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Pla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정의'의 재발명을 상상하다 : Lesson Play의 분석 (Imagining the Reinvention of Definitions : an Analysis of Lesson Plays)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667-6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도형 정의의 재발명에 대해 세 교사가 쓴 lesson play를 통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정의 개념과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가르치고자 할 때 봉착했던 교수학적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lesson play에서 도형의 정의를 주입식으로 전달하지 않았으며 여러 다른 정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는 없었다. 교사들은 정의를 어떤 용어에 대한 언어적 약속으로 생각하여, 정의를 가르치는 데 있어 연역적 조직화와 같은 과정이 왜 필요한 지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 수학적 정의의 임의성 및 정의와 정리의 지위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수용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들이 도형의 수학적 정의를 자신이 배웠던 방식과 다르게 가르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서 단순히 Freudenthal의 이론과 같은 이상적인 교수 방향 및 철학을 소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상식적인 정의 개념과 수학적 정의 개념의 차이를 인식하고 반성해보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예비교사 교육에서 레슨 플레이의 활용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Lesson Pla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권오남;박정숙;박재희;박지현;오혜미;조형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819-832
    • /
    • 2013
  • 본 연구는 가상 수업 상황극인 레슨 플레이(Lesson Play)를 활용하여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지식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레슨 플레이는 상상할 수 있는 수학 수업의 모든 상황을 연극 대본처럼 글로 써보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91을 소수라고 답한 학생, 462가 4의 배수라고 답한 학생에 대한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하여 그 이후에 이루어질 교사와 학생의 대화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의 가상 대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의 교수 전략은 다양하지 않았다. 둘째, 수학적 개념 또는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알지 못한 채 교사와 학생의 발문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레슨 플레이는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지식의 분석과 함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키는 교수방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고등학교 가정교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한 역할놀이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pplying Role Play to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e unit ‘Family Relations’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o help the students cultivating proper values and self-esteem, maintaining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 not only by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hips in family, but also by acquiring role play, and is to wisely cope with many problems occurring in social life, which are indispensable for those living in modern society. But at present it is hard for the students to gain those abilities mentioned above, for the present unit ‘Family Relations’lays special emphasis only on memorizing specific knowledge about the understanding of a family. To improve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this study develop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ole play model concerning the ‘Family Relation’area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present problems of our various family relations,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suggests lesson model of role play and its effect.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ing procedures: the ‘Family Relation’unit of the present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urveyed students to discover the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now experiencing in their family relations. Accordingly, a new lesson model of the ‘Family Relation’area, applying role play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lesson plan, two-hour classes were experimented and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by students.

  • PDF

초등학생 대상의 활동 중심 순서도 교육 방법 (Pedagogical Methodology of Teaching Activity-based Flow Cha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용배;박지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89-502
    • /
    • 2012
  • 현재 컴퓨터교육에서 알고리즘 교육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만 주어진 문제를 알고리즘으로 표현하고 표현된 알고리즘을 해석하는 방법에는 비교적 연구가 미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표현 도구 중 순서도에 대해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으로 놀이 활동 기반 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가능성을 진단하여 보았다. 학습 놀이는 순차형 놀이, 선택형 놀이, 반복형 놀이와 퍼즐 맞추기 게임으로 4가지이며 퍼즐 맞추기 게임은 학습 놀이 내용을 순서도 카드를 활용하여 실제 순서도로 재구성하는 게임이다. 순서도 학습 후 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습 놀이 기반으로 수업을 진행한 집단이 ICT기반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평균은 약 7.5%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학습 후 평균이 10점 만점에 9점 이상을 보였다. 이는 순서도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도 학습 가능하며 특히 놀이 활동을 통한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 PDF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 Lesson Play의 분석 -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s: How Do Preservice Teachers Give Feedbacks to Students in an Imaginary Classroom Discourse?)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9-41
    • /
    • 2017
  •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육과정에서의 자유놀이 현황과 교사의 놀이인식 (Free Play Activities in the Curricula of Childcare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 임효신;나종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36
    • /
    • 2011
  • This study dealt with free play activities in the curricula of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area. 29 teachers from 21 day care cent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obtain an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s and conflicting views about play activity in the context of different day care curricula.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using categorization and key word classification, frequency analyses and chi-squared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lay-oriented curricula included sufficient play time and planned play activities in terms of the children's development. Children's freedom in play, optimum intercession by teachers, and interrelating activities between activity areas were included. In mixed curricula, children's freedoms were limited in many cases, and interrelating play between activity areas was hardly found. Formal lesson-oriented curricula resulted unplanned play activities and teachers' passive intercession of play. (2) Most teachers believed that play activities were more important to a child's development than formal lessons.

수학 수업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교사의 관점과 학생의 관점 (Two Views on the Mathematics Lessons: Teacher's Perspective and Students' Perspective)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2호
    • /
    • pp.259-276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을 바라보는 교사의 관점과 학생의 관점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의 연속된 수업 10차시를 녹화하고, 녹화된 비디오를 재생시키면서 교사와 학생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들을 분석하여 여섯 가지 측면에서 괴리 현상을 유형화하고, 유사한 배경이나 성격의 것들을 두 가지씩 결합시켜, 세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교사와 학생의 입장과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괴리로 '교사의 수업 핵심과 학생의 관심사의 괴리'와 '교사의 실수에 대한 상이한 해석과 반응'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극단적인 교수학적 현상과 관련된 괴리로는 '교사와 학생이 주목하는 측면 사이의 괴리와 형식적 고착' 그리고 '확인형 발문과 토파즈 효과'가 있으며, 세 번째는 특정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 전형적인 괴리로 '학생들의 선호 내용에 대한 인식 차이' 그리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불충분한 대응'이 그 예가 된다. 논문의 마지막에는 이러한 괴리 현상의 극복 방안을 부분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상호작용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Based on Play oriented interaction)

  • 정호선;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26
    • /
    • 2020
  • 이 연구는 상호작용 놀이 활동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위치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놀이 활동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학교도서관에서 회기별 90분씩 총 12회기로 실시하였으며, 효과 측정을 위하여 학교생활 적응도 검사와 동적 학교생활화 검사를 독서치료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 놀이 활동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2학년 일반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기준 단위로 분석한 중학교 학생의 성차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 Appear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t Each Achievement Standard)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231-256
    • /
    • 2016
  • 이 글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중학교 남녀학생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성차가 나타난 성취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교사가 수업 계획을 세우는 기준 단위가 되기도 한다. 수업 계획은 시수에 따라 구상하게 되는데, 그 시수를 결정하는 것이 성취기준이다. 그러므로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성차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는 수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성차를 해소화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Mo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Lesson Plan Development Based on Marjorie M.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Paradia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 장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31
    • /
    • 1994
  •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lesson plan for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employed goal and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neither stated specifically nor closely interrelated. This problem has led us not being able to achieve pursuing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employ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lesson plan reflecting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in the current practic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sson plan was based on the Marjorie M. Brown’s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home economics is to help individuals and families to become autonomous in their own family life and to be mo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behalf of well-being of the family and of social evolution toward a free society. 2.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is conceptualized as practical science and personal service profession. 3. the nature of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should deal with is perennial and practial. 4. Practial reasoning composed of historical understanding, critical 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s appropriate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goal and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and for dealing with perennial practial problems. The lesson plan was proposed for one of perennial problem, “How should we understand, create, and maintain our family culture\ulcorner”by employing practial reasoning and teaching models such as “role play”and “classroom mee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