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 birth rat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luteal phase support with vaginal progesterone on pregnancy outcomes in natural frozen embryo transfer cycles: A meta-analysis

  • Seol, Aeran;Shim, Yoo Jin;Kim, Sung Woo;Kim, Seul Ki;Lee, Jung Ryeol;Jee, Byung Chul;Suh, Chang Suk;Kim, Seok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7권2호
    • /
    • pp.147-152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ginal progesterone for luteal phase support (LPS) o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CPR) in natural frozen embryo transfer (FET) cycles via a meta-analysis. Methods: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retrospective studies that met our selection criteria. Four online databases (PubMed, Embase, Medline, and the Cochrane Library) were searched between January 2017 and May 2017.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predefined inclusion criteria and meta-analyzed using R software version 2.14.2. The main outcome measure was CPR. Results: A total of 18 studies were reviewed and assessed for eligibility. One RCT (n = 435) and three retrospective studies (n = 3,033) met the selection criteria. In a meta-analysis of the selected studie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PR (odds ratio [OR], 0.96; 95% confidence interval [CI], 0.60-1.55) between the vaginal progesterone and control groups. An analysis of the two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that reported the live birth rate (LBR) following FE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BR in the vaginal progesterone group (OR, 1.72; 95% CI, 1.21-2.46). A subgroup meta-analysis of FET conducted 5 days after injection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CPR (OR, 1.18; 95% CI, 0.90-1.55) or miscarriage rate (OR, 0.73; 95% CI, 0.36-1.4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of the currently available literature suggest that LPS with vaginal progesterone in natural FET cycles does not improve the CPR.

인구자질과 태생기.주산기.영아기 사망에 관한 연구: 제1보-태생기 생명현상의 수량적 분석 (A Study on Fetal and Infant Mortality in Association with Population Quality: Report 1-Quantitative Analysis on Fetal Life)

  • 김정근;이승욱;이주열;김무채
    • 한국인구학
    • /
    • 제19권2호
    • /
    • pp.47-76
    • /
    • 1996
  • 이 논문은 인구자질정책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된 임신추적조사의 결과이다. 경기도 가평군 전지역을 대상으로 1993년 11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유배우 여성이 경험한 모든 임신을 추적조사하여 임신경과와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조사기간중 782건의 임신이 관찰되었는데, 이중 642건은 최종 임신종결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140건은 전출 및 조사종료에 따라 관찰이 중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추적조사 자료로 태생기 생명표를 작성하여 그 생명현상을 분석하였다. 태생기 생명표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은 출생률 53.5%, 태아사망률 14.5%, 인공유산율 32.0%로 전임신기간을 통해서 46.5%의 임신손모가 있었으며, 태아주령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의 곡선모양은 인공유산율과 태아사망률 모두 L형을 나타내었다. 한편 인위적으로 임신을 중단시키는 인공유산을 제외했을 경우의 태아사망확률은 21.9%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태아사망이나 인공유산과 같은 임신손모에 의해 태생기의 생명이 상당히 손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신손모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가족계획(家族計劃) 및 모자보건사업(母子保健事業)의 효율적 통합방안(統合方案)에 관한 연구(硏究)(서산군(瑞山郡)) -기초조사보고(基礎調査報告)- (The Seosan County Family Planning/Maternal & Child Health Service Research Project, Korea -Project Design and Findings of the Baseline Survey-)

  • 방숙;조태호;이상주;한성현;임경주;안문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163-192
    • /
    • 1983
  • In order to facilitate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in integrating family planning and maternal & child health at the primary health care level (or township level), the Soon Chun Hyang College of Medicine, with the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 of WHO, has under-taken a service research project. The project has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introducing interventions tat provide crucial factors lacking in the ongoing government programs such as midwives and qualified referral physicians. The study is being conducted in three locations, one control area and two study areas. Before introducing trained Nurse/Midewives into the study areas, a baseline prevalence survey was undertaken from 15 July 1981 to 10 August 1981 in selelcted townships of Seosan County. In this sample survey of bath the study and control areas, 2,484 eligible women (97% reponse rate) were interviewed to obtain benchmark data on basic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family planning and maternal and child health. The salient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NTACT RATES WITH HEALTH WORKERS; During the year preceding the survey, 12% of women were visited by government health workers. The primary reason for such visits by health workers was family planning (45% of the visits). About 34% of the women visited the health centers during the year. The primary reason for visiting health centers was immunizations for their children (45% of the visits). 3. FAMILY PLANNING USE RATE; The baseline data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women in the study area and the control area on contraceptive use. Approximately 59% were currently using some methods. However, among those current users, almost half were practicing less effective methods of birth control such as rhythm or withdrawal. Among other methods, the tubectomy was the most popular (16%), while use of the IUD, oral pill and condom together reached only 14%. 3. PRENATAL CARE RATE; About 75% of the women reported no prenatal care for their last births (the youngest child of each women), Additionally, among women received prenatal care, over half had only one visit. 4. ATTENDANCE AT DELIVERY; Most of the women surveyed (over 80%) were attended by a non-medical person during their last delivery. These figures are somewhat comparable to the national figure of 84% for remote areas. 5. POSTNATAL CARE; The proportion of women reporting postnatal care was only 4.5%, and postnatal care was not received by the majority of women surveyed. 6. CHILD HEALTH CARE: In contrast to the low rate of maternity care for women themselves, most women reported obtaining immunization care for their children. About 75% of the women obtained Polio and/or DPT, 58% BCG, and 44% Measles vaccine for their children. However, in terms of illness care, while 35% of the women stated that their youngest child had been sick during the month preceding the survey, only 28% of these women took their child to the clinic for treatment. 7. COMPLICATIONS OF PREGNANCY AND DELIVERY AND ABNORMALITIES IN THE NEWBORN; Among all last deliveries, 18% of the women had pregnancy complications and 9% of the women had complications during delivery About 5% of the women reported abnormality in their most recent newborn. 8. REPRODUCTION EFFICIENCY; PERINATAL MORTALITY AND INFANT MORTALITY Based on data from the pregnancy history in this survey, reproduction efficiency was estimated. Out of the 11,154 pregnancies reported by all women surveyed, foetal loss was 21% (almost 16% were induced abortions) and infant deaths before reaching one year old were 3.1%. The reproduction efficiency was, therefore, reduced to 76%. In terms of perinatal and infant mortality rates, the former was 40.2 per 1,000 total births and the latter was 39.3 per 1,000 live births. Both rates described J shaped relationships with age of mothers and parity, and they were also correlated with birth interval and mother's education. In summary, this baseline survey data indicated a need for (1) improving contraceptive practices with more effective methods to prevent unwanted pregnancies and (2) providing better services for maternal and child care to protect wanted pregancies. In the Korean rural setting.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latter is more important as the value of each child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family planning campaign for the past two decades. This calls for more effective integration of Family Planning and MCH programmes to meet the needs of the family in each stage of the child bearing and rearing period with deploying more qualified personnel than the current government program personnel.

  • PDF

Ovarian Features after 2 Weeks, 3 Weeks and 4 Weeks Transdermal Testosterone Gel Treatment and Their Associated Effect on IVF Outcomes in Poor Responders

  • Kim, Chung-Hoon;Ahn, Jun-Woo;Moon, Jei-Won;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3호
    • /
    • pp.145-152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f transdermal testosterone gel (TTG) on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and IVF outcomes and ovarian morphology according to pretreatment duration in poor responders. A total of 120 women were recruited for this pilot study. They were randomized into control, 2 weeks, 3 weeks or 4 weeks TTG treatment groups. For three TTG treatment groups, 12.5 mg TTG was applied daily for 2 weeks, 3 weeks or 4 weeks in preceding period of study stimulation cycle. After 3 weeks of TTG pretreatment, significant increase of antral follicle count (AFC) and significant decreases of mean follicular diameter (MFD) and resistance index (RI) value of ovarian stromal artery were observed (p=0.026, p<0.001, p<0.01, respectively). The total dose of rhFSH administered for CO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and 4 weeks TTG treatment bot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01, p<0.001). The numbers of oocytes retrieved and mature oocytes were significanty higher in 3 and 4 weeks TTG treatment groups than control group (p<0.001, p<0.001 in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p<0.001, p<0.001 in the number of mature oocytes). Th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ere increased only in 4 weeks TTG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30 and p=0.042, respectively).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TTG pretreatment for 3 to 4 weeks increases AFC and ovarian stromal blood flow, thereby potentially improving the ovarian response to COS and IVF outcome in poor responders undergoing IVF/ICSI.

40세 이상의 여성에서 연령에 따른 체외수정시술 결과 분석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in Women $\geq$40 Years of Age)

  • 권처진;이상희;강은희;김종식;정병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4호
    • /
    • pp.285-291
    • /
    • 2007
  • 목 적: 자신의 난자를 사용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한 40세 이상의 여성 환자에서 시술 결과를 분석하여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본원에 내원하여 체외수정-배아이식 시술을 받은 환자 중 40세 이상의 여성 환자 170명 271주기를 대상으로 하여 시술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들 환자 중 44세 미만 군과 44세 이상 군으로 나누어 시술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udent t-test 및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총 임상적 임신율이 11% (30/271), 임상적 임신이 확인된 후 유산된 경우가 33% (10/30), 총 분만율이 7.4% (20/271)이었다. 44세 미만 군과 44세 이상 군의 비교에서는 주기취소율이 13%와 23%로 44세 이상군에서 높았고, 평균 회수된 난자 수, 수정된 배아 수, 이식한 배아 수는 각각 6.17$\pm$4.62와 4.13$\pm$4.07, 4.83$\pm$3.61와 3.46$\pm$3.12, 3.52$\pm$1.72와 2.81$\pm$1.83로 44세 이상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임상적 임신율과 분만율도 각각 13.0%와 2.1%, 9.0%와 0.0%로 44세 이상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신의 난자를 사용한 체외수정-배아이식 시술이 44세 미만의 여성불임 환자에게는 유용한 시술이지만, 44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시술을 통한 성공적인 임신과 분만에 어려움이 많았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 여성에서 중등도에 따른 체외 수정의 결과 비교 (Comparison of IVF Outcomes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ccording to Severity)

  • 김혜옥;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4호
    • /
    • pp.219-227
    • /
    • 2006
  • 목 적: 자궁내막증이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궁내막증의 체외 수정 결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타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체외 수정을 시술 받은 697명의 환자 (총 1,199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638주기,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561주기였으며, 난관 요인을 가진 325명 (459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 basal FSH level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심각한 남성 요인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 과: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 요인 보다 획득된 난자의 수 ($9.97{\pm}7.2$ vs. $13.4{\pm}7.9$ (p<0.0001)), 총 배아 수 ($6.5{\pm}4.8$ vs. $9.1{\pm}5.6$ (p<0.0001)), 양질의 배아 수 ($2.43{\pm}1.6$ vs. $2.74{\pm}1.7$ (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중증의 자궁내막증의 임신율은 난관 요인과 유사하였다 (35.7 vs. 36.8 (%)).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 요인보다 불임 기간이 길었으며 ($55.4{\pm}25.7$ vs. $47.6{\pm}25.6$ vs. $44.4{\pm}30.9$ (개월) p<0.0001)), 수정률이 의미 있게 낮았으나 ($64.8{\pm}22.9$ vs. $69.9{\pm}22.5$ vs.$70.8{\pm}20.8$ (%) (p<0.0001)), 임신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1.1 vs. 35.7 vs. 36.8 (%)). 또한, 체외 수성 이전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던 경증과 중증의 자궁내막증 (363주기 vs. 470주기)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불임 기간이 길고 ($56.5{\pm}26.3$ vs. $46.9{\pm}25.8$ (개월), p<0.0001), 수정률이 낮았으며 ($64.7{\pm}23.3$ vs. $70.5{\pm}22.7$ (%), p=0.001),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결 론: 체외 수정 시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낮았고, 이는 현저한 수정률 감소와 긴 불임 기간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불임 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 여성은 체외 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간호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Marri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남조;고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8-185
    • /
    • 2018
  • 최근 한국의 출산율 저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개인의 행복이 인생의 중요한 삶의 가치로 부상하면서, 사회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비혼이나 만혼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을 조사하고,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D시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관 분석에서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결혼관은 자녀관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역할관은 결혼관, 자녀관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남성), 성역할관, 자녀관이었으며, 이 때 설명력은 51.9%였다. 따라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혼관과 자녀관 형성과 양성 평등적인 결혼 생활에 대한 사회적 문화를 형성하고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과 국가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노인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방법 연구 (A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Method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for the Aged)

  • 이중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45-251
    • /
    • 2009
  • 최근 들어 인간의 수명 연장과 출산율 저하로 노인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정책적 대안 등을 제시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해결방안의 하나로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생산 활동을 유도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유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IT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모든 생활에 지능형 컴퓨터를 접목하여 생활을 더욱더 편리하고 생산적인 환경을 구축하려 노력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하게 노인이 컴퓨터에 접속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 사용자들이 효율적이며 생산적으로 사용하도록 개선하는 노력이 따라야 한다. 대안으로 떠오르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효율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기준을 제안하여 노인의 불편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고자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이 노인의 생활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객체적 생활인으로서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을 위한 효율적 인터페이스 디자인방법을 제안함으로서 새로운 유비쿼터스 시대에 노인의 경계를 허물고 사회적 활력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PDF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 (COH-IVF Outcomes for Infertile Patients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 이현주;안가영;한호섭;박찬우;양광문;이인호;김태진;임경택;이기헌;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2호
    • /
    • pp.87-94
    • /
    • 2007
  • 목 적: 경계성 난소 종양 환자에 있어서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았다. 연구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경계성 난소 종양으로 보존적 술을 시행 받은 가임 여성 가운데 임신에 성공한 군 (14명)과 비임신 군 (30명)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비임신 군 가운데 불임을 주소로 내원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5명의 10주기를 대상으로 체외수정시술 결과 및 체외수정시술 후 난소 종양의 재발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평균 나이는 25.9세와 27.0세이었으며 혈청 CA-125 수치는 59.7 U/m와 72.0 IU/ml로 비임신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불임을 주소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5명의 10주기 (attempt IVF cycle) 가운데 취소된 2주기를 제외하고 (attempt cycle cancellation rate, 20.0%) 채취된 난자 수는 평균 5.6개 (2$\sim$16개)이었으며 수정율은 14.5% (50.0$\sim$100.0%)이었다. 평균 2.4개 (1$\sim$4개)의 배아를 이식하였으며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과 착상율 및 출생율은 각각 50.0% (4/8 cycle), 31.6% 및 50.0% (4/8 cycle)이었다. 체외수정시술 후 평균 29.6개윌 (14$\sim$61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난소 종양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없으며, 보존적 수술 후 체외수정시술의 결과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체외수정시술은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후 고려될 수 있으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필요로 한다.

2개 대비 1개의 난할기 선발배아 이식에 따른 임상 결과 (Clinical Outcome of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Compared to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Performed at the Cleavage Stage)

  • 강상민;이상원;정학준;채수진;윤산현;임진호;이성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49-359
    • /
    • 2010
  • 목적: 시험관아기 시술에서 3일째의 배아들 가운데 우수한 배아를 선발하여 1개의 배아를 이식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eSET)한 주기와 2개의 배아를 이식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eDET)한 주기의 임상적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대구마리아에서 첫 번째나 두 번째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를 시행한 36세 미만인 환자들 가운데 hCG를 투여한 당일 자궁내막의 두께가 8 mm 이상이고 정상적인 수정란이 3개 이상이면서 적어도 1개의 우수한 배아를 지닌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SET는 167주기에서 실시하였고 eDET는 163주기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eSET군의 임상적 임신율, 진행 임신율 및 출산율 (각각 53.3%, 47.3% 및 44.9%)은 eDET군의 것들 (각각 60.7%, 54.6% 및 50.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착상률은 eSET군이 eDET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각각 53.9%와 40.2%, p<0.001), 쌍태아의 임신율은 eSET군이 eDET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각각 1.1%와 32.3%, p<0.001). 또한, 잉여배아들을 유리화하여 보관하게 된 환자의 비율은 eDET군보다 eSET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을 뿐만 아니라 (각각 68.7%와 89.2%, p<0.001), 환자당 보관된 잉여배아의 수도 eSET군에서 eDET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각 $3.2{\pm}2.6$$2.1{\pm}2.4$,p<0.001).결론: 채취당 임신율을 높이고 다태아의 임신에서 기인한 합병증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내원한 첫 번째나 두 번째 IVF-ET 환자들 가운데 36세 미만이고 HCG를 투여한 당일 자궁내막의 두께가 8 mm이상이며 3일째에 우수한 배아가 하나만 있더라도 eDET보다 eSET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