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linear model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7초

MCC 및 CCC에서의 최적 스택 필터를 위한 병렬 알고리즘 (Parallel Algorithm for Optimal Stack Filters on MCC and CCC)

  • 전병문;정창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10호
    • /
    • pp.1185-1193
    • /
    • 1999
  • 최적 스택 필터는 시그널 또는 영상의 임의의 특성 정보를 보존하고자 하는 요구조건에 의해 강제된 구조적 제약 하에서 최대의 잡음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임계치 분할 특성과 양의 부울 함수에 기반한 이진 영역에서의 처리 특성은 이 필터가 높은 병렬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병렬 계산 모델 MCC(Mesh-Connected Computer)와 CCC(Cube-Connected Computer)에서 최적 스택 필터를 위한 1차원 병렬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최적 스택 필터의 실행 시간은 주로 이진 median 연산에 의해 결정되고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선형 분리성에 의해 이 연산을 구현한다. 이를 바탕으로, M 레벨의 1-D 시그널의 길이가 L이고 윈도우 폭이 N이라고 가정할 때, 제안된 알고리즘은 {{{{root M times root M`` MCC에서 O(L sqrt{M}`) 시간에 그리고 M 개의 PE를 갖는 CCC에서 O(L log M)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잡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윈도우 폭 N을 증가시킬 때, 제안된 병렬 알고리즘의 계산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됨을 보인다.Abstract An optimal stack filter achieves the maximum noise attenuation under the structural constraints imposed by the requirement of preserving certain signal or image features. And the filter provides a high parallelism due to the principles of threshold decomposition and binary processing based on positive Boolean functions(PBFs). In this paper, we develop an one-dimensional parallel algorithm for the optimal stack filter on two parallel computation models, MCC(Mesh-Connected Computer) and CCC(Cube-Connected Computer). The running time of the optimal stack filter depends mainly on the binary median operation and our algorithm realizes this operation by the linear separability. Based on this scheme, our parallel algorithm can be performed in {{{{O(L sqrt{M}`) MCC and inO(L log M) time on CCC with M PEs, when the length of M``-valued 1-D signal is L`` and window width is N`` Also, we show that the computation time of our parallel algorithm keeps constant when the window width N increases in order to achieve the best noise attenuation.

낙동강유역 난분해성 용존 유기탄소 배출 현황 분석 (Current Status of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이정훈;김정선;이재관;강임석;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8-550
    • /
    • 2012
  • This study suggests a general methodology which is designed for assessing RDOC behavior at the catchment scale by coupling properly a series of steam flow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s and actual monitoring data set. The modified TANK model in which a river routing function is incorporated to the conventional one is applied to simulate the long-term daily stream flow data, and the simulated stream flow data is combined with the 7-parameter log-linear model coupled to the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to simulate the long-term daily water quality (BOD, COD and TOC) loads.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usually monitored water quality data (BOD, COD and TOC) and RDOC is combined with the simulated water quality data to manifest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RDOC flux behavior at the Korean TMDL catchment scale.

강도함수가 감소패턴을 따르는 NHPP 소프트웨어 신뢰모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oftware Reliability Model for NHPP Intensity Function Following a Decreasing Pattern)

  • 김희철;김정범;문송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4호
    • /
    • pp.117-125
    • /
    • 2016
  • Software reliability in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is an important issue. In infinite failure 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software reliability models, the failure occurrence rates per fault. can be presented constant, monotonic increasing or monotonic decreasing pattern. In this paper, the reliability software cost model considering decreasing intensity function was studied in the software product testing process. The decreasing intensity function that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reliability using power law process, log-linear processes and Musal-Okumoto process were studied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method was used for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n this paper, from the software model analysis, we was compared by applying a software failure interval failure data considering the decreasing intensity function The decreasing intensity function model is also efficient in terms of reliability in the arena of the conservative model can be used as an alternating model can be established. From this paper, the software developers have to consider life distribution by preceding information of the software to classify failure modes which can be gifted to support.

일반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프락시 기반 한반도 VS30지도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Peninsula VS30 Map Based on Proxy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 최인혁;유병호;곽동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1호
    • /
    • pp.35-44
    • /
    • 2022
  • VS30지도는 부지증폭을 나타내는 주요 변수로 임의의 부지에서 지반운동을 예측하는 ShakeMap의 핵심 변수로 사용된다. 하지만, 한반도의 지질특성과 지형특성을 고려하는 VS30지도는 아직 제시된 적이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질과 지형을 고려하는 VS30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전단파 속도 주상도로부터 계산 또는 추정된 1,101개의 VS30과 한반도 광범위 지질, 지형정보 레이어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데이터와 일반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VS30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지질분류에 따라 매립지, 신생대 제4기 퇴적층, 중생대 그룹, 선캄브리아기와 해양층으로 구분된 후 지형정보의 함수로 제안되었다. 지도의 해상도는 기상청에서 기존에 진도추정을 위한 ShakeMap 구동에 사용하는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지도의 2배로 하였다. 그 결과, 프락시 기반 VS30지도의 대수로그 잔차의 표준편차는 0.233으로 USGS의 VS30 지도의 표준편차인 0.387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VS30지도를 사용한다면 ShakeMap의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Assessment of radiopacity of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with various target distances and exposure times and a modified aluminum step wedge

  • Mir, Arash Poorsattar Bejeh;Mir, Morvarid Poorsattar Bejeh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2권3호
    • /
    • pp.163-167
    • /
    • 2012
  • Purpose: ANSI/ADA has established standards for adequate radiopacity.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changes in radiopacity of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various tube-target distances and exposure times. Materials and Methods: Five 1-mm thick samples of Filtek P60 and Clearfil composite resins were prepared and exposed with six tube-target distance/exposure time setups (i.e., 40 cm, 0.2 seconds; 30 cm, 0.2 seconds; 30 cm, 0.16 seconds, 30 cm, 0.12 seconds; 15 cm, 0.2 seconds; 15 cm, 0.12 seconds) performing at 70 kVp and 7 mA along with a 12-step aluminum stepwedge (1 mm incremental steps) using a PSP digital sensor. Thereafter, the radiopacities measured with Digora for Windows software 2.5 were converted to absorbencies (i.e., A=-log (1-G/255)), where A is the absorbency and G is the measured gray scale). Furthermore, the linear regression model of aluminum thickness and absorbency was developed and used to convert the radiopacity of dental materials to the equivalent aluminum thickness. In addition, all calcul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a modified 3-step stepwedge (i.e., using data for the 2nd, 5th, and 8th steps). Results: The radiopacities of the composite resins differed significantly with various setups (p<0.001) and between the materials (p<0.001). The best predicted model was obtained for the 30 cm 0.2 seconds setup ($R^2$=0.999). Data from the reduced modified stepwedge was remarkable and comparable with the 12-step stepwedge.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our findings support that various setups might influence the radiopacity of dental materials on digital radiographs.

한국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식품 섭취빈도 조사에서 나타난 식품섭취빈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he Intake Frequencies of the Food Items on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Middle Aged Korean Males)

  • 백희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2호
    • /
    • pp.202-215
    • /
    • 2000
  • Intake frequency of one food is often associated with other food items, but few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food intake frequency among food items. Finding the relationship among intake frequencies of different food might be useful to understand the food intake patterns of population and correlated foods would be used as an indicators of another food intake. Relationship of food intake can be also applied to make a more simple and useful form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various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intake frequency among food items in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A FFQ with 84 food items was administered to 14533 Korean males who 40-65 years of age participating Korean cancer research survey. Data fromm 7647 subjects who completed FFQ were used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food items with three different methods-log linear regression models,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ell frequency distribution. To examine the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Spearman correlation after scoring the frequency categories. Three most correlated foods were selected in every food intems by three methods each. In most food item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n, except cooked rice and cooked brown rice, in intake frequency between foods that belonged to similar food groups. But serveral food items-Sausage (processed fish, cheese), Milk (whilte bread, orange juice), Soymilk(other juices), Cheese (pizza, butter), and Coffee(thick beef soup)-showed correlation among totally different food groups. Two sets of food items which were selected by log linear regression model and Spe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ared. There were exactly three common foods in 18 food items, 2 common foods in 47 items, 1 common food in 16 items and no common food in 3 items among 3 ranked foods. Three sets of selected food were compared. There were exactly three common foods in 5 food items, 2 common foods in 21 items, 1 common food in 34items and no common food in 24 items among 3 ranked fo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rtain patterns exist among intake frequencies of specific food items in the FFQ. More researches are sugges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ops among the intakes of foods so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in developing better FFQ or analyzing missing items from self-administered FFQ.

  • PDF

음주교통사고 영향요인과 심각도 분석을 위한 모형설정 (Modeling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Related to Drinking-Driving)

  • 장태연;박현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D호
    • /
    • pp.577-585
    • /
    • 2010
  • 교통사고는 사람과 자동차, 도로환경 등의 여러 요인들이 결합되어 발생됨으로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사고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유사한 형태로 반복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인적요인은 교통사고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인적요인에 의한 음주교통사고는 경각심을 갖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문제이다. 연구는 교통사고자료를 활용하여 사고 빈도와 사고 심각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교통사고를 음주 및 비음주 사고로 분류하고, 비음주 사고에 대한 음주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해 로그선형모형을 이용하여 변수간의 관계성을 분석한다. 음주교통사고 영향요인으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비승용차 운전자보다는 승용차 운전자가 음주관련 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 커브구간, 단일로, 노면 불량상태 등에서도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음주교통사고의 경중을 고려한 심각성 분석을 위해 순위회귀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종속변수가 이산적 특성과 함께 순위적 특징을 보일 경우 순위회귀모형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종속변수가 정성적 표현이 아닌 단지 순위를 반영하는데 유익한 모형이다. 사고의 심각성 분석에서 교통사고 발생시간대, 기후, 도로형태, 사고유형, 성별, 차량종류 등에 의해 심각성이 가중됨을 알 수 있었다. 계절적으로는 봄과 겨울이 사고의 심각성이 증대되며 반면에 여름과 가을은 감소될 가능성이 높았다.

PMP 모델을 활용한 시판 Salad의 Short-term Temperature Abuse 시 미생물학적 유통기한 예측에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Microbiological Shelf Life Estimation of Fresh-cut Salad with Short-term Temperature Abuse)

  • 임정호;박기재;정진웅;김현수;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33-638
    • /
    • 2012
  • 시판 샐러드제품의 구입부터 가정까지의 이동 및 소비직전까지 적정하지 않은 온도관리를 예상하여 단기간의 온도 abuse 상황을 설정하고 미생물적 유통기한을 도출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유통기한 설정을 위해 예측미생물학의 3단계 모델인 PMP 7.0을 활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부적절한 온도에서의 abuse 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은 빠르게 증식하여 샐러드 제품의 유통기한 시점으로 판단되는 log 7 CFU/mL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졌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0.020에서 1.083까지 grow rate도 증가했으며, 이 모델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2$의 값은 전 실험구에서 0.9 이상을 나타내었다. PMP 7.0으로 예측된 미생물의 증식양상은 온도에 따라 0.017~0.235 CFU/mL/hr로 나타났으며, 모든 구에서 0.994~1.000까지 높은 수준의 $r^2$을 나타내었다. 또 PMP를 활용하여 도출한 유통기한의 경우도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실측된 값을 바탕으로 한 샐러드 제품의 유통기한은 유통매장에 도착하기까지 48시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유통기한은 109.1~63.0시간까지로 추정되며 PMP로 도출된 유통기한(24.1~626.5시간)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이는 온도 abuse에 의한 영향 및 fail safe에 해당하는 결과로 안전성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관리적 측면에서 과도한 기준의 설정 등을 통해 관리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예측미생물학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설정 및 품질관리를 위한 초기 미생물 기준 설정시 특정 식품에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인 시도가 될 것이나, 이를 전반적인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통계적, 실제적 오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오히려 관련 효율을 저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육농가의 효과가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 유전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ising Farm on Genetic Evaluation for Carcass Traits in Hanwoo Cows)

  • 이창우;이정묵;이성진;송영한;이정구;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25-332
    • /
    • 2011
  • 본 연구는 도체 평가형질인 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및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모수 및 한우 암소 번식우의 육종가 추정에서 사육농가가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는 강원도 평창군내 한우 사육농가에서 비육 출하한 거세우의 도체성적과 거세우의 혈통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유전분석은 다음과 같은 3개의 모델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모델 1은 도축장소-도축년도-도축월을 동기우 그룹으로 형성한 고정효과로 그리고 상가적 개체 유전 효과를 임의 효과로 포함시켰고, 모델 2는 모델 1에 사육농가의 효과를 임의 효과로 추가하였으며, 모델 3은 모델 1에 사육농가의 효과를 고정효과로 추가하였다. 각 모델을 적용해서 실시한 분석결과를 비교해보면 모델 1에 비해 사육농가의 효과를 포함한 모델 2나 모델 3에서 모든 형질의 유전력 추정치가 작았는데 특히 도체중의 경우 모델 1에서의 유전력이 0.23, 모델 2에서의 유전력이 0.15, 모델 3에서의 유전력이 0.18로 사육농가효과를 포함한 모델에서 유전력 크기의 감소가 더 심했으며, 사육농가를 포함한 모델 2나 모델 3의 최대우도 값(maximum log Likelihood)은 도체중에서 각각 -44629.70과 -43956.12, 등지방두께에서 각각 -22939.43과 22687.18, 등심 면적에서 각각 29370.39와 29016.19,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11678.12와 -11591.64로 사육농가를 포함하지 않은 모델 1에서 각각의 우도함수 값 -44900.86 (도체중), -23055.71 (등지방두께), -29438.26 (등심면적), -11750.38 (근내지방도) 보다 더 컸고, 사육농가의 효과를 임의효과로 적합시킨 모델 2에서 사육농가의 분산은 형질에 따라 최대 18% (도체중)에서 최하 4% (등심면적)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거세우 어미 전체의 육종가를 이용하여 추정한 육종가의 모델 간 순위 상관 계수와 모델 1로 추정한 육종가에 근거하여 상위 10%와 하위 10%에 해당하는 암소를 각각 선발하고 선발된 집단 내에서 추정된 각 형질들의 모델 간 순위 상관계수를 추정한 결과 상위 10% 그룹내에서 형질별로 모델간 상관 계수는 0.57에서 0.95의 범위였고, 하위 10% 그룹 내에서 0.68에서 0.95의 범위였는데 이것은 육종가 추정에 적용된 모델에 따라 육종가 순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 개량을 위한 목적으로 육종가를 추정할 때 분석모형에 사육농가의 효과를 포함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Predicting Organic Matter content in Korean Soils Using Regression rules on Visible-Near Infrared Diffuse Reflectance Spectra

  • Chun, Hyen-Chung;Hong, Suk-Young;Song, Kwan-Cheol;Kim, Yi-Hyun;Hyun, Byung-Keun;Minasny, Budim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97-502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diction of soil OM on Korean soils using the Visible-Near Infrared (Vis-NIR) spectroscopy. The ASD Field Spec Pro was used to acquire the reflectance of soil samples to visible to near-infrared radiation (350 to 2500 nm). A total of 503 soil samples from 61 Korean soil series were scanned using the instrument and OM was measured using the Walkley and Black method. For data analysis, the spectra were resampled from 500-2450 nm with 4 nm spacing and converted to the $1^{st}$ derivative of absorbance (log (1/R)).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 and regression rules model (Cubist) were applied to predict soil OM. Regression rules model estimates the target value by building conditional rules, and each rule contains a linear expression predicting OM from selected absorbance values. The regression rules model was shown to give a better prediction compared to PLSR. Although the prediction for Andisols had a larger error, soil order was not found to be useful in stratifying the prediction model. The stratification used by Cubist was mainly based on absorbance at wavelengths of 850 and 2320 nm, which corresponds to the organic absorption band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could be more information on soil properties useful to classify or group OM data from Korean soil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it is possible to develop good prediction model of OM from Korean soils and provide data to reexamine the existing prediction models for more accurate pre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