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cal model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22초

정규화된 논리적 데이터 모델의 생성을 위한 사건 기반 개체-관계 모델링 방법론 (An Event-Driven Entity-Relationship Modeling Method for Creating a Normalized Logical Data Model)

  • 유재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4-270
    • /
    • 2011
  • A new method for creating a logical data model is proposed. The logical data model developed by the method defines table, primary key, foreign key, and fields. The framework of the logical data model is constructed by mode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vents and their related entity type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a series of objective and quantitative decisions such as maximum cardinality of relationships and functional dependency between the primary key and attributes. Even beginners to database design can use the methology as long as they understand such basic concepts about relational databases as primary key, foreign key, relationship cardinality,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functional dependency. The simple and systematic approach minimizes decision errors made by a database designer. In practial database design the method creates a logical data model in Boyce-Codd normal form unless the user of the method makes a critical decision error, which is very unlikely.

Logical 모델을 활용한 자동차 차체 조립 라인의 시뮬레이션 적용을 위한 방안 연구 및 적용 (A Study and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Applying Simulation to Car Body Assembly Line using Logical Model)

  • 구락조;박상철;왕지남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25-233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construction method and verify PLC logic using the logic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virtual plant has complex manufacturing system and the domain of application is car body assembly line of automotive industrial operated by PLC Program. The proposed virtual plant model for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method consists of three types of components which are virtual device, intermediary transfer and controller is modeled by logical model but it the case of the verification of PLC program, HMI and PLC logic in the field substitute for the controll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virtual plant model is conducted PLC Studio which is an object-oriented modeling language based on logical model. As a result, proposed methods enable 3D graphics is designed in the analysis step to use for verification of PLC program without special efforts.

웹 문서로부터 논리적 구조 추출 (Extracting Logical Structure from Web Documents)

  • 이민형;이경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354-136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를 XML 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논리적 구조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비주얼 그룹화, 요소 식별, 그리고 논리적 그룹화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정교한 수준의 논리적 구조분석을 지원하기 위하여 특정 주제에 속하는 문서 유형의 논리적 계층 구조를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문서 모델을 정의한다. 제안된 방법은 비주얼 그룹화를 통해서 추출된 시각적 계층구조와 문서 유형에 대한 논리적 구조 정보를 기술한 문서 모델에 기반하기 때문에 보다 정교한 수준의 구조 분석을 지원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웹으로부터 추출한 다수의 HTML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논리적 구조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논리적 구조분석의 최종 결과로서 XML문서를 생성하기 때문에 문서의 재 사용성을 높인다.

  • PDF

XML의 개념적 모델로부터 논리적 모델로의 변환 기법 (Transformation Methodology to Logical Model from Conceptual Model of XML)

  • 김영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05-310
    • /
    • 2016
  • 오늘날 데이터를 표현하고 교환하는 표준 언어로 XML을 사용하고 있다. XML의 개념적 모델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XML이 가지는 다양한 요소들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 표현 규칙과 생성된 다이어그램을 논리적 모델인 XML로 변환하는 변환 알고리즘을 정의해야 한다. 본 논문은 XML의 개념적 모델로부터 논리적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개념적 모델로는 CMXML을 이용하고, 논리적 모델로 XML 스키마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되는 CMXML을 정의하고, 이 다이어그램으로부터 XML 스키마를 생성하기 위한 자료구조를 정의하고 생성규칙을 정의하고, 변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고정 지연 조건에서 전력-지연 효율성의 최적화를 위한 논리 경로 설계 (On a Logical Path Design for Optimizing Power-delay under a Fixed-delay Constraint)

  • 이승호;장종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1호
    • /
    • pp.27-32
    • /
    • 2010
  • Logical Effort의 기법은 회로의 지연 값을 간단한 필산으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법은 설계 공정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도 있지만 고정 지연이라는 설계조건에서 회로의 면적이나 전력의 최소화를 도출할 수 있는 논리 경로를 설계하는데 약점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균형 지연 모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을 기반으로 논리경로에서 전력-지연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기법을 사용하여 8-input AND 게이트의 3가지 서로 다른 설계 회로를 모의 시험한 결과 기존 Logical Effort의 기법보다 약 40%정도 전력 소비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영화 활용 수업이 공과대학 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lm as the Virtual Context on Logical Thinking of Engineering Students)

  • 이현정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3-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instructional model to develop logical thinking competency of engineer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el. The instructional model is composed of the virtual context (films were provided), problem solving, feedback, another problem solving with different perspectives, feedback. The process is loope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pre- and post-test. The first standardized test of critical thinking showed the improvement from pre-test to post-test (d=0.646). The second test of logical thinking showed the improvement from pre-test to mid-term test (d=0.753) and improvement from mid-term to post-test (d=1.529).

공작기계 운격감시를 위한 진단모델 (Diagnosis Model for Remote Monitoring of CNC Machine Tool)

  • 김선호;이은애;김동훈;한기상;권용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8
    • /
    • 2000
  • CNC machine tool is assembled by central processor,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actuator. The sequential control of machine generally controlled by a PLC. The main fault occured at PLC in 3 control parts. In LC faults, operational fault is charged over 70%. This paper describes diagnosis model and data processing for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in machine tools with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Two diagnostic models based on the ladder diagram. Logical Diagnosis Model(LDM), Sequential Diagnosis Model(SDM), are proposed. Data processing structure is proposed ST(Structured Text) based on IEC1131-3. The faults from CNC are received message form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and faults from PLC are gathered by sequential data.. To do this, CNC and PLC's logical and sequential data is constructed database.

  • PDF

다중 논리경로 회로의 게이트 크기 결정 방법 (Gate Sizing Of Multiple-paths Circuit)

  • 이승호;장종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3호
    • /
    • pp.103-110
    • /
    • 2013
  • 논리 노력[1, 2]의 기법은 회로의 지연 값을 간단한 필산으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법은 설계 공정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도 있지만 고정 지연이라는 조건에서 논리 경로의 면적이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설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논문[3]에서 제안하였지만, 논리 경로가 하나인 회로에만 국한되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균형 지연 모델을 기초로, 다중 논리 경로의 회로에 적용할 수 있는 향상된 게이트 크기 결정 방법을 제한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논리노력 방법과 비교하면 전력 소비 측면에서 거의 같았지만 회로의 설계 공간 측면에서는 약 52%의 효율성을 보였다.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공간'에 관하여 (On 'Logical Space' of the Tractatus)

  • 박정일
    • 논리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9
    • /
    • 2016
  •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에서 '논리적 공간'은 중요한 여러 의문들을 불러일으킨다. 논리적 공간, 논리적 좌표들, 그리고 논리적 장소란 무엇인가? 그러한 비유의 요점은 무엇이며, 또 그것들이 정확하게 "논고"에서 가리키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논리적 공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사실들, 명제, 명제 기호, 상황, 모순인가 아니면 이와 관련된 "논고"의 언급들은 그저 화해할 수 없을 뿐인가? 논리적 공간을 둘러싼 논고의 수수께끼 같은 언급들은 정확하게 해명 가능한가? 게다가 "논고"에서 왜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공간이라는 개념을 필요로 했는가? 이를 통하여 그는 어떤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는가? 나는 이 글에서 이 물음들에 대해 대답하고자 한다. "논고"에서 논리적 공간은 뜻 있는 명제들의 체계이다. 또한 그것은 헤르츠의 배위 공간을 모델로 삼아 비트겐슈타인이 끌어들인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의 근본 좌표들은 기하학적 좌표들과 어떤 점에서는 유사하다. 반면에 논리적 좌표들은 기하학적 좌표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리하여 논리적 공간을 일종의 기하학적 공간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모두 옳지 않다.

  • PDF

화재 대피 유도를 위한 센서 및 유도등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논리 모델 (Integrated Logical Model Based on Sensor and Guidance Light Networks for Fire Evacuation)

  • 부준필;김도현;박동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09-114
    • /
    • 2009
  • 현재 건물은 예전에 비해 더 높고 더 복잡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고 있다. 그러므로 잠재적인 위험 요소는 더 증가하고, 화재, 정전, 지진, 호수, 태풍 등의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재난은 가능한 신속하게 건물 안의 사람들을 대피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 내부에서의 센서와 유도등 네트워크를 통합 구축하여 신속하게 재난을 감지하고 내부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대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재난 대피 유도 개념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개념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서 화재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 센서와 유도등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논리 모델을 제시한다. 더불어 제안된 논리 모델을 지도 상에 가시화하고 운영 실험을 실시하여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