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ve Model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3초

Size-dependent flexoelectricity-based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comb sandwich plates with various boundary conditions

  • Soleimani-Javid, Zeinab;Arshid, Ehsan;Khorasani, Mohammad;Amir, Saeed;Tounsi, Abdelouahed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0권5호
    • /
    • pp.449-460
    • /
    • 2021
  • Flexoelectricity is an interesting materials' property that is more touchable in small scales. This property beside the sandwich structures placed in the center of scientists' attention due to their extraordinary effec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Furthermore, in the passage of decades, more elaborated sandwich structures took into consideration results from using honeycomb core. This kind of structure, inspiring from honeycomb core, provides more stiffness to weight ratio,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different industries. In this paper, based on the Love-Kirchhoff's hypothesis, Hamilton's principle, modified couple stress theory and Fourier series analytical method, equations of motion for a sandwich plate containing a honeycomb core integrated by two face-sheets have derived and solved analytically. The equations of both face sheets have derived by flexoelectricity consideration. Moreover,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whole structure rests on the visco-Pasternak foundation. Conducting current research provided an acceptable and throughout study based on flexoelectricity to address the effect of materials' characteristics, length-scale parameter, aspect, and thickness ratios and boundary conditions on the natural frequency of honeycomb sandwich plates. Also, based on the presented figures and tables, there is a close agreement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recent work. Due to the high ratio of strength to weight, current model analyzing is capable of taking into account for different vehicles' manufacturing in a high range of industries.

예멘과 에티오피아의 문화이해와 지역협력 방안 연구 (A study on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gional cooperation in Yemen and Ethiopia)

  • 서대성;임헌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47-154
    • /
    • 2021
  • 본 연구는 커피를 선호하는 한국인들에게 예멘·에티오피아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지역협력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슬람지역은 직접 협력을 할 수 없어 커피산업을 통한 교류방법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적 교류 모델과 선행연구를 조사하였고, 초기 문화와 종교의 특징을 알아보고 문화완충과 예멘의 이슬람 분쟁역사를 통한 정치종교적 지역 관계를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커피지역을 비교하기 위해 지역 커피산업과 문화에 대해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슬람 연구에 대한 지역 협력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첫째, 문화 충돌 극복, 둘째, 새로운 전략적 지역협력, 셋째, 종교보다 문화적 접근, 넷째, 새로운 기술적 지역협력, 다섯째, 예멘 난민 지역협력 병행, 여섯째, 에티오피아에서의 교두보(예멘 교역지역협력) 등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표면파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사우디아라비아의 S파 속도구조 및 이방성 연구 (S-wave Velocity Structure and Radial Anisotropy of Saudi Arabia from Surface Wave Tomography)

  • 김린희;장성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2권1호
    • /
    • pp.21-2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사우디 아라비아 지역의 S파 속도구조와 이방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면파 분산 곡선을 사용하여 3차원 토모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아라비아 반도는 지질학적 및 지형적으로 순상지(shield)와 플랫폼(platform)의 지형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우디 지질조사소(Saudi Geological Survey)에서 받은 2008 ~ 2014년 기간의 규모 5.5 이상, 진앙거리 $40^{\circ}$ 이내인 지진 자료들을 사용하였다. 획득한 자료들은 전처리를 거쳐 다중 필터 기법(multiple filter technique)을 적용하여 분산 곡선을 구하였다. 주기 5 ~ 140초에 해당하는 러브파와 레일리파의 군속도 분산 곡선을 역산하여 10 ~ 60 km에서의 SH파와 SV파 속도모델 그리고 이방성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SV파의 속도모델에서는 순상지 하부 10 ~ 30 km 깊이에서 고속도 이상대를 보이며, 플랫폼 하부에서는 10 km 깊이에서 저속도 이상대를 보인다. 이는 순상지가 원생누대 기원의 오래되고 차가운 육괴로 되어있으며, 플랫폼이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의 퇴적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판단된다. SV파와 SH파의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구한 이방성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양의 이방성이 나타나며, 이는 자그로스 조산대에서의 섭입으로 인한 아라비아 판의 당김에 의해 인장력이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여 SH파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관계혜택과 브랜드 동일시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브랜드 동일시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Relational Benefits and Brand Identity : mediating effect of brand identity)

  • 방정혜;정지연;이은형;강현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55-175
    • /
    • 2010
  • 본 연구는 관계혜택과 브랜드 동일시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온 관계 혜택과 브랜드 동일시를 함께 고찰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관계 혜택과 브랜드 동일시는 각각 충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왔으나, 그들 간의 관계를 함께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으로는 카드산업에서 관계혜택이 중요한 전략적 요소인 동시에 최근에는 브랜드 개성과 이미지를 카드에 연결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 혜택과 충성도와의 관계를 브랜드 동일시가 매개할 것으로 보고 그 영향을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관계혜택 차원, 즉 확신적 혜택과 특별대우혜택이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적 동일시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확신적 혜택은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 (K-WEL)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K-WEL))

  • 김희숙;송영숙;권소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609-1619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45명이 99문항의 WEL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을 작성하였고, SPSS WIN 22.0와 AMOS 18.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는 71문항, 14개 하위척도로 구성되었다. 각 하위척도는 4개의 요인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질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신체적 자기, 적응적 자기, 모델의 적합도는 ${\chi}^2=225.12$, p<.001, CMIN/DF=3.17, RMSEA=.08, NFI=.87, IFI=.91, CFI=.91로 나타났다. 도구의 집중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기각비 (C.R.)는 2.95~16.84로였고, 표준분산추출 (AVE)도 .61~.69로 수용 가능하였다.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 Cronbach's ${\alpha}$는 .55~.87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가 한국인의 웰니스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에 타당하고 신뢰성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로리타(1962)>에 나타난 의상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and the inner Symbolic Meaning expressed in the Stanley Kubrick's film )

  • 김혜정;이상례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152-166
    • /
    • 2009
  •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the cinema, the composite space art taking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together, exhibits the actual life of the realities, thereby having a mutually close relationship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ields and continuing to generate the fashion code as well as reflecting the image of the times. Especially, fashion style in movies delivers their image and atmosphere and becomes the means for containing the personality, spiritual world and inner thinking of the characters in the movie and inducing its plot.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clear that fashion fuses and shares with a diversity of genres such as movies and the like, becomes the cultural model that proceeds to create a new culture in relation to daily life and induces and presents the trend of contemporary fash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fashion style in the movie. Lolita is the fiction published by the Russian?American writer Vladimir Nabokov($1899{\sim}1977$) in 1954. It is the fiction that portrays the unethical love between Humbert, a middleaged man, and Lolita, a girl in her 10s. It was cinematized by the director Stanley Kubrick for the first time in 1962 and revived by the movie director Adrian Lyne in 1997. The character of Lolita has a younger look like a girl and looks immature in the movie directed by the movie director Stanley Kubrick and the movie director Adrian Lyne. But the character of Lolita has the commonality that she showed an incomplete female image of having a sexually freewheeling thinking. Thereby, this study sought to prove that the created fashion style of the character in the film not only became the clue to enable us to know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 in the film but also helped the film develop effectively by performing a role of portraying the character in the movie. And it attempted to present that it becomes both the foundation for leading the fashion trend shown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code of mass culture. Fashion style of Lolita in the movie appears to be reflected diversely in mass culture as well as fashion style in the contemporary times.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zing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서동오;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of use for the preparation of more desirable sex education system at elementary school, by making content analysis of the current textbooks related to sex education and surveying what opinions the persons concerned ha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at kind of sex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m. And questionnaires on how to improve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were prepared, by which 207 male and female teachers were surveyed in the city of Paju and Koyang, Kyonggi provi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Content Analysis of Textbook Sex Edu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sex education was relatively much included in textbooks of the right life, morality and physical education. Although morality was a subject to be instructed for the third-grade students or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rtually received sex education from the first grade, as the right life and the joyful life were a subject for the lower-grade students, and this met the goal of sex education or the need of the times. However, sex education content leaned heavily toward family, family life or parental love. There was no mutual complement among subjects, and no link among grades, either. 2. Teacher Opinion on Sex Education Content for Each Grade When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if sex education content was appropriate for each grade, they answered 20 item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6 items might be left out. And there were 6 items regarded by them as one that should be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grade. 3. The Ideal Opinion of Sex Education Content The following model c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which was designed to meet the objectives of school sex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offer a systematic link among grades, based on the findings by textbook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o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ntent selected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my body, cleanness of genitals, male-female cooperation, and family cooperation. For the second grade, the selected content was male-female physical difference, male female psychological difference, parental and I(origin of a birth). For the third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important a body(cleanness of genitals), birth of a life, and male-female comprehension and cooperation. For the four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physical development, management of genitals,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propagation and growth of organism, concern for the other sex, comprehension of and cooperation with the other sex,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Four the fif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operation for phimosis,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nital organs, birth and growth of a baby, television/sex information, and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or the six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male-female cooperation, male and female role, male-female manners,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amily and family life. Finally, what should be taught in sex education must be studied constantly, as it should be revised or supplemented periodically, according to student's sexual maturity or social, cultural changes.

  • PDF

제품 편익과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애착,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enefit,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achment)

  • 임재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7-144
    • /
    • 2010
  • 본 연구는 소비자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기능적 편익, 정서적 편익, 자아표현적 편익이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러한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애착과 구전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중에서 두 경로 간 크기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위계적 카이스퀘어 분석(hierarchical chi-squal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적 편익보다는 정서적 편익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우세하였다. 또한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있어 정서적 편익과 자아표현적 편익은 영향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정서적 편익과 기능적 편익 모두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능적 편익보다는 자아표현적 편익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우세한 역할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정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애착과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통해 보면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기능적 편익보다는 정서적 편익과 자아표현적 편익을 통해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가치 편익을 통해 형성된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브랜드에 대한 사랑과 같은 애착 정도가 깊어질 뿐 아니라 자발적인 구전을 통해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4대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애니메이션영화제 발전방향 (The Road Map of Animation Festival in Kore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4 International Animation Festivals)

  • 최영철;최승락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5호
    • /
    • pp.177-201
    • /
    • 2011
  • 한국애니메이션영화제 역사는 1997년 서울 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1999년 부천 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이 10년을 넘어서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영화제로 현재까지 지속해 오고 있다. 그럼에도 초기의 성과와 비교한다면 관객의 애니메이션영화제에 대한 참여와 관심은 줄어들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산업중흥 및 애니메이션 장르의 확장이라는 목표는 최근 애니메이션산업의 위기와 맞물려 애니메이션 영화제 또한 위축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4대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로 불리는 안시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자그레브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오타와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히로시마 국제애니메이션영화의 특징과 최근 경향을 살펴보면서 한국애니메이션영화제 발전방향에 관하여 모색한다. 21세기 들어서 애니메이션은 그 장르의 경계가 모호해진 가운데, 기술적인 진보와, 3D, CG로 대표되는 제작환경의 변화 등으로 급격한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4대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는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거나 혹은 선별적인 도입을 통하여 각자의 문화정체성과 애니메이션 제작 및 산업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전개해 나갔다. 특히 이런 변화에 맞추어 세계의 애니메이션영화제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애니메이션영화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지금에 있어 시의 적절하면서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 논문에는 그동안 안시영화제 방문경험과 안시에서 만난 다양한 국제영화제 인적교류를 통해 얻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각의 해외애니메이션영화제 특성과 그 운영을 비교분석함으로서 한국애니메이션영화제가 애니메이션 미래의 비전을 주도적으로 창조할 수 있도록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 4대 영화제들의 성공기반은 오랜 전통과 역사에서 비롯된 안정적인 시스템- 전용상영관, 관객의 적극적 참여, 지속적인 정체성확립과 특성화, 상호간 국제네트워크협력에 있다. 따라서 이들 영화제에서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기반을 구성하는 것이 한국애니메이션영화제에서 필수적인 조건이며, 여기에는 애니메이션의 자체 매력을 즐길 수 있는 애니메이션 교육목표와 과정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단독으로 상담에 참여한 중국출신 여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for Marriage Migrant Woman who Experienced Family Violence - Focusing on Chinese Woman Who Participated in Counseling alone -)

  • 문정화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91-128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족치료에서의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상담을 종결한 전문성 있는 상담자의 상담사례를 수집하여 치료 개입 전략과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6회기가 진행된 상담 과정에서 행한이주여성의 진술에서 의미 단위를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상담자는 다음과 같은 개입 전략을 시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미해결 정서문제 탐색을 통한 정서적 분화 돕기, 둘째 가족투사과정과 삼각관계로 인한 미분화 다루기, 셋째 원가족 관계 패턴 및 대처기제의다세대전수과정 다루기를 시도하였고, 넷째 MRI의 의사소통모델을 적용한 정서적 억압에 따른비일치적 의사소통방식의 비효과성 조명, 다섯째 재구성을 통한 내담자의 인식 전환하기, 여섯째 진짜 자기로 이끄는 의사소통방식 제안을 시도하였다. 상담자의 이와 같은 시도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치료 효과로는 첫째, 인지적 통찰 및 변화 동기의 촉발, 둘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셋째 불안감소와 자기분화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남편의 상담 참여거부로 보통 혼자서 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가족치료의 효과가 낮을 것으로 우려하는 경향이 있으나 상담자의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면 부인의 갈등해결능력을 향상시켜 가정폭력과 같은 문제 해결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그에 필요한 적절한 치료 개입 전략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