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검색결과 1,762건 처리시간 0.033초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특성 및 경향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Classifications of Scientific Literacy Definitions)

  • 이명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5-62
    • /
    • 2014
  •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과학적 소양을 정의하고 분류를 시도했던 연구자들의 분류 결과를 3가지 분류 기준에 의하여 재분류하고,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학적 소양이 과학교육의 주요 목표를 대변하는 개념이므로 그 정의에 따른 분류는 과학교육의 목적에 대한 동향을 검토할 수 있는 주요자료가 될 수 있다. 분류 기준은 1) "literate"의 의미로서 '학습됨', '능력 있음', '사회에서 최소 기능을 할 수 있음', 2) 과학적 소양을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용어와 서술, 3) 과학적 소양의 내부 구조로서 '단일 구조', '직렬식 위계구조', '병렬식 수평구조'이다. 분류 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소양의 구조로서 위계 구조는 90년대 후반부터 표현방식으로서 용어를 사용하는 정의와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학습과 능력사이에서만 위계를 인정하고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과학적 소양의 의미는 수용하지 않고 있다. 수평구조는 과학적 소양의 하위 요소 간의 위계 구조를 보이지 않는 대신 사회적 기능으로서 과학적 소양의 의미를 전반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또, 단일 구조는 대부분 과학적 소양을 새로운 시각에서 제안하는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소양의 의미도 최근으로 오면서 학습에서 능력을 거쳐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는 특성이 있다. 둘째, 근래로 오면서 과학적 소양을 용어 형식으로 정의하려는 연구가 증가하고, 이들 사이에도 위계를 설정하는 분류가 주도하고 있다. 또한 소양의 세 가지 의미인 학습, 능력, 사회적 기능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는 분류가 빈번해졌으나, 이들 간에는 위계 구조보다는 오히려 수평 구조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살펴 볼 때, 과학 교육의 목표로서 과학적 소양의 의미는 학습이나 과제 해결 능력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사회적 맥락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개인을 육성하려는 목표로서 인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주목할 것은 과학적 소양의 이러한 사회적 기능 측면은 위계적이 아닌 독립적인 목표로서의 특성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학교육이 교과 내 개념학습에서 벗어나 다양한 맥락에서의 적용과 사회적 역할을 중시하는 목표로 전환할 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정보문해 교육을 위한 핵심 정보문해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nalysis of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 김순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9
    • /
    • 2006
  • 디자인분야 대학생들이 학업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정보문해 교육에서 추구하는 일반적인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정보문해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교의 디자인분야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미국 디자인분야 교육 인증기관인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된 디자인분야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디자인분야 전 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7개 범주 26개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정보문해능력들은 정보문해 교육의 시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디자인 등 세부전공분야별로는 보다 더 전문적인 특정 정보문해능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디자인분야 특정 핵심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디자인분야에는 일반영역/기초능력관련 일반학문분야에 대한 정보문해능력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사회 도서관과 연계한 영어 문식성 발달 지원 방안 (Programs Supporting Students'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in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A Development of an English Reading Program)

  • 권혜경;장경숙;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41-54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지역사회 공공 도서관과 연계하여 학생의 영어 문식성 발달을 지원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효율적인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외 공공도서관 및 영어도서관 등에서 학생의 영어 문식성 발달을 지원해주고 있는 다양한 관련 프로그램 및 사례 수집을 통해 그 효용성 및 중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국내외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학생들이 공공도서관에서 이뤄지는 영어 프로그램들을 활용하면서 영어 문식성 발달에 큰 도움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연유로 현행 지원 실태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영어 문식성 교육의 기회를 지역 사회의 공공도서관과 연계하여 향후 보다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의료정보이해능력 (Health Literacy): 한국형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 김성수;김상현;이상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5-227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HLAT) and to encourage researchers in the public health education field to look at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as one of the possible strategies to design and develop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 campaigns in Korea. Methods: Data with 117 sample subjects was collected from various classes such as continuing adult classes and undergraduate classes. REALM, well-known and widely used health literacy tool in the US, was translated and modified for cultural considerations. The Korean modified version of the REALM was administrated to the targeted subjects who were asked to fill the survey questionnaires. Results: The findings appear to be consistent with the OCED reading literacy among Koreans.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seems to be more serious problem than we have expected before and this could be a major obstacle to effective health public education campaigns. Conclusions: In order to develop better public health education materials as well as health education programs, it may be critical for us as health educators to inform future physicians as well as practicing physicians of the important link between health literacy and the effective health education(or communication). It is now time for us to make sincere efforts in understanding health literacy one of effective strategies toward improving the public health.

조선족과 다른 출신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과 영향 요인 비교 (Health Literac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n-Chinese and Other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 양숙자;지연경;안지숙;박민희;정선옥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1-22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literacy levels of Asian immigrant wome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focusing on Korean-Chinese and other Asian immigrants in Korea.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258 immigrant women, comprising 56 Korean-Chinese and 202 other immigrants from the Philippines, Vietnam, Japan, Cambodia, Thailand, Uzbekistan, Taiwan, and Han-Chinese. The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 Short Form (REALM-SF) was used to assess health literacy, which consisted of seven medical words in Korean (behavior, exercise, menopause, rectal, antibiotics, anemia, and jaundi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acute{e}}ffe$ post hoc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Korean-Chinese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health literacy ($M=6.41{\pm}1.07$), compared to their other immigrant counterparts ($M=4.55{\pm}2.15$). While Korean-Chinese women with longer time since immigration (p=.048) reported higher health literacy, for other immigrants, those living with children (p<.001), longer time since immigration (p=.011), and greate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p=.004) showed an association with higher health literacy. Conclusion: When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and health educat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differences in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Chinese and other immigrants.

초등학생 학부모의 환경 소양 관련 변인 (The Effect of Variable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 김은희;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1호
    • /
    • pp.36-4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lementary school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varied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specific variables that affected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Twel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chosen for purposive sampling. 3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the 350 questionnair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and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was measured through 55 questions consisted of 12 items for knowledge category, 22 for attitude category, 5 for behavior category, and 3 for skills category with 16 demographic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of the variables that make up environmental literacy through mean t-test, F-distribution,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i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career in parent's actual environmental literac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geneder, birthplace, residential type, religion and income. The parents in forti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ents in thirties in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kill and environmental interest in environmental literacy. And the parents with bachelor's degre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ents with at least a high school diploma in subdomains of ecological knowledge, knowledge on environmental problems & issue, environmental skill and environmental behavior. (2) the most influential media on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is TV, then newspaper, internet and book follow. (3)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risis and environmental interest is the highest, but the mainly negative correlation is analysed between knowledge subdomains and other subdomains. (4) there is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 PDF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Information Literacy of Adolescent)

  • 고해숙;김성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7-37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정보활용능력이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청소년의 인구학적 통계 및 기타 다양한 특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중·고등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활용능력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학년, 학업성적,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학교 외 디지털기기 사용빈도 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활용능력 교수효과 평가 및 교과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its Design Principle)

  • 김성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3-40
    • /
    • 2010
  • 급변하는 정보사회를 살고 있는 개인들의 독립적인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평생학습을 가능케 하는 주요한 자질로서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정보활용능력 기준을 제정하고 교과과정에 정보활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규 교과과정의 개설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 수강생들의 자기효능감(self-efficiency)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관련 교과의 교수효과를 확인하고, 교과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교과과정이 수강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증진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 평가를 기반으로 교과과정 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구강건강 분야의 헬스리터러시 국내연구경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f Oral Health Literacy in South Korea)

  • 이주열;박수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45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oral health literacy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s were searched using KISS, RISS, KMBASE, KoreaMed, Nanet and NDSL. A total of 17,433 documents were retrieved by database searching. The final 34 literatures that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analyzing. 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34 literatures on the topics of oral health literacy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2012 to 2019. Results: Most of the 34 literatures, 23 articles and 11 thesises were descriptive-correlation studies, but there was no intervention study. The participants studied in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mostly adults followed by elderly and other groups including foreigner. More troubling sufficient samples and sampling methods were lacking at the population level. The validation of the used health literacy instruments was not sufficient. Conclusions: The unification of translation terminology for oral health literacy and the standardized instrument to test oral health literacy are needed. And to improve the level of oral health literacy, studies should be conducted using various variable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oral health literacy. In the future, meta-analysis on the oral health literacy are needed for cumulating findings and drawing more reliable and general conclusions.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문해력과 건강상태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 양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2-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문해력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문해력과 건강상태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방법으로,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 15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언어적 건강문해력과 기능적 건강문해력은 각각 한국형 의료정보이해능력측정도구와 Newest Vital Sign을 이용하였고,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 대상자의 1/3 이상이 언어적, 기능적 건강문해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 유무, 교육수준, 직업 유무, 월평균 가족 소득수준, 보유질환 개수에 따라 건강문해력에 차이를 보였다. 언어적, 기능적 건강문해력 수준에 따라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거주지, 교육수준, 월평균 가족소득, 보유질환 개수와 같은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질병관련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맞춤형 융합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건강문해력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상태 증진을 도모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