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Public Library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1초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금준규;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 1인 가구 대상 공공서비스 및 도서관서비스 운영 현황과 도서관 이용자 및 전문가 대상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 및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제시된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은 1인 가구의 삶과 밀착된 정보자원을 확보하여 제공하고, 서비스를 담당할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자치구 도서관과 함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료 중심 도서관에서 벗어나 1인 가구를 포함한 이용자 중심의 시설 인프라를 조성하고, 1인 가구의 특성과 분포에 따른 권역별 특화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으로는 취약한 1인 가구를 위한 사회적 활동지원, 사회적 유대, 돌봄, 봉사활동, 여가 및 문화활동 분야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보고, 청년, 중장년, 여성 1인 가구 대상의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Users' Place Attachment on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 이정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09-234
    • /
    • 201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해보고, 이용빈도, 거주기간, 이용목적, 웹사이트 이용경험이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계층적 회귀분석결과, 이용빈도와 거주기간이 '장소의존성'과 상호작용하여 '체험가치인식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에 대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용목적별로 집단을 구분하고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를 집단별로 분석하였다. 도서관 웹사이트 이용경험은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장소애착도라는 이용자의 감정적인 지표가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서 활용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용자의 접근 패턴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 생성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Considering User Access Patterns)

  • 강우진;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9-107
    • /
    • 2023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 대한 파악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은 주로 도서관이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고 있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실제 접근 패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속한 지역의 교통적 및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 패턴을 반영한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특별·광역시의 502개 도서관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사도가 반영된 이동 거리와 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보 또는 차량으로 30분 이내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요소에 따라 도서관별 서비스 영역 양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선거리 기반의 서비스 영역과 비교하여 도서관 접근에 대한 현실적 여건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 생성 방법은 도서관의 이용자의 수, 특성,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 사회경제적 박탈이 공공도서관 대출 책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Public Library Book Circulation: A Community-level Study)

  • 이종욱;강우진;이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19-24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적 특성이 해당 지역 구성원의 정보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역 정보지평 이론에 근거하여,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박탈 수준이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차원적 빈곤 지수에 기반하여 사회경제적 박탈 지수를 구성하였으며, 수도권 지역사회의 2015~2018년 박탈 지수를 산출하였다. 동 기간의 수도권 지역사회의 공공도서관 대출 책수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박탈 지수와 대출 책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층모형 로버스트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제변수로는 지역사회 특성과 도서관 특성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박탈 수준이 높아질수록 해당 지역 구성원의 1인당 공공도서관 대출 책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의 소장도서 수가 많은 지역에서 박탈 수준이 높아지면 대출 책수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 단위면적당 도서관 수는 박탈 지수의 효과를 조절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대출 책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격차를 해소한다는 기존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특히,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 전략 수립에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7-106
    • /
    • 2018
  •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 친화형 공간, 노인복지 요양서비스 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Reading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1-9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웹 검색엔진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2013년-2015년까지 운영한 독서프로그램 관련 기사 350개를 표집하여 분석한 결과, 독서프로그램 관련 보도가 수도권(41.4%)은 높은 반면 여타 지역은 낮았다. 둘째, 순수 독서프로그램이 69.9%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으나, 여타의 프로그램이 상당 수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참가대상 중 초등학생과 유아 및 부모가 51.3%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반면, 소외 계층은 9.0%로 낮았다. 넷째, 독서프로그램 운영기간이 28.4%(86개)가 1일로 파악될 만큼 단기 프로그램 비중이 높았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독서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주민에게 홍보하기 위한 홍보팀 또는 전담인력을 도서관이 운영하여 언론과 소통할 것과, 지역 주민의 계층별 요구에 부합하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화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 주민 계층별로 전체 주민을 균형 있게 아우르도록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조직 진단 및 운영 개선을 위한 조직모델 설계 연구 - 김해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rganizational Model Design for Organization Diagnosis and Operation Improvement of Public Libraries: The Case of Gimhae Public Library)

  • 차성종;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25-155
    • /
    • 2019
  • 본 연구는 김해시 공공도서관 조직의 진단 및 분석을 통해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 모델을 설계할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FGI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조직 모델을 설계하고 조직 재편에 따른 단위도서관별 인력을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조직 모델은 최종적으로 관련업무 통합 측면 조직, 정책기능 강화 측면 조직, 행정 효율성 강화 측면 조직의 3가지 대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거시적 및 미시적 접근을 바탕으로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필요 인력을 산출한 결과, '벤치마킹 대상 지자체 비교' 방법으로 산출된 필요인원을 가장 실증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하고 단위도서관별 적정인원으로 구성하였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 분석을 통한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in Seoul)

  • 김신영;권나현;김선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85-409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차 서울시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8~2022)」과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따른 서울시의 시행계획을 연계하여 분석하고,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종합하여 정책개발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와 자료서비스, 프로그램 이용실적, 웹이용, 상호대차 등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도서관 서비스의 성과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성과관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하여 전략목표와 핵심과제의 선정에 내실화, 성과관리의 범주 설정, 이용자 중심의 성과지표 개발, 정성지표 한계점 개선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물리적인 투입지표의 부실로 인하여 산출지표로 표현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투입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지표 간의 관련성이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서비스 격차의 해소를 독려할 필요성이 있다.

공공도서관 야간대출서비스의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Schemes for Evening Circulation Servic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심상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1호
    • /
    • pp.1-22
    • /
    • 2010
  • 최근 몇 년간 정부는 국민의 지식정보 접근성 및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대표하는 가장 최근 사례 중의 하나가 공공도서관의 야간대출서비스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현재 야간대출서비스를 실시하는 전국의 모든 공공도서관과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배경, 홍보방법, 개관시간과 서비스 내용, 자료이용 실태, 이용자 만족도, 그리고 운영상의 어려움을 조사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s Space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 김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52-60
    • /
    • 2013
  • The contemporary concept of publicness is re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publicness. Contemporary perception of public space has now branched and grown into a multitude of non-traditional sites with a variety of programs in mind. In this study, the aim is to discuss how contemporary public library has been evolved as public space and how to create User-centered interaction.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the Public Libraries have showed the expected effects because they hav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lan. Also, these libraries are placed with each facility, not distributed separately. It promotes the accumulation of profit on the space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They support more effectively users' activities through the linkages between each facility and create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users. Formation of the various interactions and synergies between space had been induced. Publicity means that the state will relate a combination of a number of specific public area. In addition, open space, public place, shall be directed to: This place as one of the users in order to have meaning, must be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and space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the local role. Method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concept and role of the users with the concept of modern publicity, to examine the concept of multi-complexity of public librarie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in the public libraries that appear in the advanced countries, to examine how to affect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the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space. In the end,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ity, support program complexity such as education and culture,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21st century, these complex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in public libraries. These spaces can be an alternative to be kept comfortable in a more vibrant area, and can affect the social, natur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objects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exp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