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situation of Public Institution and Major IT Companies Institutions

공공기관 및 IT 대기업의 웹 접근성 현황에 관한 연구

  • 주헌식 (삼육대학교 컴퓨터학부)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paper shows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web accessibility. To disclose the web accessibility observance rate, seven central adminstration institutions and another seven north-eastern cities in Gyeong gi-Do and seven major IT companies were evaluated. KADO-WAH 2.0 was used for showing the observance rate. The evaluation criteria was that of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1.0. The evaluation was limited to Guideline 1 and Guideline 2 of non-text contents and the restricted frame usage and the keyboard-only operation. The average points for three items are as follows: 65.56% for North-Eastern cities in Gyeong gi-Do and 43.71% for Central adminstration institutions and the average 29.33% for major IT companies. The observance rate was highest by 99.3% in Human-rights committee among the central administration institutions. With the observance rate of 98%, Namyang-ju city came first in Gyeong gi-Do area. Samsung electronics was the highest with 63.66% in observance rate. The Central adminstration got lowered from the average 82.14% in 2006 to the average 54.28% in 2009, with the result of 27.86% down. Accordingly, the urgent improvement for Central adminstration and Local adminstration in web accessibility is asked for. The same is true with major IT companies in web accessibility.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웹 접근성 동향을 나타내었다. 웹 접근성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해 중앙기관 7개 사이트와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7개 시의 사이트 그리고 IT 대기업 7개 사이트를 평가하였다. 준수율을 나타내기 위해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평가 기준은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을 이용하였다. 평가 항목은 지침 1과 지침 2의 대체 텍스트 제공과 프레임 사용 제한 그리고 키보드 운용으로 제한하였다. 평가 항목 3가지 평균에서 경기 북동부 7개 시는 65.56%, 중앙기관은 43.71%, IT 대기업은 29.33%를 나타내었다. 중앙기관 7개 평가 기관 중 인권위원회가 평균 99.3%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경기도 북동부 7개 시 평가에서는 남양주시가 평균 98%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IT 대기업 7개의 평가에서는 삼성전자가 평균 63.66%로 준수율이 가장 높았다. 중앙 기판은 2006년 평균 82.14%에서 2009년 평균 54.28%로 27.86% 더 낮아졌다. 따라서 중앙 기관 및 지방 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율 개선이 시급하다. 또한 IT 대기업도 웹 접근성 준수율 개선이 필요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W.Zmud, "Projecting the future through the past," Pinnaflex Education Resources, pp. 209-220, 2000.
  2. 전지현. "보편적 설계 개념을 도입한 웹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3. 조주은,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년,
  4. W3C WAI(2007), http://www.w3.org/WAI/intro/accessibility.php
  5. Zeng, X, "Evaluation and enhancement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hilosophy, 2004.
  6. Wikepedia(2009), Web Accessibility, http://en.wikipedu.org/wiki/Web_accessibility
  7. 김성익, 박병순, "웹 접근성 평가도구 개선방안"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 33권, 제 1호, 148-150쪽, 2006.
  8. W3C(1999),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http://www.w3.org/TR/WCAG10/
  9. Section508 Portal(2007), ${\S}$ 1194.22 Web-based intranet and internet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http://www.section508.gov/index.cfm?FuseAction=Content&ID =12#Web
  10. Coyne, Kara Pernice and Nielsen, Jakob "Making the web easy to use for users with disabilities," Nielsen Norman Group, 2001.
  11. Rowena Cullen, "Democracy Online: An Assessment of New Zealand Government Web Sit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ly, Vol. 17, No.3, 3rd Quarter, pp. 243-267, 2000. https://doi.org/10.1016/S0740-624X(00)00033-2
  12. Japan Standard Association(2004), "Guidelines for older person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software and services"- Part 3: Web Content(JIS X 8341-3).
  13. 정보통신부.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한국정보통신표준 (KICS.OT-10.0003), 2005.
  14.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 표준화 포럼 운영." 2006a.
  15. 최두진, 김석일, 홍경순, 조웅희, 신승식, 현준호,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연구보고 04-18, 한국 정보문화진흥원, 2004년.
  16.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웹 접근성 실태조사" 2006b.
  17. 현준호, 김석일. "국내외 행정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실태 및 개선방안," KADO이슈리포트, 통권 31호, 제3권, 제 7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