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검색결과 2,318건 처리시간 0.025초

차세대염기서열 및 현미경 분석을 통한 저어새의 토사물 내 먹이생물 분석 (Analyzing Vomit of Platalea minor (Black-faced Spoonbill) to Identify Food Component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Microscopy)

  • 김현정;이택견;정승원;권인기;유재원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65-173
    • /
    • 2018
  • 저어새의 먹이생물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인천 남동유수지에서 저어새의 토사물 시료를 채집하여 현미경 관찰 및 차세대염기서열(NGS)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저어새의 먹이생물은 어류, 갑각류, 다모류, 곤충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로 저어새는 어류와 갑각류를 섭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우점 먹이생물은 풀망둑(Acanthogobius hasta)이었으며, 이 외에도 길게(Macrophthalmus abbreviates), 징거미새우류(Macrobrachium sp.),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 각시흰새우(Exopalaemon modestus),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가 우점 먹이생물로 출현하였다. 이들 먹이생물은 번식지 인근지역인 송도갯벌과 시화호에서 흔히 발견되며, 저어새는 채식지로써 이들 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경과 NGS로 분석한 일부 먹이생물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토사물 내 먹이생물은 저어새의 위 내에서 분해되어 현미경 분석을 통한 형태학적 분류 특징을 찾기 어려웠던 반면, NGS 분석은 유전자를 통해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형태학적 분석의 결과보다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 결과이다.

나이브베이즈 분류모델과 협업필터링 기반 지능형 학술논문 추천시스템 연구 (A Study of Intellige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Naive Bayes Text Classification and Collaborative Filtering)

  • 이상기;이병섭;박병용;황혜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27-249
    • /
    • 2010
  •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학술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보 과잉으로 인해 연구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찾거나 필터링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예측하여 관심 가질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시스템을 전문가시스템, 데이터마이닝, 정보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연구하여 왔다. 최근에는 콘텐츠기반추천시스템과 협업필터링을 결합하거나 다른 분야 모델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추천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고 대규모 정보센터나 도서관에서 학술논문을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추천하기 위해 협업필터링과 나이브베이즈모델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추천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즉, 협업필터링 방식으로 과도한 특성화(Over-specialization) 문제를 해결하고, 나이브베이즈모델을 통해 평가정보나 이용정보가 부족한 신규콘텐츠 추천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DSL에서 제공하는 식품과 전기 분야 학술논문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현재 NDSL 이용자 4명에게 피드백을 받은 결과 추천논문에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감소증에 대한 한의 치료 연구 동향: 스코핑 리뷰 (Research Trends i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Sarcopenia: Scoping Review)

  • 김서은;한윤희;최승관;조정호;우현준;전병현;하원배;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97-11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sarcopenia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Korean medicine research on sarcopenia.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rksey and O'Malley's scoping review methodology. It included three international databases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and five domestic database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Medical databas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 Integrated Syste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ScienceON) were used. Literatures published until April 30, 2023, including the contents of 'sarcopenia' and Korean Medicine treatment', were searched. Results A total of 45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number of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sarcopenia is steadily increasing, with the majority of studies coming from Asian countries. Of the 45 studies, 30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medicine, and the study design was analyzed into 10 clinical studies and 35 non-clinical studies. Among the 10 clinical studies, the most common treatment interventions were herbs (n=4), followed by Daoist exercises (n=3). The most common diagnostic criteria used in clinical studies were those published by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and various physical examinations and laboratory tests were used as outcome measures. Conclusions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edicine research on sarcopenia should be to expand the number of clinical studies apply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interventions.

영.한 대역 시소러스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The Problem of word-for-word Translating English Thesaurus Terms into Korean)

  • 오재익
    • 정보관리연구
    • /
    • 제28권3호
    • /
    • pp.46-73
    • /
    • 1997
  • 정보검색 시스템의 검색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나라에서 시소러스를 구축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소러스 구축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은 물론 전문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외국의 시소러스를 번역하여 자국어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사례를 빈번하게 찾아 볼 수 있다. 이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짧은 시간에 시소러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언어적, 문화적 차이 때문에 의미상의 등가성과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계층관계와 연관관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977년에 발행된 "Thesaurus of ERIC descriptors(7th ed. 1977)" 제 7판과 이것을 대역하여 한국 교육개발원에서 발행한 "KEDI 교육시소러스(1981)"의 디스크립터들을 비교 연구하여 번역 시소러스의 구축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ITSM IT Service Efficiency in Military Electronic Service

  • Woo, Hanchul;Jeong, Suk-Jae;Huh, Jun-H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246-260
    • /
    • 2020
  • IT Service Management (ITSM) achieves consolidated management for the IT services supporting the acquisition system, and no outside connections can be established with such ITSM. Issues pertaining to the D2B can be addressed to System Q&A or a Call Center for problem-solving. In other words, internal staff can take the necessary measures for problems by directly connecting with ITSM. Currently, diverse innovative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electronics an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his allows us to create a better world by providing the backbone for remarkable development in our human society in the fields of electronics, device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ollowing the expansion of IT services in the military acquisition sector such as Defense Electronic Procurement, military export/import support system, etc., customers' dependence on IT for conducting business with the military or related companies is increasing, including the military's dependence on the same technology for services to the public. Nonetheless, issues pertaining to the simplified/integrated management of complex IT service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slow system recovery, lack of integrated customer service window,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have become the priority problems that IT managers are required to solv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T services provided by Korea's national defense acquisit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IT Infrastructure Library (ITIL) v2, and investigat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ervices with focus on ensuring that it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the system and its advancement in the future.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troke Patients : The Field of health care ~)

  • 심경보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8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편마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연구', '응용행동분석' 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쳐 총 24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ABA설계가 가장 많았다. 1명이 12(50.0%)으로 가장 많았고, 3명이 8(33.3%)으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으로는 상상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상지기능과 편측무시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연하 곤란', '시각-운동 협응', '균형능력', '일상생활활동', '부종' 등의 다양한 목표행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종속 변인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준은 1개 연구를 제외한 연구들이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전자저널 빅딜 계약의 연구 동향과 대안 탐색 (Seeking Alternative Models and Research Trends for Big Deals in the Electronic Journal Consortium)

  • 김상준;김정환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1호
    • /
    • pp.85-1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딜 계약이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전자저널 컨소시엄 유지를 위한 예산 확보가 학술도서관의 최대 이슈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빅딜 계약의 대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딜 계약의 현황, 장단점, 문제점에 대한 대응을 토대로 빅딜 계약을 대체하는 다양한 모델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빅딜 계약의 대안을 OA 기반, 이용량 기반, 컨소시엄 개선 기반, 출판사 주도, 기타 등으로 살펴본 후 KESLI를 위해 단기적으로 Cost division 형식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다 강화된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Single(bloc) payment 형식이나 National licene 형식을 지향하는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은 최근 1년분의 각종 데이터를 기초로 PDF와 HTML 다운은 3배의 가중치를 부여하되 나머지 14개 요소는 각 요소별 0.5점부터 5점까지로 총 100점 만점으로 합산해 자관 총점의 순위에 따라 국가 단위로 협상된 KESLI 총액을 10, 20, 30 등급으로 확정해 최종 협상된 금액에 맞게 다시 배분하여 구독액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두개천골요법의 국내외 임상 연구 동향: 스코핑 리뷰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Research of Craniosacral Therapy: Scoping Review)

  • 곽민제;한윤희;금지혜;박신혁;우현준;하원배;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27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research in craniosacral therapy, classified as a type of Chuna manual therapy, and suggested further directions in Korean medicine. Methods This scoping review was performed using the Arksey and O'Malley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preferred reporting items as per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checklist. Eight electronic databases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MBAS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ScienceON) were searched to identify articles with the search terms "craniosacral therapy" and "cranial osteopathy" until December 2021. Results Forty-five studies were eligible as per our inclusion criteria. Most research studies (n=44)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medicine and pharmacy, especially in rehabilitation medicine (n=16). As a result of the stud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20) were the most common, and chronic pain (n=9) was the most frequently targeted disease, followed by headache (n=7). Thirty-two studies suggested interventions and 20 studies used Upledger's 10-step protocol. The average duration of craniosacral therapy was 41 min per session, administered 1.4 times per week. Outcome measuremen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with the examination procedure for the patient.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coping review of craniosacral therapy in Korea, and we believe that our findings could support its utility as Chuna. In the futu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stablish the evidence of clinical efficacy of craniosacral therapy and develop standard techniques in Korean medicine.

물리치료 바이오피드백의 정의 및 범위와 활용법: 체계적 문헌고찰 (Definition, Scope, and Applications of Physiotherapy Biofeedback: Systematic Reviews )

  • 오종선;이경진;김성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9-119
    • /
    • 2023
  • PURPOSE: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feedback are broad and lack a clear framework.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exact range and definition of biofeedback ba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onducted to dat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ive at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feedbac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its application methods. METHODS: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arious types and effects of biofeedback. International databases such as Google Scholar and PubMed were used. Domestic databases utilized for keyword searches include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Quality assessment of the selected studies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done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and the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ntrol, and outcomes (PICO) format. RESULTS: Studies conducted between 2019 and 2021 were selected, with 4 papers falling under physiological classifications and 7 under biomechanical classifications. The quality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random sequence generation, allocation concealment, performance bias, and reporting bias were unclear. Detection bias was moderate, and attrition bias and other biases were low. Out of the 11 papers, 9 dealt with physical function outcomes, 5 with daily life activities, and 3 with mental functions. CONCLUSION: Physiological biofeedback tended to influence psychological factors more than physical functions, while biomechanical biofeedback tend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hysical function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성장 지식구조 연구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 Network Analysis)

  • 신주연;권선영;배가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61-69
    • /
    • 2022
  • 외상 후 성장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지식구조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996년에서 2018년 사이에 출판된 국외논문 중 외상 후 성장 키워드를 사용한 논문을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여 1,780편의 논문에 1,659개의 키워드가 6,343회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종 분석을 위한 총 322개의 키워드를 선택하였다.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암', '트라우마' 순이었다. 총 322개의 노드 중 175개의 노드로 정리하여 '암, 만성/중증 질환 및 장애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 관련 심리적 변수 및 심리 치료', '죽음의 맥락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의 인지 메커니즘' 및 '대리 외상 후 성장'의 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지식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개요를 제공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