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청소년의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dolescent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7th, 2016) to get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search result. A total of 2,000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r statistics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variable identified a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was school life adjustment. In order to inspire a sense of community, priority should be given to promoting school life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의 초1패널 데이터 중 7차 자료(중학교 1학년)인 2016년 데이터를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총 2,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s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변수는 학교생활적응이었다. 공동체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데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9년도 상지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김영춘(2014).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321-331.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321
  2. 박혜숙(2019). 공동체의식 변화양상과 개인, 가정, 학교특성이 아동.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5(1): 555-576.
  3. 이인숙, 송민선(2019).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과 공동체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1): 85-95. https://doi.org/10.5762/KAIS.2019.20.11.85
  4. 한은영, 김미강(2013).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43: 95-124.
  5. 박현정, 김전옥, 손윤희(2015).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6(4): 105-127.
  6. Park, H.S.(2015).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sense of community over three years.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48: 5-25. https://doi.org/10.17939/hushss.2015..49.001
  7. Guzman, J., Alfaro, J., & Varela, J.J.(2019).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in chilean adolescent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4(3): 589-601. https://doi.org/10.1007/s11482-018-9615-2
  8. Elfassi, Y., Braun-Lewensohn, O., Krumer-Nevo, M., & Sagy, S.(2016). Community sense of coherence among adolescents as related to their involvement in risk behavior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4(1): 22-37. https://doi.org/10.1002/jcop.21739
  9. 한대동, 오경희(2013).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3(4): 207-235.
  10. 최형임, 문영경(2013).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5: 189-209.
  11. 조일현, 신효정(2019).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5(1): 103-125.
  12. 김문수(2014). 청소년 공동체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연향에 관한 연구: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4(2): 36-64.
  13. 박현정, 이진실, 이용석(2015). 자발적 봉사활동 참여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2): 235-257.
  14.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Marsh H.W., & Craven R.G.(2006). Reciprocal effects of self-concept and performanc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beyond seductive pleasure and unidimensional perspectives.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 133-163. https://doi.org/10.1111/j.1745-6916.2006.00010.x
  16. Rubin, K.H., & Coplan, R.J.(2004).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0(4): 506-534. https://doi.org/10.1353/mpq.2004.0036
  17. 구지윤, 김유나(2016). 청소년 체험할동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8): 287-309.
  18. 최옥채, 박미은, 서미경, 전석균(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19. 김은혜, 노충래(2020).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적응, 공동체의식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청소년복지연구, 22(4): 265-291.
  20. 아영아, 김진영(2018).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종단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6(1): 47-66.
  21. 주계순(2017). 청소년활동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김선숙, 안재진(201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 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1): 339-363. https://doi.org/10.16999/KASWS.2012.43.1.339
  23. Armsden, G.C., & Greenberg M.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https://doi.org/10.1007/BF02202939
  24. 황미경(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민병수(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권혜원(2004). 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Guerra, N. G., & Bradshaw, C. P.(2008). Linking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Core competencies for positive youth development and risk prevention.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08(122): 1-17. https://doi.org/10.1002/cd.225
  28. 정득, 배준석, 이종석(2015). 청소년의 종교활동과 공동체의식: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 종교연구, 75(4): 205-236.
  29. 이채학(2001).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인성발달에 관한 연구; 안양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점숙(2011).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오정학, 김철원, 하명희(201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16(2): 23-40.
  32. 박수원, 김샛별(2017).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7(2): 5-32.
  33. 차한솔, 김주일(2015). 청소년 봉사활동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3): 177-203.
  34. Peterson, N. A., Speer, P.W., & McMillan, D.W.(2008). Validation of 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 Confirmation of the principal theory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 61-73. https://doi.org/10.1002/jcop.20217
  35. 아영아, 박선숙(2017).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대인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사회복지, 39: 95-117.
  36. 송순, 오선영(2014).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및 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1): 93-103.
  37. 강가영(2014). 학교생활적응이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8: 81-110,
  38. Sayer, E., Beaven, A., Stringer, P. & Hermena, E.(2013). Investigating sense of community in primary schools, Educational and Child Psychology, 30(1): 9-25.
  39. 김상미, 남진열(2011).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8(4): 225-242.
  40. 오선영, 송순(2012).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가족기능 및 세대간 결속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1): 125-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