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의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 송희승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7-10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의 초1패널 데이터 중 7차 자료(중학교 1학년)인 2016년 데이터를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총 2,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s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변수는 학교생활적응이었다. 공동체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데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거부민감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

  • 장은희;양지석;송재규;김지윤;김민서;양서진;이정연;정승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127-136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거부민감성, 대학생활 적응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과 거부민감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국 소재 간호대학의 재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URL을 통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3.80±0.63점, 거부민감성은 2.67±0.83점, 대학생활 적응은 3.58±0.54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 효능감(β=.42 p<.001)이었으며, 거부민감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4 p=.003)는 있었으나, 영향요인은 아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법과 심리·사회적 지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53-26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C시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대상은 207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26.2%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관련성에서는 셀프리더십은 학년과 성적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감성지능은 학년과 인터넷사용시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인터넷사용시간에서 차이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과정인 셀프리더십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공동활동참여도와 공동생활공간만족도의 효과 - 스웨덴 코하우징 거주자의 잠정적 주거조절 틀 속에서 -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 In a Tentative Framework of Housing Adjustment for Swedish Cohousing Residents -)

  • 최정신;조재순;서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25-1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in a tentative housing adjustment framework for Swedish cohousing residents, applying the housing adjustment behavior model of Morris and Winter (1978, 1996). The data used for this research were a subset of data Choi and Paulsson (2011) surveyed from 12 Swedish cohousing units. Number of 216 cases whose age was 40 and over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s by SPSS. The regression analyses included four main concepts as endogenous variables, which were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move out.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raised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but reduced intention to move out. Meanwhile,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diminished intention to move out but did not impact overall life satisfaction. When overall life satisfaction was added to the final regression model, the direct impacts of security reasons,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on intention to move out disappeared. It may be concluded that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acted as intervening variables in the tentative cohousing adjustment framework. Even though this study leaves further research on specifying the framework, it may be noteworthy as a first attempt that explains the flow of main concepts. This study may broaden the possibility of empirical studies to develop an analytical path model of housing adjustment for cohousing residents.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책적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ocused on the Deduction of the Political Implication-)

  • 기성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7-136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구조방정식에 의한 경로계수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양육태도의 경우에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애정 수용적 태도의 경우에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의 경우 여자의 경우에 남자보다 애정수용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학업적응, 사회적응, 환경/일반적응에서 보다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개인적 특성과의 조절작용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a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심선숙;방미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34-64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W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30일부터 6월 9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인성 수준은 평균 4.42점(범위 1-6점), 대인 관계는 평균 3.70점(범위 1-5점),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 3.33점(범위 1-5)으로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 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는 대학생활 적응과 인성(r=.506, p<.001), 대학생활 적응과 대인관계(r=.58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정도의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인성의 행동 영역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6%로 나타났다(F=75.28, p<.001).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 개발 시 간호대학생의 인성 특성을 고려할 것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이 대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Campus Life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 유민;이의연;전정호;이종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83-50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교 재학생들이 학업을 이수하는 데에 있어서 심리적 부담과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 대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5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은 개인-정서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학업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은 사회적 자본과 대학교 생활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대학교 생활적응의 관계성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의 상호 협력관계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은 사회교환이론에 의해 규명되어진다는 점을 밝히는데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학교차원에서 이러한 사회적 자본을 강화시키고 상호 협력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아동.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 (Children's and Adolescents' Achievement Level in Online Game, Sense of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 김태연;이순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1-162
    • /
    • 2011
  •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시 초등, 중학생 100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온라인게임 사용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온라인 게임을 통한 성취는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그들의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보건계열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전공선택동기, 직업가치관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major selection motivation, Work values, and Campus life adjustment of health college students)

  • 홍선연;허화라;김태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18-524
    • /
    • 2021
  • 이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전공선택동기, 직업가치관 및 대학생확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G도시에 소재한 일개 4년제 대학 보건계열 대학생 4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는 전공선택동기(r=.446, p<.001)와 직업가치관(r=.255, p<.001), 대학생활적응(r=.391,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r=.354, p<.001) 및 대학생활적응(r=.220,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r=.193,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을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강화하는 진로교육프로그램과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 학생지도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환기 청소년의 개인특성, 또래애착 및 부모양육행동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a Youth's Personal Characteristics during a Transition Period,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Cell Phone Dependence)

  • 이예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519-528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ain variables of youth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parents' nurturing behavior, the youth's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the peer group relationships) affect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s variables on the youth'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ich are considered a necessity in modern society. This research is verified by using a structure model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rst, 1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show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and les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en they have a stronger sense of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further, it is revealed that cell phone dependence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of these children. Second, they tend to show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and les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en their parents' nurturing behaviors are more positive. Third, these children tend to depend more on cell phones when they have a positive peer group relationship, Moreover, cell phone dependence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cell phone to youth in modern society, need to prepare proper training program for correct uses and preventing from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