊園)), 조단(組團)녹지 등 각급 중심녹지의 설치 내용, 요구사항 및 최소 면적 규모가 명시되어 있고, 특히 조단녹지의 일종인 정원식 조단녹지는 폐쇄형 녹지와 개방형 녹지로 분류하여, 다층 고층 건물별로 남 북측 건물 간격과 녹지 면적 확보치를 밝히고 있으며, 녹지 면적 계산법이 별도의 규범에 제시되어 있다. 넷째, 거주구별 달성해야 할 거주구 내 공공녹지의 1인당 확보 면적인 총 지표가 정해져 있고, 이 경우 노후 구역 재정비시에는 일정치까지 완화할 수 있다. 공공녹지의 위치와 규모, 최소폭, 개소당 최소 면적 등이 명시되어 있고, 도로와의 인접, 전체 면적 대비 녹화 면적비, 개방적 공간 확보, 일조음영선 범위 등 공간 배치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다섯째, 지하관선 설치 시의 녹지 고려 사항으로 지하관선과 주변 녹화수목과의 최소 수평 이격거리가 명시되어 있고, 공공서비스 시설 중 녹지 설치를 위해 종류별 서비스 내용에 따른 녹지 설치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국내 규정에는 없는 중국 법규만의 특이점에 대한 국내 도입 여부의 검토가 향후 요구되고,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의 도시녹지 관련 법제도 연구의 당면성에 대한 국내 조경가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조경 법제도의 국제화 진입의 계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활하중에 대한 복층터널 슬래브의 구조적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safety of middle slab in double deck tunnel under live loads)

  • 김태균;김세권;김현준;김창용;유완규;황성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71-18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대심도 복층터널 Test Bed 구조물에 대한 슬래브의 사전 구조안전성 평가를 통해 슬래브의 가설시와 공용하중 작용시에 발생 가능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미리 분석하는 것이다. 대심도 복층터널의 설계 및 시공기술개발의 성과물을 Test Bed 구축을 과정을 통해 검증하고 확인할 수 있으며, 엔지니어 및 일반인들의 학습현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지하공간 개발의 시기를 더욱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특히, 원형의 대심도 복층터널 단면 내부에 구축되는 슬래브는 시공방법과 사용하는 시공장비에 따라 설계하중이 달라지며, 이번 Test Bed 구조체는 그 내부에 상부 슬래브 및 풍도슬래브를 전용 가설장비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동안 가설장비하중과 상·하부 슬래브에 공용하중으로 가정된 KL-510의 3등급 트럭하중을 하중조합별 작용위치를 달리하며 상·하부 슬래브에 각각 재하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의정부 역전 근린공원 설계 (Neighborhood Park Design for Railroad Station in Uijeongbu City)

  • 권진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4-74
    • /
    • 2010
  • 본 연구는 의정부역과 연접한 캠프 홀링워터 미군공여지의 이전과 관련하여 대상지에 의정부시 도심지의 특성을 고려하고, 환경요구에 대한 적절한 기능을 수용하며, 독창적인 경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심형 공원 현상설계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계획을 위한 사고의 바탕은 대상지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광장과 공원을 합리적으로 융합하고, 역세권지역에 입지한 공원이 갖추어야 할 도시적 맥락을 반영하고 환경 친화적 공간의 실현방안들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도심형 광장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현대도시공원의 경향과 관련한 계획적 특이사항 및 미래에 대한 공원의 적응 방법들을 파악하여 계획의 내용에 반영하였다. 공간 운용을 위한 특이사항으로는 계획되어진 프로그램에 의하여 공간을 체험하기보다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환경과 연계된 이용자들의 자발적 행동에 의하여 공간의 특성이 만들어지도록 디자인의 차별성을 검토하여 적용하였는데 계획상에 나타난 설계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과 특정 공간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광장의 형태를 벗어나, 도시의 구조적 맥락과 이용행태를 수용할 수 있는 비움의 공간으로 조성하여 변화하고 성장하는 도시생태에 적합한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이러한 오픈스페이스들은 도시의 성장에 대처할 수 있는 지속적인 맥락을 가지며, 이용행태의 변화와 시간적 추이에 따른 자생적 프로세스를 가지며 유지될 것이다. 둘째, 공원과 도시 그리고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은 현대의 도시환경 속에서 공존하고 상호 교감하며 네트워킹 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공원은 도시 내에 격리된 하나의 녹지 섬이 아니라 인접한 상업시설, 공공시설, 주거단지들의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는 열린 공간이 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터를 마련하고 있다. 셋째, 탄소저감과 함께 제로시티의 바탕이 되는 환경 친화적인 공간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계획과 함께 흥미로운 체험디자인 방법들을 반영함으로써 직 간접적인 생활 교육의 효과를 유도하도록 계획하였다.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45
    • /
    • 2012
  •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