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brary Education

검색결과 1,514건 처리시간 0.031초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 Arts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 심효정;이용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3-177
    • /
    • 2003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핵심적인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여 실시할 경우 그 성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공공도서관에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교육연계에 따른 현행 공공도서관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사례 분석 - 대구 S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Library: A Case Study of Daegu S High School)

  • 강봉숙;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7-1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실험적 운영 사례를 공유하여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길잡이를 제공하고 관련 활동을 확산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대구 S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실험적으로 이루어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사례를 설명하고 그 의의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생 이용자가 가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였다. 추가로 메이커 교육 경험 여부와 학년별 변인 등에 따라 메이커 교육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 프로그램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여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과 메이커 교육 모두에서 긍정적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역량 함양 효능감 인식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확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sence and Direction of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 곽동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69-83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정보학 교육의 도입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문제점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발전 방향 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을 도서관이란 '시설'보다는 '시설로서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나아가 한국도서관협회가 중심이 되어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을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한국적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을 정립하고, 전문직 사서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과정을 확립하며, 사서양성기관의 정비 및 사서자격제도의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s in School Library Use Edu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03
  •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계발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주된 목적임을 밝히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교육적 역할인 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학교도서관의 연합운영체계 구축 2. 정보교육의 문화교육차원에서 재정립 3. 교육과정 기반 협동수업을 통한 이용교육 전개

  • PDF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A study on objectives and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김성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355-383
    • /
    • 1998
  • In this study it is surveyed how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orientation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under current school system should be form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obstacles in overcoming problems and setting successfully education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under the school system by Ministry of Education. To get over this clear objectives and goals of education must be presented. According to clarified goal of education curriculums must be formed systematically.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setting goal of education emphasizing on paralleling of fortifying of theory and conducting practical business rather than training of Information specialist. Second, in analysis of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t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1) 'information organization', (2) 'reference/bibliographical information', (3) 'management of library/ information center', (4) 'informatics' (5)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general', then courses of each category are arranged and analyzed. As a result balanced development among categories and education is required. In short educational goal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must show basic philosophy, ideal, and direction of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deal that educational goal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be presented concretely and in feasible way. Thus in this context the goal and objective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must be devised and amended, su n.0, pplement as circumstances change.

  • PDF

도서관학 교육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으 교과과정분석을 중심으로-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29
    • /
    • 1981
  • Educational chang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 & IS) at Keio university in Japan, standard of L & IS established by Japanese university educational committee, and trend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in three Korean university were comparatively studied. For the efficient conduct of investigation, the art of states of L & IS was also considered. By the influence of American education, public library-oriented Japanese curriculum had changed to special library-oriented curriculum. Late 60's information science was introduced to their curriculum, library science which based upon information science theory endeavor to make its own field in a n.0, pplied science as harmoniz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w. Korean library science education begun with university library-oriented curriculum, accepted speci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almost same time in late 60's.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to organized systematic library science. Consequently, it have needed to harmonize these two fields in near future, reorganize curriculum based on this harmonized knowledge and acquire the consensus about fundamental essence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further.

  • PDF

학교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사례 연구 - 경남 학생사모의 연구·실천 활동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for Boosting of Reading Education at School - Focused on Research and Practice Activities of Gyeongnam 'The Society for School Library' -)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5-19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독서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경남지역의 학교도서관을 생각하는사람들의모임(이하 학생사모)의 독서교육 연구 실천 활동이며, 연구방법은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데이터 수집은 학생사모 회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인터뷰, 관련 문서, 홈페이지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학생사모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 학생사모가 이룬 학교 독서교육의 성과와 전망을 밝혔다. 향후 학교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학교 독서교육은 반드시 학교도서관과 연계되어야 하며, 학교 내 외의 조직과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Operation of Education Using Library Using Flip Learning Techniques: Focusing on ubiquitous E-learning that reflects gaming elements

  • KIM, KiTae;WOO, HoSung
    • 4차산업연구
    • /
    • 제2권2호
    • /
    • pp.1-9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is to present an efficient library-use education model in the form of flip learning, reflecting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gamification elements even in such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situations after COVID-19.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search on library use education, research on ubiquitous environment and gamification instructional design, flip the learning, and gamification elements are classified,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educational models for library education,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subsequent library use education. Result - We propose an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strategy for flipped learning-based library education. First, benchmark and use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Second, a user-friendly interface is configured so that learners can flexibly organize their learning contents. Third, it allows learners to experience it directly or indirectly in a virtual space. Conclusion - If the e-learning environment can be standardized to the level of school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a good educational model that can be used not only in library user education but also in other fields will be possible.

민족적 관점에서 본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실태 및 의의 (A Study on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75-407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민족적 관점에서 경성도서관의 건립 의의를 살펴보고, 경성도서관의 사회교육 방향과 독서운동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경성도서관은 당시 조선인이 경영했던 유일한 도서관이었을 뿐만 아니라 건립 초기부터 국내외 조선인에게 관심의 대상이었고 이의 유지를 위해 저널과 관민의 힘도 적지 않았다. 그 생명은 길지 않았으나 민족 지식의 보고이자, 민족 사업으로서 식민지하 조선인에게는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컸다. 둘째, 경성도서관은 우리나라의 최초의 공공도서관일 뿐 아니라 여자교육을 위한 강습소마련 및 부인강좌 개최, 야학 등을 실시했고, 아동을 위한 동화회 개최, 빈한한 가정의 아동에게 보통교육 실시, 기타 각종 문화 사업 등을 펼침으로써 여성교육과 아동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사회교육 기관으로서 기능하였다. 셋째, 당시 도서관의 독서경향을 살폈는데 열람 상황은 성별로는 남자가 대부분이며 여성 독자는 소수였고, 직업별로는 학생층이 최다였으며 독서 분야로는 문학, 어학 등이 가장 많이 읽힌 편이었다.

  • PDF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계획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gram planning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public library)

  • 윤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133-155
    • /
    • 1983
  • Most important of all was the concept of library life-long education on which the studies were to be based. This concept has been broad, both in its interpretation of what constitutes a "program" and of what life-long education in a library is. No formal definition was adopted, but a common understanding existed that a fundamental purpose of the public library is to provide the means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o encourage the most effective utilization of these means through a program of activities whose effects are continuous and cumulatives. There are educational program, socio-cultural program and recreational program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the public library. These programs can be planned by which the public library developed its resources and its services. serv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