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ontents rate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7초

국내 OTT 사업자의 해외시장 진출의 사업성 연구 : 현금흐름 추정에 의한 시나리오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usiness of the Korean OTT in North American Market : Focusing on scenario analysis based on cash flow estimation)

  • 변상규;박천일;위경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274-287
    • /
    • 2022
  • OTT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방송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우리나라는 국제적인 콘텐츠 공급기지가 되고 있다. 이는 국내 콘텐츠 제작업계에게는 도움이 되겠지만, 결국 글로벌 영상산업구조에서 하청으로 편입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한국계 OTT 사업자들이 해외진출을 통해 시장을 넓히고, 콘텐츠 경쟁력을 수익 확대로 연결하여 경쟁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OTT 사업자의 해외사업에 대하여 사업성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줄이고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문헌검토를 통해 북미시장을 성공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현지 플랫폼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한 진출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매출과 투입비용을 추정하고, 순현재가치법으로 사업성을 평가하였다. 판권비용, 가입자 수, 요금에 대해서는 복수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총 18개의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분석결과 8개의 시나리오가 채택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판권비용이 사업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요금, 가입자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해상풍력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Korean Offshore Wind Power)

  • 성진기;이태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3호
    • /
    • pp.312-321
    • /
    • 2013
  • In this study, we review the status of Southwest sea 2.5GW offshore wind project and expected various problems. And we suggest government policies for offshore wind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we would like to mention the necessity of offshore wind development in order to diversify power sources and guarantee energy security in Korea. And we would like to mention necessity and direction to make offshore wind into growth engine industry thorough fusion between industries and energization for the existing industry such as civil, shipbuilding, steel, etc. that was headed into downturn.

Study the effect of machining process and Nano Sio2 on GFRP mechanical performances

  • Afzali, Mohammad;Rostamiyan, Yasser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6권2호
    • /
    • pp.175-191
    • /
    • 2020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Nano silica (SiO2) on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laminates containing the machining process causes holes were investigated. The tests have been applied on two status milled and non-milled. To promote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fiber-reinforced glass epoxy-based composites, Nano sio2 was added to the matrix to improve and gradation. Nano sio2 is chosen because of flexibility and high mechanical features; the effect of Nanoparticles on surface serenity has been studied. Thus the effect of Nanoparticles on crack growth and machining process and delamination caused by machining has been studied. We can also imply that many machining factors are essential: feed rate, thrust force, and spindle speed. Also, feed rate and spindle speed were studied in constant values, that the thrust forces were studied as the main factor caused residual stress. Moreover, entrance forces were measured by local calibrated load cells on machining de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uckling load of milled laminates had been increased by about 50% with adding 2 wt% of silica in comparison with the neat damaged laminates while adding more contents caused adverse effects. Also, with a comparison of two milling tools, the cylindrical radius-end tool had less destructive effects on specimens.

유아와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유아용 차량 내 보호 장구 이용 실태 (Safety Seats Research in Toddler and Preschooler Parents)

  • 이자형;이용화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0-12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actual state of the toddler and preschooler safety seats built into the car. Method: The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by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2007 to September, 30, 2007. A total 232 toddler and preschooler parents in Seoul and Inchon.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WIN 12.0. Result: The study show that people who did not get a education are 86.2%. Using the child safety seats also show that 96.1% of respondents are holding in their arms, only 3.0% of respondents used them. 21.1% answered that they get on the vehicles with holding their children in their arms and 48.3% answered that they let their children alone on the seat, just 29.7% are using the child safety seats. Conclusion: To increase child safety seats configurations rate, available education is needed. For this, contents about child safety seats must be included for education leaving the hospital by nurses who work in nursery. For the consideration about child safety seats configuration rate, complement of the legal system and development of available protective equipment and economical support of the nation and the local community is needed.

  • PDF

배출량 산정방법에 따른 지자체 도로수송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비교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ation of Local Government by Calculation Methods)

  • 김기동;고현기;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5-415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ation by calculation methods (Tier 1, Teir 2, and Tier 3). Tier 1 based on 2006 IPCC guidelines default emission factor and amount of fuel consumption. The Tier 2 approach is the same as Tier 1 except that country-specific carbon contents of the fuel sold in road transport are used. Tier 2 based on emission factor of guidelines for local government greenhouse gas inventories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 fuel consumption per one vehicle, and the registered motor vehicles. The Tier 3 approach requires detailed, country-specific data to generate activity-based emission factors for vehicle subcategor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ay involve national models. Tier 3 calculates emissions by multiplying emission factors by vehicle activity levels (e.g., VKT) for each vehicle subcategory and possible road type. VKT was estimated by using GIS road map and traffic volume of the section. The GHG average emission rate by the Tier 1 was 728,857 $tonCO_2eq$/yr, while Tier 2 and Tier 3 were 864,757 $tonCO_2eq$/yr and 661,710 $tonCO_2eq$/yr, respectively. Tier 3 was underestimated by 10.1 and 20.7 percent for the GHG emission observed by Tier 1 and Tier 2, respectively. Based o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ier 2 is reasonable GHG emissions than Tier 1 or Tier 3. But, further study is still needed to accurate GHG emission from Tier 3 method by expanding the traffic survey area and developing the model of local road traffic.

홈 헬스를 위한 메디컬 센서노드의 분산보관 프로토콜 (Distributed Archiving Protocol between the Medical Sensor Nodes for the Home Health Service)

  • 이영호;장희태;이병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0-90
    • /
    • 2012
  • 메디컬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는 홈 헬스 게이트웨이가 장애중이더라도 분실되지 말아야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장애 중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면 메디컬 센서노드가 임시로 로컬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다른 센서노드와 상호 교신하여 저장 공간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센서노드를 선정한 후 분산 보관한다면 생체정보의 분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의 측정주기는 생체정보의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분산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기기마다 다르므로 보다 효율적인 보관기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다양한 측정주기를 갖는 생체정보 센서노드간의 효율적 분산보관 프로토콜(DAP)을 제안하였다. 또한 DAP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센서노드와 게이트웨이 간에 DAP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99.3%의 높은 회수율과 적중률을 구할 수 있어 일시적인 장애에는 센서노드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취약계층 비만의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 of Obesity in the Social Vulnerabilities -Focused on the Suwon City)

  • 김한이;김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82-689
    • /
    • 2019
  • 본 연구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정도를 객관적 지표인 체질량지수를 통해 비만 정도의 지역별 격차를 공간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체질량지수가 공간적으로 높은 값과 낮은 값을 가지는 군집패턴을 보이는 지역을 추출하고 이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만인구비율의 I 통계량은 0.07, z-score은 4.39으로 나타나, 공간자기상관성을 확인하였다. z-score의 경우 최대 임계값인 2.57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취약계층 비만율이 지역별 격차를 보이며, 이러한 격차가 공간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만 취약지역과 양호지역에 대한 지역별 환경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취약지역의 경우 대중교통성이 좋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적으며 단독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기존 연구들이 소홀했던 사회취약계층의 건강에 대하여 공간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국내 지역안전도 평가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Local Safety Assessment in Korea)

  • 김용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69-80
    • /
    • 2021
  • 본 연구는 매년 실시되는 지역안전도 평가제도중 문제점이나 개선을 요하는 사항들을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 및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서론인 도입부에서는 2020년도에 행정안전부에서 새롭게 적용한 지역안전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지자체에서 최종 평가받은 지역안전도 등급에 따른 활용 방안도 소개하였다. 본론에서는 지역안전도 관련 선행 연구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요약 기술하였다. 또한 지역안전도의 지표구성, 지수 산출 방법, 현행 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해위험요인 분야의 「사회적 취약성 지표」 "반지하 가구 수"는 "기초생활 수급자 가구 수"로 대체한다. 또한 "비닐하우스 면적"은 "비닐하우스에 거주하는 가구 수, 컨테이너 가구 수, 쪽방촌 가구 수" 등을 합한 자료로 대체하여 평가한다. 둘째, 상습 가뭄재해지역 관리 평가부문은 시군구의 상수도 보급률이 95% 이상인 지자체는 "결측" 처리한다. 수도권 및 도시화가 이루어진 자치단체에는 가뭄재난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방재대책추진 대응분야의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평가지표 내용에 지역자율방재단과 더불어 안전보안관, 안전모니터봉사단, 재난안전 실버감시단 등의 활동도 평가에 추가한다. 다만 각 지자체 마다 지역자율 방재조직의 명칭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 예방을 위해 조직되어 활동하는 자율 방재조직이면, 그 활동 실적을 모두 합산하여 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유엔재해위험경감사무국(UNDRR)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도시 평가도구인 스코어카드 평가 항목 중 자연재난과 연관이 깊은 "자연생태계가 제공하는 보호기능 강화를 위한 자연 완충재 보존"항목을 차용한다. 스코어카드 평가는 UNDRR에서 강조하는 "기후 위기와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면서 지자체의 재난 복원력(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평가 지표이다. 끝으로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명칭이 유사하여 지역안전도의 용어를 "자연재난 안전도" 또는 "자연재해 안전도"라는 명칭으로 변경한다. 그래야만 일반인 누구나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공기관 및 IT 대기업의 웹 접근성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situation of Public Institution and Major IT Companies Institutions)

  • 주헌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75-1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웹 접근성 동향을 나타내었다. 웹 접근성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해 중앙기관 7개 사이트와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7개 시의 사이트 그리고 IT 대기업 7개 사이트를 평가하였다.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해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평가 기준은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을 이용하였다. 평가 항목은 지침 1과 지침 2의 대체 텍스트 제공과 프레임 사용 제한 그리고 키보드 운용으로 제한하였다. 평가 항목 3가지 평균에서 경기 북동부 7개 시는 65.56%, 중앙기관은 43.71%, IT 대기업은 29.33%를 나타내었다. 중앙기관 7개 평가 기관 중 인권위원회가 평균 99.3%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경기도 북동부 7개 시 평가에서는 남양주시가 평균 98%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IT 대기업 7개의 평가에서는 삼성전자가 평균 63.66%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중앙 기판은 2006년 평균 82.14%에서 2009년 평균 54.28%로 27.86% 더 낮아졌다. 따라서 중앙 기관 및 지방 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율 개선이 시급하다. 또한 IT 대기업도 웹 접근성 준수율 개선이 필요 된다.

한의약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인식도 조사 : 보건소 건강증진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A National-wide Survey of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argeted on Public Officials)

  • 박정수;장수빈;이주아;고호연;박선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1-68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HPP-TKM) from program managing public officials. Methods : The survey wa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ased on internet service, survey monkey. The survey included the conducting status, obstacles, and improvement points of PHPP-TKM. Results : A total number of 179 officials participated the survey (response rate 71.0%), comprising 92.8% female. The survey demonstrated that 70.3% of participants conducted PHPP-TKM. The most frequent PHPP-TKM were stroke and bone/joint program. The reasons for not conducting PHPP-TKM were lack of financial support and program contents. The obstacles during conducting PHPP-TKM were insufficient contents and assessment index in PHPP-TKM. To develop necess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and to secure financial support were required for managing future PHPP-TKM.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s that various contents, validated assessment index, stable funds are to promote PHPP-T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