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etal and Infant Mortality in Association with Population Quality: Report 1-Quantitative Analysis on Fetal Life

인구자질과 태생기.주산기.영아기 사망에 관한 연구: 제1보-태생기 생명현상의 수량적 분석

  • 김정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승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주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 김무채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population quality policies by analyzing fetal life. The outcomes and process of all the pregnancies of women with spouses living in Gapyung-gun, Kyunggi province from November 3, 1993 through December 31, 1995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fetal life table, the estimated probability of pregnancy outcome showed 53.5% of live birth, 14.5% of fetal death, 32.0% of induced abortion, which resulted in 46.5% of pregnancy wastage throughout gestation period. The curve of the estimated probability of pregnancy outcome by gestation weeks showed L shape in case of total pregnancy rate, induced abortion rate and fetal death rate. The estimated probability of fetal death was 21.9% in case that the induced abortion was excluded, which was 7.4% higher than the case that induced abortion was included. The expected duration of pregnancy was 22.9 weeks until the fourth week of gestation and then started to become the highest, 26.6 weeks at the tenth week. At the 11th week, it declined to decrease to 26.4 weeks.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pregnancy wastage including fetal death and induced abortion occurred in the early period of pregnancy.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policies to cope with this situation are needed.

이 논문은 인구자질정책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된 임신추적조사의 결과이다. 경기도 가평군 전지역을 대상으로 1993년 11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유배우 여성이 경험한 모든 임신을 추적조사하여 임신경과와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조사기간중 782건의 임신이 관찰되었는데, 이중 642건은 최종 임신종결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140건은 전출 및 조사종료에 따라 관찰이 중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추적조사 자료로 태생기 생명표를 작성하여 그 생명현상을 분석하였다. 태생기 생명표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은 출생률 53.5%, 태아사망률 14.5%, 인공유산율 32.0%로 전임신기간을 통해서 46.5%의 임신손모가 있었으며, 태아주령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의 곡선모양은 인공유산율과 태아사망률 모두 L형을 나타내었다. 한편 인위적으로 임신을 중단시키는 인공유산을 제외했을 경우의 태아사망확률은 21.9%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태아사망이나 인공유산과 같은 임신손모에 의해 태생기의 생명이 상당히 손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신손모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