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ighborhood Park Design for Railroad Station in Uijeongbu City

의정부 역전 근린공원 설계

  • Kwon, Jin-Wook (Dept. of Floral Design, Kaywon School of Art and Design)
  • 권진욱 (계원디자인예술대학 화훼디자인과)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11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study is based on an urban park design tha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ijeongbu City, applied with adequate functions for the environment and showcasing the unique scenery in relation to the relocation of the US Air Force Camp Falling Water. The bases of the design are: the reasonable convergence of the square and park in consideration of the site characteristics; the application of an urban context as the park is located near a station; and the realization of an eco-friendly space. This study is based on foundation research regarding a review of urban square patterns, particular items in planning in relation to modern urban parks and the adaptability of the park in the future. Regarding space usage, the design is applied with notable ideas that allow the space to make its own characteristics through voluntary user activity in conjunction with the environment that will allow the park to cope with changes in the future, as opposed to a space that users experience through pre-determined programs. Below are the focal points of the design. First, the park is designed as an empty space which may accommodate the urban structural context of and usage patterns for being a field of the city ecology that changes and develops, beyond a passively-created square pattern. Such open spaces have a continuity which allows it to adapt to the development of the city. In addition, the design facilitates spontaneous processes through changes in usage pattern and time. Second, the design includes the message that the park and the city, natural things and artificial things, must communicate and network with each other. Hence the park shall not be an isolated green island within the city, but is an open space accommodating the demands for open area from nearby commercial, public and residential facilities; the park shall include a field that can accommodate a variety of programs. Third, the park is designed to encourage the effect of direct and indirect practical education by reflecting a physical plan as well as interesting experience design methods to lower carbon emissions and to create and maintain an eco-friendly space, the basis of a zero-emissions city.

본 연구는 의정부역과 연접한 캠프 홀링워터 미군공여지의 이전과 관련하여 대상지에 의정부시 도심지의 특성을 고려하고, 환경요구에 대한 적절한 기능을 수용하며, 독창적인 경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심형 공원 현상설계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계획을 위한 사고의 바탕은 대상지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광장과 공원을 합리적으로 융합하고, 역세권지역에 입지한 공원이 갖추어야 할 도시적 맥락을 반영하고 환경 친화적 공간의 실현방안들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도심형 광장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현대도시공원의 경향과 관련한 계획적 특이사항 및 미래에 대한 공원의 적응 방법들을 파악하여 계획의 내용에 반영하였다. 공간 운용을 위한 특이사항으로는 계획되어진 프로그램에 의하여 공간을 체험하기보다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환경과 연계된 이용자들의 자발적 행동에 의하여 공간의 특성이 만들어지도록 디자인의 차별성을 검토하여 적용하였는데 계획상에 나타난 설계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과 특정 공간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광장의 형태를 벗어나, 도시의 구조적 맥락과 이용행태를 수용할 수 있는 비움의 공간으로 조성하여 변화하고 성장하는 도시생태에 적합한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이러한 오픈스페이스들은 도시의 성장에 대처할 수 있는 지속적인 맥락을 가지며, 이용행태의 변화와 시간적 추이에 따른 자생적 프로세스를 가지며 유지될 것이다. 둘째, 공원과 도시 그리고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은 현대의 도시환경 속에서 공존하고 상호 교감하며 네트워킹 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공원은 도시 내에 격리된 하나의 녹지 섬이 아니라 인접한 상업시설, 공공시설, 주거단지들의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는 열린 공간이 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터를 마련하고 있다. 셋째, 탄소저감과 함께 제로시티의 바탕이 되는 환경 친화적인 공간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계획과 함께 흥미로운 체험디자인 방법들을 반영함으로써 직 간접적인 생활 교육의 효과를 유도하도록 계획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아연, 유선근, 오형석(2006) 국가대표 선수 훈련원 마스터플랜 설계 경기 조경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3(6):109-126.
  2. 김정윤(2006) 서울 다이나믹스:청계천 시점부 광장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4(1): 92-106.
  3. 배정한(2004) 현대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성남: 조경.
  4. 의정부시(2008) 2020의정부시 도시기본계획.
  5. 의정부시(2009) 역전근린공원(캠프 홀링워터) 조성계획 현상설계 공모지침서.
  6. 황기원(1983) 시각언어 구성에 의한 환경설계이론. 환경논총 13: 44-61.
  7. Charles, Wallschlaeger and Busic-Snyder Cynthia(1998) BasicVisual Concepts and Principles. 원유홍(역),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서울: 안그라픽스, 2003
  8. Krier, Rob(1975) Stadtraun. 김주성, 진경돈(역), 도시공간 디자인론. 서울: 도서출판 미건사,1994.
  9. Miyagi, Shunsaku(2001) Landscape Design No Shiza. 조동범(역),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시좌. 경기: 도서출판 조경, 2006
  10. Sasaki, Yoji(1998) Landscape Design-Basic Study.박보신, 이시영(역), 랜드스케이프 디자인. 파주: 도서출판 조경,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