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Factor

검색결과 1,790건 처리시간 0.032초

영유아 어머니의 이유식에 대한 지식정도 및 실태조사 (A Study on the Mothers'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the Infant Weaning Diet)

  • 김미숙;최경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8-53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sic materials that help the nursing of the infants and consultation of childcare by examinating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the mothers about the weaning diet.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05 mothers with infants(6-36 months) who visited two hospitals or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ho were living in one apartment Suwon area between July. 7. and September 10, 2000. The 5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and SAS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tems of low score in the result of the knowledge data were as follows. [Initial weaning time, the important nutritional problem in infant, considering factor during feeding, the relation of proper weaning food & age, the time of used by cup, to apply of proper spicies in weaning food, the time of completing weaning, the time of stopping weaning at abnormal sign, and the inappopriate reason of dry mixed powdered food (Sunsik) as a weaning food.] 2. Higher educated mothers presented more high score than lower educated mothers in the knowledge about the weaning. (p<0.05) 3. Before the weaning, more mothers were using the commercial milk (51.2%) than the breast milk (13.2%). 4. Mothers get the knowledge about the weaning from the infants care book of cook books(26.4%). 68% of mothers had not received any consulting service with regard to the weaning, 10.2% of them consulted Pediatrician about the weaning and 0.5% of them with nurse. 5. Most mothers began supplymentary food, from four to six months (65.4%). the ratio was about the same as the ratio of mothers who knEw the appropriate time for the introduction of supplymentary food(83.2%) 6. The main solid food was commercial food, not home-prepared food. 7. Higher educated mothers used home-prepared weaning food more often than lower educated mothers(P<0.05). 8. The used rate by spoon was 57.4%, but the rate of mother's knowledge data was 95.0%. 9. The time of completing the weaning was in 12-18 months(53.8%). It is similar to the mother's knowledge data(52.7%) Conclusion ; According to knowledge data, it turns out that most mothers know moderatly about the weaning (everage 60/100). However their knowledge and practice on the methods & procedures on the weaning were inadquate. Especially, most mothers did not consult with those qualification about the weaning. Therefore, the role of the nurse as a provider of information on the weaning should be emphasized with varied educational programs in many health care center.

  • PDF

농촌지역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선택과 관리방안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 최태영;권혁수;우동걸;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2-332
    • /
    • 2012
  • 본 연구는 원격무선추적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삵의 행동권, 서식지 선택, 개체군 위협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3개체(수컷 2, 암컷 1)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권은 평균 $2.64{\pm}1.99km^2$(K 95)와 $3.69{\pm}1.34km^2$(MCP 100)이었으며, 핵심공간은 평균 $0.64{\pm}0.47km^2$(K 50)를 나타냈고, 겨울철에 추적된 수컷의 행동권이 가장 넓었다($5.19km^2$, MCP 100). 둘째, Jacobs index에 기반을 둔 Johnson의 서식지 선택모형을 분석한 결과 삵은 2단계 선택(경관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 초지와 논을 선호하고 산림은 회피하는 반면에, 3단계 선택(행동권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는 하천변의 초지를 매우 선호하고 논을 회피하였다. 셋째, 로드킬은 삵의 심각한 개체군 위협요인으로 판단되며, 논의 토지피복 비율이 높고, 하천변에 도로가 존재하며, 산림이 마을 주위에만 소규모로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삵의 개체군 유지가 매우 불안정할 수 있어 이러한 지역에 로드킬 대책과 하천변 초지보호 등의 노력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산 옴개구리 (Rana rugosa)의 식이물 분석 (Diet of the Korean Wrinkled Frog (Rana rugosa))

  • 한상호;박찬진;김대한;민미숙;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33권3호
    • /
    • pp.338-344
    • /
    • 2015
  • 도심하천에 양서류를 재입식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013, 14년에 걸쳐 강원도,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옴개구리(Rana rugosa)를 대상으로 먹이활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옴개구리 위 내용물을 적출하여 70% 에탄올에 고정한 후 해부 현미경으로 관찰 및 촬영하였고, 옴개구리 서식지에서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 (sweeping), 트랩 (trap) 채집을 실시하여 포획 생물들을 동정한 결과를 위 내용물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로서, 옴개구리는 벌목 (Hymenoptera), 딱정벌레목 (Cleoptera)의 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위 내용물에서 확인된 벌목의 98% 이상은 개미과 (Formicidae)로 확인되었다. 옴개구리 서식지 주변 배회성 서식곤충은 남양주의 경우 벌목 58% (개미과 99%), 톡토기목 17%, 메뚜기목 10%, 파리목 9% 순으로 출현했다. 양평의 경우 톡토기목 49%, 메뚜기목 14%, 거미목 9%, 파리목 9%, 딱정벌레목 7%, 벌목 3% 순으로 출현했다. 이러한 결과는 하천변에 노린재목, 파리목이 많이 분포하지만 옴개구리는 하천변 바위나 초지에서 발견되는 개미나 딱정벌레들을 비교적 쉽게 사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옴개구리는 특정 먹이를 선호하기보다는 하천변에서 쉽게 발견되는 소형 육상곤충을 섭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심하천에 먹이자원은 옴개구리 서식의 제한요인이 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왕골 재배 및 화문석 제조에 따른 알레르기 증상 발현에 대한 연구 (Study on Manifestation of Allergic Symptoms by Cultivation of Cyperus Exaltatus & Manufacture of Hwamunsok)

  • 김춘배;원종욱;노재훈;이광훈;이현정;이현성;이홍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0권2호
    • /
    • pp.187-195
    • /
    • 1995
  • Hwamunsok(mat with flower design) is a special product of Kanghwa, which is made up of cyperus exaltatus. According to Allergy, cyperus exaltatus is one of the inhalant allergens and provokes respiratory symptoms and signs.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respiratory allergic disease or contact dermatitis occurring in farmers who cultivate the cyperus exaltatus or manufacture Hwamunsok with it.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symptoms and exposure to cyperus exaltatus. First, we questioned 141 voluntaries living in Kangwha on the symptoms of contact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bronchial asthma. Secondly, open tests with cyperus exaltatus were done to permitted 73 voluntaries. Patch tests with the European standard series(23 antigens) were only done to exposure 49 subjects to cyperus exaltatu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the manifestation rate of allergic symptoms by age, its of 60 years old over in male showed 333 per 1,000 persons. Its of 50 years old in female showed 412 per 1,000 persons. Those age groups in both genders exhibited the highest manifestation of allergic symptoms than all other age groups. Also, if age and sex were adjusted with the rural population of Kanghwagun('93 base population), the manifestation rate of allergic symptoms in male showed 283 per 1,000 persons. Its in female and totals of study populations showed which is each 206 and 234 per 1,000 persons. Specially, it showed that statistics significantly(p=0.002), exposured subjects by cultivation of cyperus exaltatus & manufacture of Hwamunsok have experienced symptoms of contact dermatitis more frequently than unexposured subjects. Secondly, it tested statistics significantly that the risk factor as manifestation of allergic symptoms was the exposure of cyperus exaltatus's allergen(p=0.024). The manifestation risk of allergic symptoms in exposure groups was 3.73 times higher than unexposured subjects. Thirdly, positive reactions in open tests with cyperus exaltatus were higher in exposured subjects than non-exposured subjects. After 72 and 96 hours, positive reactions in open tests were all 10 subjects(20.4%). Also, after 1 week, positive reactions were 8 subjects(16.4%). In conclusion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dermatitis and exposure to cyperus exaltatus while cultivating it and manufacturing Hwamunsok. Therefore,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tinued and a health education program undertaken on contact dermatitis with those who were be engaging in Hwamunsok's manufacture.

  • PDF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f the North Korean Adolescents on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하원;채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95-402
    • /
    • 2017
  •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적응유연성이 탈북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10세-25세)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의 적응 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특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청소년 지도사 및 상담사 등의 전문가를 활용하여 전문적인 보호 및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웰니스 요인이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llness Componen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 이민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361-371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근로자의 웰니스 요인이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실증연구이며, 장애인근로자들이 실생활에서 웰니스를 경험하고 건강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체적 웰니스, 정서적 웰니스, 사회적 웰니스, 인지적 웰니스, 직업적 웰니스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웰니스 요인들이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웰니스 요인은 장애인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근로자의 웰니스가 높아져야만 그들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장애유형에 맞는 웰니스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나는(flying) 궤적(path)에 있어서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물리적 속성(요소)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physical factors related with emotional reaction on the flying path)

  • 김도윤;정재욱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139-146
    • /
    • 2005
  • 지금까지의 애니메이션 작업은 애니메이터의 객관적 감성과 경험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소프트웨어 디자인에 있었어도 지성적인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져 왔다. 이는 객관화하기 용이한 자료로서 데이터화하기가 쉬웠기 때문 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인간의 감성은 객관화하고 디지털화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많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하기 어려운 인간의 감성적 데이터를 객관화하고 이를 정량적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부분으로 나는(flying) 궤적(path)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있어 인간이 나는 제적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한 감성어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감성어를 통해 감성 평가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감성 평가어에서 느껴지는 나는 궤적에 대한 스케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스케치 이미지를 기초로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실험 동영상 샘플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나는 궤적을 나타내는 감성어에 대한 물리적 요소와 동영상 샘플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량화이론III류와 수량화이론I류를 각각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감성어와 동영상 샘플과의 구조를 파악 할 수 있었고, 나는 궤적에 대한 감성반응의 물리적 자극요소 또한 분석 할 수 있었다. 나는 궤적은 오브젝트(object)가 지나간 경로(path)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로(궤적)를 보고 감성자극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특한 감성어로 표현되어 지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엔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그 요소로는 속도, 회전, 규칙 그리고 호의 길이가 그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는 궤적의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데 있어 애니메이터들의 주관적인 감성 표현들을 객관화, 정량화 시키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데이터는 감성 애니메이션 시스템 설계에 있어 기본 데이터로 적용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서울지역 대학생의 식습관과 스트레스정도에 관한 조사 (Dietary Habit and Perceived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 한명주;조현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7-326
    • /
    • 1998
  •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 태도, 건강과 관련된 사항, 식습관 평가, 스트레스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53.5%가 정상체중. 43.3%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저체중이 68.7%로 남학생 20.1%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2. 대학생의 62%가 '하루 3회' 식사한다고 응답하였고 아침식사를 하는 대학생은 34.1%로 대부분의 대학생이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었다. 식사시간은 대체로 불규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일주일에 1-2회 이상 운동하는 남학생은 73.2%로 여학생 48.0%보다 높았다. 흡연을 하지 않는 여학생은 89.3%로 남학생 41.5%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대학생의 84.4%가 자신의 체형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현재의 체형보다 날씬해져야 한다는 응답이 80.0%로 남학생의 42.1%보다 높았다. 4. 대학생의 61.5%가 식품의 배합에 별로 관심이 없다고 응답하였고 녹황색채소를 거의 매일 섭취하는 여학생이 41.6%로 남학생의 32.3% 보다 높았고 과일의 섭취도 거의 매일 섭취하는 여학생이 45.3%로 남학생의 20.1%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부나 콩제품은 대학생의 55.6%가 '주 2회 이하'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우유나 요구르트는 83.8%의 대학생이 '주 2-3회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학생의 식습관은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여학생의 식습관이 남학생보다 바람직하였고 자택에서 통학하는 대학생이 하숙, 자취, 기숙사 또는 친척집에서 통학하는 대학생 보다 식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부분의 대학생(73.8%)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는 대학생의 42.9%가 '주 5회 이상'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대학생의 53.9%는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시간에 따른 스트레스점수는 '불규칙' 3.11, '가끔 불규칙' 3.04, '일정한 시간' 2.66으로 식사시간이 일정할수록 스트레스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 특히 여학생에 대한 올바른 식행동과 건강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생활은 정신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관계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Relating to store service quality,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 -)

  • 박은주;강은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153-173
    • /
    • 2002
  • 본 연구는 의복 구매시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 기준과 위험지각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련변수들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의류제품을 다루는 마케터나 리테일러들에게 소비자 행동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어 차별적 경쟁우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의복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과 의복평가 기준은 구매와 관련된 위험지각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대한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지각요인 중 소비자들이 의류제품의 봉제상태가 나빠지지 않을까, 세탁/관리하기에는 불편함이 없을까 등의 관리적 위험과 다른 옷과의 조화나 비슷한 제품을 더 싼값에 살 수 있지 않을까 등의 성과적 위험, 그리고 점포분위기나 실내장식 등의 시설서비스가 의복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시지역 노인의 생활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Urban Elderly People)

  • 정영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6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to examine the following items. 1) Score distribution of life satisfaction. powerless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affection of socioeconomic characterictics to life satisfaction. powerless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3) Cor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powerless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4) Determining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167 urban elderly peopl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ly in 1998 using the questio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7.5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nd powerlessness were relatively low with the mean score of 42.4 and 39.79 respectivel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were relatively high with the mean score of 3.15 out of 5 and 27.3 respectivel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Education(F=2.91. p=0.02), previous employment(F=2.23. p=0.03) and marital status(F=3.85. p=0.0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owerlessness. Sex(F=6.40. p=0.0l). education(F=3.30. p=0.0l). marital status(F=7.13. p=0.008) and kinds of living togather(F=3.69. p=0.00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characeristics and self-esteem. 3) Monthly allowance(F=3.68. p=0.007).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F=5.90. p=0.000) and number of social activities(F=5.27. p=0.00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Monthly allowance(F=3.13. p=0.01) and number of social activities(F=2.7. p=0.0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owerless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Montly allowance(F=4.82. p=0.001). particpation in social activity(F=2.90. p=0.02) and number of social activities(F=3.79. p=0.00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4) Powerlessness showed negative correltionship with perceived health staus(r=-0.295. p<0.001). self-esteem(r=-0.463. p<0.001) and life satisfaction(r=-0.514. p<0.001). 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positive correltionship with self-esteem(r=0.312. p<0.001) and life satisfaction (r=0.377. p<0.001). Self-estee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r=0.652. p(<0.001). 5) The predicting variances for life satisfaction m elderly people were self-esteem. powerlessnes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among the variances was the self-esteem$(42.5\%)$ and powerlessness was the second. Both of self-esteem and powerlessness accounted for $48.2\%$ in life satisfaction. The addition of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unted for $52.9\%$ in life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