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nic acid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31초

수집 조 종자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s Composition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Seeds Collected in South Korea)

  • 김성민;장경우;허진우;윤성탁;지승진;김정봉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05-408
    • /
    • 2010
  • Some fatty acids(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foxtail millet seed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32 varieties of accession collected from different place of South Korea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GC with HP20 column. Significant variability in individual fatty acids was observed. The palmitic acid ranged from 10.9 to 13.5%, stearic acid from 2.5 to 8.3%, oleic acid from 10.0 to 15.8%, linoleic acid from 62.5 to 67.9% and linolenic acid ranged from 3.0 to 5.2%. This variability can be exploited for selection of plant and for studying the genetic variability in millet. These selections can also be utilized for genetic improvement of the crops.

산천어(Oncorhynchus masou)의 함유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of 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

  • 오현택;김수현;유수정;최현진;정미자;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86-890
    • /
    • 2008
  • 산천어를 식이로 사용하는 부분만을 취하여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아미노산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그리고 탄수화물 함량이 각각 $73.6{\pm}0.4$, $17.7{\pm}0.3$, $3.3{\pm}0.2$, $1.3{\pm}0.1$ 그리고 $4.1{\pm}0.2%$이었다. 분석한 무기질 중에는 칼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인, 칼슘, 나트륨, 철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천어에 함유된 비타민 C와 E는 각각 600와 $200\;{\mu}g/100\;g$이었다. 16종류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그들 중에 필수아미노산은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arginine, 그리고 histidine이었다. Oleic acid가 산천어의 가장 풍부한 지방산이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EPA, DHA, linoleic acid, $\alpha$-linolenic acid, $\gamma$-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은 산천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유용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Enhanced Biomass and ${\gamma}$-Linolenic Acid Production of Mutant Strain Arthrospira platensis

  • Choi, Gang-Guk;Bae, Myong-Sook;Ahn, Chi-Yong;Oh, Hee-Mo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539-544
    • /
    • 2008
  • A mutant of Arthrospira platensis PCC 9108, strain M9108, obtained by mutagenesis with UV treatment, was able to mixotrophically grow in an SOT medium containing 40 g of glucose/l. The biomass and specific growth rate of strain M9108 (4.10 g/l and 0.70/d) were 1.9-fold and 1.4-fold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wild type (2.21 g/l and 0.58/d) under mixotrophic culture condition. In addition, when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he content of ${\gamma}$-linolenic acid (GLA) in the mutant was increased when glucos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he GLA content of the mutant was 2-fold higher in autotrophic culture and about 3-fold higher in mixotrophic culture. Thus, the mutant appears to possess more efficient facility to assimilate and metabolize glucose and to produce more GLA than its wild-type strain.

Transdermal Delivery of Porcine Placenta Extracts using Linolenic Acid-based Emulsion Formulations

  • Kim, Dong-Chan;Noh, Sang-Myoung;Park, Ki-Tae;Kim, Young-Bong;Baek, Kwang-Hyun;Oh, Yu-Kyou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5호
    • /
    • pp.281-286
    • /
    • 2007
  •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orcine placenta extract (PPE), various emulsion formulations were prepared and evaluated. Polysorbate surfactants were used as emulsifiers and various C-18 unsaturated fatty acids as enhancers. The skin permeation of PPE was tested using a cellulose nitrate membrane-loaded Franz cell apparatus. Among emulsifiers, Tween 20 provided higher penetration effect than did Tween 80. Meanwhile, of various fatty acids, linolenic acid (18:3) revealed the highest skin permeation of PPE than the other C-18 unsaturated fatty acids. Stability of PPE emulsions was determined by cycles of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The stability of emulsions depended on the percentage of Tween 20. Minimum 20% of Tween 20 was required to stabilize emulsions at room temperature for several day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ween 20 and linolenic acids might be key components to formulate PPE emulsion to provide the desirable skin permeability and stability.

레시틴의 첨가 유, 무에 따른 대두유의 수소첨가 반응성과 리놀렌산의 변화 (Changes of Linolenic Acid Content and Reactivity during Partial Hydrogenation of Soybean Oil with and without Lecithin)

  • 권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6
    • /
    • 1995
  •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reaction rat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reaction condition during partial hydrogenation reaction of soybean oil until its iodine value decreased from 134 to 110.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varied in the range of from $170^{\circ}C$ to $210^{\circ}C$ of temperature, from 1.3 atm to 4.2 atm of pressure and from 0.005% to 0.1% of nickel concentration as catalyst. Lecithin was added in soybean oil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reaction rate. The result of addition of lecithin showed that reaction rate decreased to from 2 to 6 times in comparison with non-additive system.

  • PDF

이기작에 따른 옥수수의 지방산 조성 및 Phytosterol 함량 변화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tosterol Content in Double Cropping Maize)

  • 김선림;정건호;김미정;손범영;김정태;배환희;고영삼;이기범;이진석;백성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93-103
    • /
    • 2020
  • 옥수수 이기작에 따른 종실의 지방산조성과 phytosterol 함량의 변화를 검토하여 이기작의 조기정착화 및 수확된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기작(4월 10일 파종) 옥수수 11품종의 평균 출사일수는 89.5일이었고, 후기작(7월 30일 파종) 옥수수의 평균 출사일수는 46.7일로서 후기작의 출사일수가 전기작에 비해 약 43일 빨랐다. 2. 전기작 옥수수 11품종의 평균 백립중은 28.4 g이었으나 후기작은 18.1 g으로 전기작에 비해 약 10.3 g (36.4%) 백립중이 감소되었고, 조지방 함량은 전기작이 3.97%, 후기작은 3.08%로서 전기작에 비해 약 0.89% 함량이 낮았다. 3. 전기작 옥수수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51.66% > oleic 29.52% > palmitic 14.33% > linolenic 2.30% > stearic acid 2.18%이었고, 후기작은 linoleic 53.06% > oleic 27.33% > palmitic 15.43% > linolenic 2.58% > stearic acid 1.61% 였다. 4. Stearic과 oleic acid의 조성비는 전기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palmitic과 linoleic acid는 후기작이 높았으나 linolenic acid는 차이가 없었다. 5. 조지방 함량은 전·후기작 모두 linoleic acid와 부상관(전기작 -0.264ns, 후기작 -0.504**), linolenic acid와 정상관(0.526**)이 있었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전기작 83.48%, 후기작 82.96%로서 이기작에 따른 유의차가 있었다. 6. 총 phytosterol 함량은 전기작이 598.3 mg/100g, 후기작은 701.9 mg/100g으로 이기작에 따른 유의차가 있었고, β-sitosterol은 이기작간 차이가 없었으나 campesterol 및 stigmasterol은 후기작의 함량이 전기작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은 phytosterol 함량과 전·후기작모두 유의한 부의 상관(전기작 -0.346*, 후기작 -0.468**)을 보였다. 7. Phytosterol 함량이 후기작에서 높았던 것은 등숙 중기부터 기온이 저하되면서 전분축적이 지연되어 종실의 충실도가 낮아진 반면 phytosterol은 전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종실 축적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감마지방산 : 리뷰 (Gamma fatty acid : A review)

  • 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6-458
    • /
    • 2008
  • Essential fatty acids (EFA) are fatty acids that must be obtained from the diet because they can not be biosynthesized by human or animals. Gamma fatty acids contain gamma-linolenic acid (GLA, 18:3n-6) and dihomo-gamma-linolenic acid (DHGLA, 20:3n-6) as intermediate metabolites of linoleic acid (LA, 18:2n-6), which is an EFA found in vegetable oils. GLA is an important essential fatty acid that is required by human and animals to function normally. Recently, studies have indicated that GLA may be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ell membrane, as well as an active component of dietary supplements and medicine. GLA must beadministered through the diet because it is converted into DHGLA in the body quickly and completely. DHGLA is a key material involved in the metabolism of LA. GLA is biosysthesized by the rate limiting step of ${\Deltac}^6$-desaturase, which is an enzyme that desaturates LA, there by allowing it to be converted into DHGLA via chain elongation. In addition, DHGLA exerts bioactive effects via action as a precursor of eicosanoid series 1. Breast milk contains an abundant amount of GLA; however, GLA is also available directly in evening primrose oil, black currant seed oil, borage oil and hemp seed oil. In addition, GLA enriched animal and plant can be produced using biotechnology, and highly pure GLA can be extracted using supercritical fluids, such as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hich will allow economically feasible production of GLA for use in medicines.

달맞이꽃 종자유의 섭취가 흰쥐의 혈장 콜레스테롤과 적혈구막 및 대동맥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vening Primrose Oil on Plasma Chole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Erythrocyte Membrane and Aorta in Rats)

  • 최임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4-889
    • /
    • 1989
  • 이유한 수컷 흰쥐를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에 따라 미리 4군으로 분류한 다음 옥수수배아유, 돈지 및 달맞이꽃 종자유를 15% 함유하고 콜레스테롤이 0.5%씩 첨가된 실험식이로 사육하였다.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식이유지 급원으로는 옥수수배아유를 사용하였다. 4주간의 사육실험 후 혈장 콜레스테롤과 적혈구막 및 대동맥의 지방산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달맞이꽃 종자유를 급여한 흰쥐는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혈장 콜레스테롤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옥수수배아유 섭취군에서 식이 콜레스테롤의 첨가 유무가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직에서 달맞이꽃 종유의 섭취군에서 GLA의 대사산물인 DGLA와 A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부로일러육의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oiler (male , female) Breast and Thigh Meat)

  • 문윤희;공양숙;정인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7-251
    • /
    • 1988
  • 본 실험은 같은 조건에서 8주령까지 사육된 부로일러 암ㆍ수의 가슴과 다리근육의 지질, 지폐산 및 총 Clesterol함량을 분석 비교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ㆍ수 부로일러 모두 가슴근육이 다리근육에 비하여 총지질과 중성지질 함량이 낮았으며 인지질과 당지질 함량은 많았다. 부로일러육의 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중성지질과 인지질은 다리근육, 당지질은 가슴근육이 높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당지질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낮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중성지질의 palmitoleic acid, 인지질의 palmitoleic, stearic. linolenic, arachidic 및 arachidonic acid 그리고 당지질의 palmitoleic acid와 stearic acid가 많았다. 총 cholesterol 은 지방조직을 제거한 근육은 수컷의 다리, 지방조직을 제거하지 않은 것은 암컷의 다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부잠폐수의 성상과 유출 유지의 성분 (Features of Waste Water form By-Product Silk Treatment and Composition of Extracted Lipid)

  • 남영락;설대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0-102
    • /
    • 1991
  • 제사공정의 부잠사 처리폐수에 대하여 그 성상과 추출 유지성분을 분석한 결과 1. 부잠폐수의 COD 605mgO/$\ell$ 총 용존 고형물량 2,335mg/$\ell$ 총 부유 고형물량 2,234mg/$\ell$이었다. 2. 부잠폐수의 지질에는 triglyceride가 76.8%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유리 지방산 12.5%와 diglyceride 5.7% free sterol 5.0% 순이었다. 3. 부잠폐수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유율이 64.9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palmitic acid 29.39% stearic acid 4.93%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