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oral zon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소형 농업 저수지인 금풍저수지에서 침수식물의 분포, 식생구조 및 생물량 (Distribu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Keumpoong Reservoir, Korea)

  • 김기환;진승남;조형진;조강현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52-61
    • /
    • 2012
  • 하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소형 저수지인 금풍지에서 침수식물의 분포와 수도의 공간적 시간적 변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날갈퀴법과 음파탐지법을 이용하여 침수식물의 분포, 풍부도 및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침수식물의 출현종수와 식생구조는 연안대의 지형 경사도와 수심에 영향을 받았다. 침수식물 식물상의 종풍부도는 완만한 연안대에서 높았다.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에 의한 식생분석 결과에 의하면 침수식물의 식생구조는 수심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금풍저수지에서 침수식물은 최대 수심 2.8 m까지 분포하였다. 침수식물 분포지는 수변부 경사가 급하고 연간 수위변동폭이 3.5 m에 달하여 총수면적의 6%에 불과하였다. 침수식물의 생물량은 수위변동과 홍수기 탁수 유입으로 인하여 제한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천 상류에 조성된 농업용 저수지인 금풍지에서 침수식물의 식생구조는 수심과 연안대 경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고, 연안대 경사가 급하고 연수위변동이 커서 침수식물의 분포와 생물량이 제한되었다.

Biwa호 연안대에서 사상성 녹조류 군집의 발달 (Development of a Filamentous Green Algal Community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Biwa: a Mini-review)

  • Kentaro, Nozaki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368-372
    • /
    • 2004
  • 1980년대 이래로 Biwa호 북측 지역 연안대에서 초여름 동안 Spjrozyra에 의해 조성된 저서 사상성 부착녹조류 군집의 발달이 관찰되어 왔다. 이들의 발달은 초여름 저서 조류 군집의 생물량 증가와 생물량의 계적적 변동 양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Spjrozyra 군집 발달의 원인을 1963-64년, 1995-96년, 2001-02년 동안 수행된 연구 결과(특히,영양염,$NO_3^--N$)에기초하여 고찰하였다. 6월 동안의 $NO_3^--N$의 농도는 1964년 6월에 $20{\mu}g\;L^{-1}$에 비교할 때 1995년과 2002년은 $100{\mu}g\;L^{-1}$ 이상이었다. 이 결과는 $NO_3^--N$가 1963년도에 Spjrogyra 성장에 대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시사한다. Biwa호 북측 지역 개방수역에서 $NO_3^--N$의 농도는 1950년대이후 유역에서의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의 영향으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Biwa호에서 Spjrogyra 군집의 발달은 인간활동에 의한 영양염 공급의 증가의 결과로 추정된다.

수생식물이 발달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수생식물의 밀도 및 종류가 부착성 윤충류와 지각류에게 미치는 영향 (Zo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in Aquatic Plants Zone: Influence of Epiphytic Rotifers and Cladocerans in Accordance with Aquatic Plants Cover and Types)

  • 최종윤;나긍환;김성기;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86-93
    • /
    • 2013
  • 본 연구는 얕은 수심의 습지에서 발달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종류가 동물플랑크톤 밀도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32개의 습지에서 2011년 5~6월까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65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대부분의 습지에서는 부유성 종보다 부착성 종이 더 많은 수를 보였다(40종). 조사된 모든 습지에서는 수생식물이 매우 우점하였으며, 이는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times}1$ (m) 방형구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동물플랑크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부착성 및 부유성 윤충류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뚜렷한 상관성를 나타냈다($r^2=0.39$, p<0.05, n=32).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수생식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된 습지 중 수생식물이 가장 잘 발달된 우포늪과 장척호의 갈대(Phragmites communis)와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에 부착된 동물플랑크톤의 채집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은 갈대보다 붕어마름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이 중 Lepadella, Monostyla, Testudinella는 두 식물간에 매우 뚜렷한 밀도 차이를 나타냈다(One-way ANOVA, p<0.05). 붕어마름은 갈대보다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 동물플랑크톤이 부착할 수 있는 기질표면 또한 풍부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수생식물은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의 서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의 밀도와 종 다양성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갯벌의 패류 생물량 (Biomass of Shellfish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종식;황선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57-761
    • /
    • 2003
  • Spatial distribution and biomass of commercial shellfish were investigated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during August 1999. Thirteen species of shellifsh were collected. Major dominant species of the study area were Umbonium thomasi with a density of $6.7\;ind.{\cdot}m^{-2}\;(38.2\%)$, Mactra veneriformis with $6.6\;ind.{\cdot}m^{-2}\;(37.4\%)$ and Reticunassa festiva with $1.3\;ind.{\cdot}m^{-2}\;(7.2\%)$.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such as M. veneriformis ($90.7\;ind.{\cdot}m^{-2}\;69.3\%$), M. lusoria ($15.6\;ind.{\cdot}m^{-2}\;11.9\%)$), C. sinensis ($8.7\;ind.{\cdot}m^{-2}\;6.7\%)$) were dominant in total weight. Most of the shellfish were distributed between the mid-littoral and sub-littoral zones, but C. sinensis and L. flexuosa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polluted areas of the supra-littoral zon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each shellifsh species generally resembles the Mangyeong and Dongjin estuary. Biomass of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M. veneriformis, M. lusoria, C. sinensis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tidal flat (ca. 850 ha) was estimated to be 774, 135, 67 and 10 tons, respectively.

The Field Observations on the Littoral Swarming of Cladocera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and th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 La, Geung-Hwan;Jeong, Hyun-Gi;Kim, Myoung-Chul;Kim, Hyun-Woo;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81-585
    • /
    • 2007
  • Swarm formation of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was observed in a shallow reservoir on 27 May 2007 (Dongpan Reservoir) for the first time. Dense swarms composed of asexual females, only occurred during daytime (13:00-17:00, local time) at the littoral zone. Correlation between density of S. kingi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density of juvenile fis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warming of S. kingi seems to be induced for predator avoidance than increase of mating chance, and water temperature may affect their swarming behavior.

An Efficient Chloride Ingress Model for Long-Term Lifetime Assessment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nder Realistic Climate and Exposure Conditions

  • Nguyen, Phu Tho;Bastidas-Arteaga, Emilio;Amiri, Ouali;Soueidy, Charbel-Pierre E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1권2호
    • /
    • pp.199-213
    • /
    • 2017
  • Chloride penetration is among the main causes of corrosion initiation in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producing premature degradations. Weather and exposure conditions directly affect chloride ingress mechanisms and therefore the operational service life and safety of RC structures. Consequently, comprehensive chloride ingress models are useful tools to estimate corrosion initiation risks and minimize maintenance costs for RC structures placed under chloride-contaminated environments. This paper first presents a coupled thermo-hydro-chemical model for predicting chloride penetration into concrete that accounts for realistic weather conditions. This complete numerical model takes into account multiple factors affecting chloride ingress such as diffusion, convection, chloride binding, ionic interaction, and concrete aging. Since the complete model could be computationally expensive for long-term assessment, this study also proposes model simplifications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st. Long-term chloride assessments of complete and reduced models are compared for three locations in France (Brest, Strasbourg and Nice) characterized by different weather and exposure conditions (tidal zone, de-icing salts and salt spray). The comparative study indicates that the reduced model is computationally efficient and accurate for long-term chloride ingress modeling in comparison to the complete one. Given that long-term assessment requires larger climate databases, this research also studies how climate models may affect chloride ingress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ection of climate models as well as the considered training periods introduce significant errors for mid- and long- term chloride ingress assessment.

복합해수유동 수치모형에 의한 조간대 연안류의 해석 (Analysis of Littoral Currents by the Coupled Hydrodynamic Model)

  • 이종섭;권경환;박일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7-2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가 발달한 우리나라 전북 서해안의 구시포 해안에서 연안류에 미치는 외력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석 조류 및 파에 의한 해빈류를 고려한 복합해수유동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에서 조석 조류는 EFDC 모형, 파랑은 SWAN 모형, 그리고 해빈류는 SHORECIRC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지에서 조석 조류와 입사파를 현장관측하였고 인근 기상관측소의 바람자료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지의 조간대에서 GPS를 장착한 경량 Drogue의 추적실험을 수행하고 연안류 성분을 추출하였다. 또한 현장관측조건에 맞추어 수치모형에 의한 수치 Drogue 추적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관측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치 Drogue의 이동속도는 현장자료에 대해 68.0~105.2 %의 범위로서 재현되었으며, 주류성분의 오차는 - 16.7~ +10.0 %로서 양호하였다. 그리고 연안류 성분은 주로 바람과 조류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저경사가 아주 완만하여 쇄파대폭이 넓은 조간대에서 입사파고가 작은 파가 내습하는 경우의 해빈류는 연안류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rophic position and diet shift based on the body size of Coreoperca kawamebari (Temminck & Schlegel, 1843)

  • Choi, Jong-Yun;Kim, Seong-Ki;Kim, Jeong-Cheol;Yoon, Jung-D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1호
    • /
    • pp.1-7
    • /
    • 2020
  • Background: Fish body size is a major determinant of freshwater trophic interactions, yet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sh body size and trophic interactions in river upstrea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size and trophic position (TP) of Coreoperca kawamebari (Temminck & Schlegel, 1843) in an upstream of the Geum River. Results: A stable isotope analysis (based on δ15N) was used to determine the TP based on the body size of C. kawamebari. The regression analysis (n = 33, f = 63.840, r2 = 0.68) clear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length and TP of C. kawamebari. The TP of C. kawamebari was clearly divided by body size into the following classes: individuals of size < 10 cm that feed on insects and individuals of size > 10 cm feed on juvenile fish. This selective feeding is an evolutionarily selective tendency to maximize energy intake per unit time. Furthermore, the diet shift of C. kawamebari was led by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s. The littoral zone was occupied by individuals of size < 10 cm, and those of size > 10 cm were mainly in the central zone. The littoral zone can be assumed to be enriched with food items such as ephemeropterans and dipterans. Conclusion: The TP of C. kawamebari, as a carnivorous predator, will have a strong influence on biotic interactions in the up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which can lead to food web implication.

Two case studies on structural analysis of transmission towers under downburst

  • Yang, FengLi;Zhang, HongJie
    • Wind and Structures
    • /
    • 제22권6호
    • /
    • pp.685-701
    • /
    • 2016
  • Downbursts are of great harm to transmission lines and many towers can even be destroyed. The downburst wind field model by Chen and Letchford was applied, and the wind loads of two typical transmission towers in inland areas and littoral areas were calculated separately. Spatial finite element models of the transmission towers were established by elastic beam and link elements. The wind loads as well as the dead loads of conductors and insulators were simplified and applied on the suspension points by concentrated form. Structural analysis on two typical transmission towers under normal wind and downburst was completed. The bearing characteristics and the failure modes of the transmission towers under downburst were determined. The failure state of tower members can be judged by the calculated stress ratios. It shows that stress states of the tower members were mainly controlled by 45 degree wind load. For the inland areas with low deign wind velocity, though the structural height is not in the highest wind velocity zone of downburst, the wind load under downburst is much higher than that under normal wind. The main members above the transverse separator of the legs will be firstly destroyed. For the littoral areas with high deign wind velocity, the wind load under downburst is lower than under normal wind. Transmission towers are not controlled by the wind loads from downbursts in design process.

서해안 무창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The Structure Analysis of Intertidal Algal Community in Muchangpo,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환;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49-164
    • /
    • 1985
  • 충남 보영군 무창포해수욕장 일대의 조간대 해조군집에 대하여, 종조성, 우점종과 수직분포의 계절적 변화, 그리고 현존량을 1981년 봄-겨울에 걸쳐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을 통하여 총 64종(남조 1종, 연조 3종, 갈조 19종, 홍조 41종)의 해조류가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의 해조류 군집은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및 Pelvetia siliquosa로 대표되었다. 한편, Gloiopeltis furcata는 조간대 상일중부에서, Corallina pilulifera는 하부에서 높은 피도를 보였다. 식생자료에 대한 classification (UPGMA)과 ordination(RA) 결과, 대체로 조위의 하중이 인정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계절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현존량은 57,2~92.8 g-dry/$m^2$의 범위로서, 봄에 낮고 여름에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