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Plans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9초

Mathematics classrooms that students love, grade 1: Numbers and operations by Jinho Kim (2023)

  • Sheunghyun Ye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51-156
    • /
    • 2024
  • Mathematics Classrooms that Students Love, Grade 1: Numbers and Operations is a book that reviews student-centered educational strategies in mathematics, contrasting the teacher-centered approach. The book included lesson plans, transcriptions, and annotated comments for imperative instructional practices. Drawing from a range of effective instructional practices, it explores how student engagement and enjoyment in mathematics can be fostered through innovative lesson structures, activities, and discussions.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Lesson Planning)

  • 송나윤;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170-184
    • /
    • 2024
  • 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이 연구에서는 오개념이 드러나는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8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용해와 용액 단원에 대한 1차시의 수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반구조화된 1차 면담을 하였다. 이후 예비교사들에게 비디오 클립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한 수업을 수정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반구조화된 2차 면담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과 면담 전사본을 주 자료로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분석하여 수업 계획의 변화양상을 알아 보았다. 연구 결과,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 이후,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활동을 구체화하거나 소재를 변경하였다. 또한 일부 예비교사는 학생의 다양한 사고를 고려하여 목표나 평가 기준을 보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의 흥미나 동기, 오개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기유발 전략을 구체화한 예비교사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예비교사가 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상태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사고보다는 정해진 학습 목표만 고려하여 평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단순한 흥미 외에 오개념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기유발 전략을 구성한 예비교사도 많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은 오개념을 수업내용에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오개념에 대한 예측 한계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학생의 오개념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성취기준 단위로 분석한 중학교 학생의 성차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 Appear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t Each Achievement Standard)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231-256
    • /
    • 2016
  • 이 글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중학교 남녀학생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성차가 나타난 성취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교사가 수업 계획을 세우는 기준 단위가 되기도 한다. 수업 계획은 시수에 따라 구상하게 되는데, 그 시수를 결정하는 것이 성취기준이다. 그러므로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성차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는 수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성차를 해소화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utational Thinking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 (Developing Lessons and Rubrics to Promote Computational Thinking)

  • 최형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7-6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큰 주목을 받고 있는 Computational Thinking(CT) 개념과 세부 역량에 대해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CT역량을 계발하기 위한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수업 내용과 평가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T관련 문헌, 프로그래밍 효과성 관련 문헌, 스크래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2.0버전의 기능을 분석하여 예비초등교사를 위한 6개의 CT세부 요소(절차 및 알고리즘, 병행화 및 동기화, 자료 표현, 추상화, 문제 분해, 시뮬레이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6개의 CT세부 역량의 계발을 위해 교원양성기관에서 한 학기에 진행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고 각 차시의 수업내용과 CT요소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PECT(Progression of Early Computational Thinking)모형과 CT평가 프레임워크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산출물에 나타난 CT역량 습득 정도를 기초, 발달, 능숙 세 단계로 평가할 수 있는 루브릭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실증적 효과성 검증을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CT역량 계발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웹과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이용한 교수-학습안 관리 시스팀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s Pla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onnectivity of Web and DBMS)

  • 이정민;안병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3
    • /
    • 2001
  • 웹이 대중화됨에 따라. 교사의 자료 수집에 있어서도 웹 사용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으나. 정보의 양미 급증하고 적절한 사용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와 교사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교수-학습안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교수-학습안에 필요한 정보는 웹에서 간단한 입력으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생성된 교수-학습안은 웹 환경에서 다른 교사도 공유한다. 또한. 교수-학습안 DTD를 설계하고 각 교수-학습 안을 이에 유효한 XML 문서로 표현함으로써 문서교환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에 관련된 다른 시스템으로의 확대적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 PDF

스토리텔링 기반의 교수-학습 과정안 구안 및 현장적용 가능성 탐색 - 고등학교 수학과 집합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Lesson Plan based on Storytelling and Search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 강한균;김회용;김두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302-318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asily-understandable mathematics class to highschool students, who usually take no interest in mathematics, by apply teaching strategy based on storytelling to real lessons. The approaching methods for the mathematics education are emphasiz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during making storytelling-studying plans,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by applying the mathematical situations in the story. The effects of the storytelling such as induction of the interest, persistency, perception of the practicality,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oincides with the way national mathematical education orients. This study contains the definition of the storytelling based on education, and applicability to the students, and application to the real lesson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s by focus-group interview with the students and observing teachers. I made the lesson plan based on storytelling for achievements to the object of the highschool mathematical study, and searched the best way to apply the lesson plan to the real lessons. I studied designing lesson strategy based on dissertations and books and reports directly related this study, and did focus-group interview to fi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trategy. And finally I could make the well-applicable lesson plan.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평가 - 중학교 가정과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lesson plans applying to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 Meal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1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l학년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ller의 수업 설계 과정에 따라 수업을 정의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업 정의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목표와 내용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천적 문제를 규정하였다. 둘째,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를 토대로 하여 12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12종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다중지능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과정에 개념이해 과정을 추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Armstrong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차시별로 8가지 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과정에 투입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자료와 참고자료를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4,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청주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 여 2개 학급 72 명에게 2시간씩 시연한 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의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사습관을 실천할 수 있다'이다. 실천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고, 학습 내용은 건강한 생활, 영양소의 종류 및 기능, 청소년의 영양 문제, 식품 구성탑, 식사 구성안이며, 학습 활동은 8가지 다중지능 영역을 골고루 포함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진행된다. 둘째,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생각열기, 지난 수업 내용 확인, 학습목표 제시), 전개(실천문제 규정, 개념 이해, 사회 문화적 맥락 이해, 목표 설정 및 대안 탐색, 대안 실행 결과 예측, 수업 내용 정리 및 생각 넓히기), 정리(성취확인학습, 적용 및 일반화 유도,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 수업 과정에 차시별로 8가지 다중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에 따라 활동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활동은 언어지능 활용 방법 10개, 논리수학지능 활용방법 7개, 시각공간지능 활용 방법 9개, 음악지능 활용 방법 10개, 신체운동지능 활용 방법 6개, 대인관계지능 활용 방법 10개, 개인내적지능 활용 방법 7개, 자연탐구 지능 활용 방법 6개로, 총 65개이다. 셋째,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평가 결과, 적극적 수업 태도를 함양하고, 학습 동기 유발, 학습내용 이해, 학습내용 암기, 실제 생활에 적용, 그리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음악치료 접근을 통한 특수학교 음악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Music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econd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Music Therapy Approach)

  • 배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47-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하여 교수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지도안 구성 시 특수교육 분야에 관련서비스로써 역할을 해 온 음악치료 영역을 음악 교과 수업 장면에 접목시켰다. 지도안은 2008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음악과에서 각 영역별로 주제를 재구성하여, 제재를 한 가지씩 선정하였고 교육적, 치료적인 목적에 따라 학생들의 기능 수준별로 나눈 3단계의 학생활동과 교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지도안은 특수음악교사 3명과 음악치료사 3명의 검증을 거쳐 1차와 2차 피드백을 받아 내용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지각, 표현, 감상 영역에 따른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교육활동을 위하여 개발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바탕으로 총 20차시의 지도 계획표와 한 학기 분량의 월별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지적장애 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한 자료 개발과 향후 개정 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음악치료적 접근을 중심으로 음악 수업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가정과 식생활 문화 단원에 적용한 게임 기반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Game-Based Lesson Plan Applied to the 'Food Culture' Unit of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

  • 최성연;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33-349
    • /
    • 2016
  • This study develops and evaluates a game-based lesson plan applied to the 'Food Culture' unit of a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 We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lesson plans for seven periods that contained 'the Korean food table setting card,' 'the world's food culture card,' and the procedure for cards games according to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DDIE) model. 'The Korean food table setting card' consisted of 'the Korean food table setting order card' to easily understand 10 types of Korean traditional daily meals based on pictures and 'the Korean food table setting food card' to easily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food based on 104 kinds of food picture and quick response (QR) code. 'The world's food culture card' consisted of 'the world's food culture quiz card' to help learners easily understand influential food culture formation factors, features of food culture, typical foods from 16 countries, and 'the world's traditional food card' to help learners easily understand typical foods from 16 countries through 63 kinds of pictures. Respective 'game guides' were also developed. High school students who studied the game-based Home Economics classes and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Culture' unit, could easily and enjoyably learn the food culture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and understood the content of food culture. In addition, they evaluated that the game-based instruction was easy to remember with minimal memorizing.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에서의 학습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set up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61-75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수학수업에서 활용한 과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G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2개반 학생들 중 4주간의 교육실습에서 수학수업을 배정받아 수업을 한 학생들 중 자신의 수업동영상, 수업계획서, 동영상 전사자료를 제출한 50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가 수학수업시간에 활용한 과제의 출처, 과제의 수정여부, 수정방법,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