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2.23.4.327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Kong, Soon-Ku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Park, Ji-Hun (홍익대학교 대학원)
Shin, Han-Sol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v.23, no.4, 2012 , pp. 327-34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that are open to public. it aims to increase library access and further improvement of accessible information environment by opening the libraries within schools. In case of Japan, libraries' importance to school education enacted world's first School library act by 1953 and installation rate of school libraries is achieved up to 100%. These libraries opened to its local community i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library usage and now in total of 11.6% of lower, middle, and upper school are already opened to their local community. Considering decreasing usage of facilities in schools, teacher vacant time, expanding libraries, and other various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t will lead to equal access to information environment and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ways of installing school libraries in appropriate sizes and forms within their local societies. It also propose possible ways to open school libraries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Keywords
School Library; Local Community; Type of Opening; Type of Arrangment Space Composi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日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2007. 學校圖書館法. 일본: 전국학교도서관협의회.
2 日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2002. 學校圖書館圖書整備費の豫算化 及び兒童の 讀書活動の推進に關する調査結果. 일본: 전국학교도서관협의회
3 日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2001. 學校圖書館の法規․基準. 일본: 전국학교도 서관협의회
4 日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1999. 學校圖書館の基準. 일본: 전국학교도서관협 의회.
5 日本 文部科學省. 2001. 新しい時代に對應 した學校圖書館の施設․環境づく り: 知と心のメディアセンタ-として, 文敎施設協會/ボイックス. 일본: 문 부과학성.
6 日本 文部科学省. 2011. 学校図書館の現状 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online]. [cited 2011.6.1]. .
7 日本 札幌市. 2011. 札幌市学校図書館地域開 放事業 [online]. [cited 2011.3.10]. .
8 국립중앙도서관. 2008. 주요국 도서관법. 도서관연구소 웹진, 10 [online]. [cited 2008.2.26]. .
9 소병문. 2010.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을 어떻게 볼 것인가?: 구로구 4개 고등학교의 지역사회 개방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57: 112-122.
10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발전적 원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7-31.
11 이원숙. 2011. 일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거시적 환경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111-136.
12 권은경. 2004.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제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95-118.
13 유호섭. 1999. 교육시설의 복합화 개념 및 필요성. 교육시설: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8('99.6): 66-60.
14 김승제. 1999. 일본의 학교시설 복합화 동향 및 실례. 교육시설: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8('99.6): 86-93.
15 허영환, 이상호. 2005. 日本 學校圖書室의 配置類型과 空間構成에 關한 硏究. 교육시설: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2(2): 5-13.
16 박윤금. 2009. 부산지역 초등학교의 개방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개방시설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시설: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6(1): 59-68.
17 소갑수. 2011. 최근 일본 교육시설 경향. 교육시설: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8(4): 62-68.
18 김지봉. 2007. 공공도서관 서비스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방안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교육정책대학원.
19 안광열. 2010. 초등학교 도서관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내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대 산업경영대학원.
20 신경수. 2009. 대전광역시 학교도서관 개방 실태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교육정책대학원.
21 김하정. 2011. 지역문화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개방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2 허영환. 2006. 종합정보센터로서의 초등학교 도서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