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er Growth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anise flavor on the performance of sows and their litters with different weaning ages

  • Sun, Hao Yang;Lei, Yan;Kim, In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273-283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nise flavor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and suckling pigs at different weaning ages. A total of 120 sows (Landrace ${\times}$ Yorkshir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Sows were fed with a commercial lactation diet (60 sows) or diet with flavor (60 sows) during days 100 to 114 of gestation period and the whole lactation period. Piglets were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based on their initial body weight (BW) using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ith 2 levels of anise flavor (0 or 0.5 g/kg) and weaning periods (weaned at 21 day or 28 day after birth). Sows fed with flavor supplemented diets had higher (p < 0.05) back fat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t weaning, lower (p < 0.05) back fat loss than those fed with non-flavor diets. Sows weaned at 28 day had higher (p < 0.05) weaning back fat and lower (p < 0.05) back fat loss than those weaned on 21 day. During weaning, piglet average daily gain (ADG), ADFI,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nitrogen (N), and gross energy (GE) and fecal score were affected by anise flavor, respectively. In conclusion, dietary flavor supplementation could increase feed intake of lactating sows,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reduce weaning stress of piglets, especially effective in the early weanling piglets. Meanwhile, interactive effects were observed about the piglet performance between weaning ages and anise flavor supplementation after weaning.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미생물, 혈청성분 및 계사환경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 Ferments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Blood Serum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Broiler)

  • 김상호;박수영;유동조;이상진;류경선;이동규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1-159
    • /
    • 2003
  • 본 연구에서 AO 배양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및 혈청내 생화학성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2차례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I에서는 육계 초생추(Abor Acres) 360수를 평사에서 5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첨가된 AO 배양물은 AOS와 AOL 2종의 균주를 이용하여 각각 배양하였다. 대조구는 기초사료를 급여하였으며, 2개의 처리구에는 기초사료에 배양물을 각각 0.1%씩 첨가하였다. 시험 II도 육계 초생추(Abor Acres) 360수를 평사에서 5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I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적이 우수한 AOL균주를 이용하여, 적정 첨가수준을 조사하고자 첨가수준을 각각 0, 0.1, 0.2%로 하였다. 시험 I 에서 증체량은 AO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22∼38g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증체량이 다소 높았던 AO 첨가구에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료요구율 역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생화학성분은 AO 배양물 급여구에서 당과 칼슘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cholesterol, blood urea nitrogen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최고발생량을 기준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25∼50% 정도 감소하였으며, 바닥재 수준 함량은 차이자 없었다. 시험II에서는 종료시 체중이 AO 배양물 급여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 역시 AO 배양물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요구율을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장내미생물은 AO 배양물 급여구의 회장과 맹장에서 유산균의 수가 대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회장에서는 살모넬라 및 대장균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O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장내미생물총 및 사육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에서의 5년 경과 후 토양특성 및 소나무 생장 모니터링 (Monitoring Soi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Five Years after Restoration in the Baekdudaegan Ridge)

  • 한승현;김정환;강원석;황재홍;박기형;김찬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53-461
    • /
    • 2019
  • 및 분해가 제한됨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 수고생장률본 연구는 이화령, 육십령, 벌재 등 백두대간 마루금 생태복원사업지에서 복원사업 5년 경과 후 토양특성과 소나무 생장을 모니터링하고 토양특성이 소나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복원사업은 소나무 조림목을 이용하여 2012년-2013년에 완료되었으며, 2018년 4월에 각 복원사업지에서의 토양을 채취하고, 소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토양 pH는 복원초기에 비해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이화령과 벌재에서 7.7과 6.4의 높은 값을 보였다. 복원초기에 비해 유기물함량은 전반적으로 70-80%가 감소하였고, 유효인산은 크게 변화가 없었다. 유기물함량의 감소는 복원 후 초기 고사유기물의 유입 및 분해가 제한됨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 수고생장률($m\;yr^{-1}$)은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육십령에서 1.0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벌재(0.75), 이화령(0.17)순이다. 수고생장률은 토양 pH, 양이온함량(Na, Ca 등)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유효인산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이화령 지역의 저조한 소나무 생장률은 높은 토양 pH로 인한 낮은 양분가용성과, 높은 Na와 Ca 농도로 인한 뿌리로의 수분흡수 저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복원 5년 경과 후 나타난 유기물함량의 급격한 감소는 향후 화학비료, 바이오차 등을 이용한 토양개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首都圈地域에서 리기다소나무 잎과 잔뿌리 속의 陽이온 부족 (Cation Deficiencies in Needles and Fine Roots of Pitch Pin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Rhyu, Tae-Cheol;Kim, Kee-Dae;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77-286
    • /
    • 1994
  • 수도권과 그 주변 지역의 33지소의 리기다소나무 숲에서 리기다소나무 잎과 잔뿌리의 주요이온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잎 속의 N, P, K 및 Mg 함량운 전년도 잎에 비해 당해연도 잎속에 높았지만, Al과 Ca은 그 반대였다. 잎 속의 N, P, K 및 Al 함랴은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Ca과 Mg 함량은 전원지에 비해 도심지에서 낮았다. 그러나 잎속의 N/Ca와 N/Mg의 비의 값은 전원지에보다 도심지에서 컸다. 표토 잔뿌리 속의 Mg 함량은 도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심층토 잔뿌리 속의 Al 함량은 그 반대였다. 토양층 잔뿌리 속의Al 함량은 도심지보다 전원지에서 낮았다. 토양층 잔뿌리속의 Al 함량은 낙엽층의 잔뿌리에 비하여 2~3배 높았다. 그리고 표토보다 심층토에 존재하는 잔뿌리 속에 Al 함량이 높았다. 그러므로 수도권 지역에서 리기다소나무의 생장감소는 조직 속의 Ca과 Mg 부족, N/Ca과 N/Mg 비의증가 및 잔뿌리 생장에 대한 Al 독성에 있었다. 그리고 수도권 지역에서 잔뿌리의 비정상적인 분포는 산성토양에서 Al 독성에 의한 잔뿌리의 생장감소가 그 원인으로 해석된다.

  • PDF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Growing/Finishing Pigs Fed Barley-Based Diets Supplemented with an Extruded or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or Meal

  • Thacker, P.A.;Qiao, Shiy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02-105
    • /
    • 2002
  • Seventy-two crossbred pigs weighing an average of 41.5 kg were assigned on the basis of sex, weight and litter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factorial (4 treatments${\times}$2 sexes) arrangement. The control diet was based on barley and soybean meal while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sisted of diets in which a portion of the dietary protein was supplied by 20% of a 50:50 blend of extruded ($130^{\circ}C$ for 20 to 25 sec) peas and full-fat canola seed, 20% of a 50:50 blend of unextruded peas and full-fat canola seed or a diet containing 10% peas, 6% canola meal and 4% canola oil (to equal the level of canola oil provided by 10% whole canola seed).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gross energ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the control diet than for the other three diets. Extrusion produced no beneficial effects (p>0.05)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gestibility between the diet based on intact canola seed compared with the diet containing canola meal and oil. Choice of protein supple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gain, feed intake or feed conversion during the grower or finisher phases and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Extrusion of the pea-canola blend produced no beneficial effects on pig performance as the performance of pigs fed either the extruded or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was similar.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pigs fed diets containing intact canola seed was similar to that of pigs fed canola meal and oil. Castrates gained faster and consumed more feed than gilts (p<0.05). However, their feed conversion was poorer than that of the gilts during the finisher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traits between pigs fed the control and any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s. Extrusion had no effect on carcass traits and the carcasses of pigs fed canola meal and oil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pigs fed whole canola seed. Castrates had a significantly lower dressing percentage, lower estimated lean yield but greater loin fat depth than gilts (p<0.05).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peas in combination with canola seed or canola meal are an acceptable alternative to soybean meal as a protein supplement for use in growing-finishing swine diets. Extrusion did not appear to have any beneficial effect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canola seed-pea blend as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were similar for pigs fed the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compared with the extruded product. Since the process adds to the cost of the raw products, its use is unlikely to be economical.

Consequences of Post-grazing Residues Control and Birth Season on the Body Traits,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Offspring's Growth of Suckling Goats and Ewes Reared at Pasture in Guadeloupe (FWI)

  • Ortega-Jimenez, E.;Alexandre, G.;Arquet, R.;Coppry, O.;Mahieu, M.;Xande,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108-1117
    • /
    • 2003
  • In Guadeloupe small ruminants (SR) are reared for meat production under pasture conditions. Intensive rotational grazing systems (irrigated, fertilised and high stocked) allow reasonable levels of production but generate high post-grazing residues.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control them. A system in which residuals were mown (RM) was test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system (Residuals Remained, RR). The same design was carried out for two years with Creole goat (G) and Martinik sheep (S). An accelerated reproductive rate (3 parturitions over 2 years) was carried out. Systems were compared at three parturition seasons per year(dry, intermediate and rainy seasons). Each group was composed of 20 goats ($36.0{\pm}2.5kg$) or 20 ewes ($46.8{\pm}2.4kg$). The female body traits did not vary according to pasture management and seasons. The stocking rate averaged 1,400 kg LW/ha. The mean fertility rate for does varied significantly (p<0.05) within the kidding season, from $80.4{\pm}0.5%$ to $93.7{\pm}2.9%$ while the mean litter size was $2.30{\pm}0.07$ total kids born. No effect of pasture system was observed. Corresponding values for ewes were $83.2{\pm}12.8%$ vs. $75.6{\pm}12.5%$ (p<0.05) and $2.43{\pm}0.24$ vs. $2.03{\pm}0.29$ (p<0.01) total lambs born for SRM and SRR ewes, respectively. A seasonal effect was observed upon ewe performances. The preweaning mortality of kids and lambs averaged 16.3% and 14.4%, respectively. It was 7 and 9 percentage points more (p<0.01) for RR than for RM kids and lambs, respectively. For both species, weaning took place at an average age of $81.4{\pm}3.6days$. In Creole kids, live weight at birth and at weaning were $1.9{\pm}0.2kg$ and $8.9{\pm}0.8kg$, respectively. In the Martinik sheep, the traits averaged $2.9{\pm}0.2kg$ and $18.9{\pm}0.9kg$. For both traits in both species, significant (p<0.05) group${\times}$season interactions were recorded. The consequences of elimination of post-grazing residues varied according to the SR speci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animal physiological status. The forage characteristics were not limiting factors since forage availability in the RM systems (2,300 and 2,600 kg DM/ha, respectively)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at satisfactory levels (CP content averaged 12 and 10%).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new grazing system which would allow the use of post-grazing residues instead of mowing the refusals.

Effect of Dietary Antimicrobials on Immune Status in Broiler Chickens

  • Lee, K.W.;Lillehoj, H.S.;Lee, S.H.;Jang, S.I.;Park, M.S.;Bautista, D.A.;Ritter, G.D.;Hong, Y.H.;Siragusa, G.R.;Lillehoj, E.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382-392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etary anticoccidial drugs plus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on parameters of immunity in commercial broiler chickens. Day-old chicks were raised on used litter from a farm with endemic gangrenous dermatitis to simulate natural pathogen exposure and provided with diets containing decoquinate (DECX) or monensin (COBN) as anticoccidials plus bacitracin methylene disalicylate and roxarsone as AGPs. As a negative control, the chickens were fed with a non-supplemented diet. Immune parameters examined were concanavalin A (ConA)-stimulated spleen cell proliferation, intestine intraepithelial lymphocyte (IEL) and spleen cell subpopulations, and cytokine/chemokine mRNA levels in IELs and spleen cells. ConA-induced proliferation was decreased at 14 d post-hatch in DECX-treated chickens, and increased at 25 and 43 d in COBN-treated animals,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s. In DECX-treated birds, increased percentages of $MHC2^+$ and $CD4^+$ IELS were detected at 14 d, but decreased percentages of these cells were seen at 43 d,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s, while increased $TCR2^+$ IELs were evident at the latter time. Dietary COBN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fractions of $MHC2^+$ and $CD4^+$ IELs and reduced percentages of $MHC2^+$, $BU1^+$, and $TCR1^+$ spleen cells compared with controls. The levels of transcripts for interleukin-4 (IL-4), IL-6, IL-17F, IL-13, CXCLi2, interferon-${\gamma}$ (IFN-${\gamm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4 were elevated in IELs, and those for IL-13, IL-17D, CXCLi2, and IFN-${\gamma}$ were increased in spleen cells, of DECX- and/or COBN-treated chickens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s. By contrast, IL-2 and IL-12 mRNAs in IELs, and IL-4, IL-12, and IL-17F transcripts in spleen cells, were decreased in DECX- and/or COBN-treated chickens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X or COBN, in combination with bacitracin and roxarsone, modulate the development of the chicken post-hatch immune system.

방목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razing of Korean Black Goats on Their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Growth Performance of Goatlings)

  • 황보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
    • /
    • 2015
  •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36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8두씩 공시하여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수행하였다. 단태의 비율은 방목구가 31.5%, 사사구가 37.0%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는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1.76과 1.69두로 사육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유 시의 두수는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1). 사육형태에 따른 생시체중은 방목구가 2.3 kg, 사사구가 2.29 kg 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후 90일 령 이유 시 방목구가 9.97 kg 로 사사구의 9.45 kg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9), 포유기간 일당증체량에서도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분만형태, 산자수 및 생시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두수 및 자축의 일당증체량에서는 방목사육 형태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방목이 흑염소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흑염소 생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성성숙(性成熟),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 -번식형질(繁殖形質)과 체성장(體成長)에 따른 혈청(血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Goat during Puberty, Estrous Cycle and Pregnancy(I) - Studies on Reproductive Traits, and Changes of Sex Hormone Levels by Growth-)

  • 이규승;박창식;김영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번식형질(繁殖形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70일령(日令)부터 190일령(日令)까지 매(每)15일(日) 간격(間隔)으로 혈청(血淸) 성(性) hormone의 농도변화(濃度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성성숙일령(性成熟日令)과 체중(體重)은 183.6일(日)과 14.3 kg이었고. 발정시기(發情時期)와 발정지속기간(發情持續期間)은 20.3일(日)과 36.7시간(時間)이었으며, 임신기간(姙娠期間), 복당산자수(腹當産仔數) 및 생시체중(生時體重)은 각각(各各) 148.4일(日), 1.4두(頭) 및 1.8 kg이었다. 혈청(血淸) LH의 수준(水準)은 70일령(日令)에서 3.93mIU/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 이어서 190일령(日令)에는 1.21mIU/ml로 최소치(最少値)였다. FSH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25 mIU/ml 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Prolactin은 85일령(日令)에 3.09 ng/ml로 최소치(最少値)였고, 175일령(日令)에 4.65 n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Estradiol-$17{\beta}$의 수준(水準)은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어서 190일령(日令)에서 7.95 p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Progesterone은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0 ng/ml 이하(以下)로서 매우 낮은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 PDF

해바라기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Collections)

  • 김인재;남상영;이윤호;김성진;최성열;노창우;이정관;송인규;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10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된 해바라기 328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7~12일이었으며, 개화 소요일수는 55~86일로 폭넓게 분포하였다. 수집종 해바라기의 경장은 평균이 259 cm로 그 분포는 131~345 cm의 변이를 보였고, 성숙일수는 평균 35일이었다. 주당 두화수(頭花數)는 1개~23개로 큰 변이를 보였으며, 두화의 크기는 평균 17.6 cm 로 14.7~21.3 cm가 72.8%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두화당 종자수는 평균 1,430개 정도, 종실중은 평균 91.4 g로 28~379 g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종실길이는 평균 11.7 mm, 범위는 9.0~21.5 mm 이었으며, 종실 폭은 평균 6.4 mm, $1\;{\ell}$ 무게는 평균 322.5 g이었으며, 천립중은 평균 63.3 g, 주당 종실중은 평균 204 g이었다. 생육 및 종실 특성 중에서 두화 당 종자수의 변이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주당종실 중의 변이가 컸다. 수집종들의 형질 간 상관분석 결과, 경장이 클수록 종실폭은 커지고 개화일수도 길어졌으나, 성숙일수와 생육일수는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