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pedeza Cuneata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7초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Aerial Parts in Lespedeza cuneata G. Don)

  • 김용한;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21-123
    • /
    • 2008
  • In order to verify the efficacy of Lespedeza cuneata G. Don which have been used as a folk traditional herb medicine from ancient times, the tes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alysis of constituents were carried out. Methanol extracts from L. cuneata G. Don showed a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rresponding to that of (+)-catechin as positive control at 250 ${\mu}g$/mL (ca 90% inhibition), and inhibited more than 30% of DPPH radical at low concentration of 10${\mu}g$/mL. In the present study,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spec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L. cuneata G. Don, the analysis for constituents for L. cuneata with HPLC was preformed although there was no results to identify functional flavonoids such as quercetin.

콩과식물 차풀, 비수리, 싸리 종자의 채종시기별 성숙도 및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Maturity by Production Time of Chamaecrista nomame, Lespedeza cuneata and Lespedeza bicolor Seed in Fabaceae Plant)

  • 강희경;이자연;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9-364
    • /
    • 2014
  • 충남지역에 자생하는 콩과식물 몇 종의 적정한 채종시기 판단과 발아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콩과식물 몇 종류의 종자 성숙도, 착생 종자량, 발아율, 발아일수, 탈립을 고려한 채종적기는 차풀이 10월 초중순, 비수리가 11월 초순, 싸리가 11월 초중순으로 판단되었다. 착생 종자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차풀이 10월 초순, 비수리와 싸리가 각각 11월 초순이었고, 성숙 말기 종자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차풀이 11월 초순, 비수리와 싸리가 각각 11월 중순이었다. 채종시기별 발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차풀(99.8%)이 10월 초순, 비수리(68.3%)가 11월 중순, 싸리(24.3%)가 11월 초순이었고, 채종시기별 발아일수가 가장 짧은 시기는 차풀이 10월 중순, 비수리와 싸리가 각각 11월 중순이었다. 공시종자의 발아적온은 차풀이 $15{\sim}35^{\circ}C$, 비수리가 $25{\sim}30^{\circ}C$이었고, 싸리는 발아율이 낮아 발아적온의 판단이 어려웠다.

Anti-oxidant activity of avicularin and isovitexin from Lespedeza cuneata

  • Lee, Ju Sung;Lee, Ah Young;Quilantang, Norman G.;Geraldino, Paul John L.;Cho, Eun Ju;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43-147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vicularin and isovitexin from Lespedeza cuneata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OH) scavenging assay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four fractions, the highest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hibited by the n-butanol frac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vicularin and isovitexin were higher than 50%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Moreover, one hundred micrograms per liter of avicularin and isovitexin exhibited effective anti-oxidant activity, with the OH radical scavenging rates being 87.54 and 91.4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spedeza cuneata would be useful anti-oxidant agents from natural sources.

볏짚재를 활용한 식생콘크리트 블록 개발 및 사면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Plantable Concrete Block Using Rice Straw Ash and Application for Inclined Plane)

  • 성찬용;김영익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07-114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plantable concrete block using rice straw ash and apply for inclined plane. For the planting, plantable concrete block needs infiltration of water and air through void of block. The materials used for plantable concrete block are cement, rice straw ash, and coarse aggregate (5-10, 10-20 mm). Plantable block size is $23\times23\times4$ cm, and species of planting are Tall fescue, Lespedeza cyrtobotrya and Lespedeza cuneata. At the 6 months after seeding, germination ratio and grown-up length of Tall fescue, Lespedeza cyrtobotrya and Lespedeza cuneata are shown in 90%, 60%, 50%, and 40~50 cm, 90~120 cm, 60~75 cm, respectively.

Determination of isovitexin from Lespedeza cuneata using a validated HPLC-UV method

  • Lee, Ju Sung;Paje, Leo Adrianne;Yoo, Sang-Woo;Lee, Seong;Ku, Ja-Jung;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63-67
    • /
    • 2021
  • Isovitexin, a marker compound with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 Lespedeza cuneata, was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 (HPLC/UV). There are no previous reports on using L. cuneata as the source material for the quantification of isovitexi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optimized method using HPLC-UV analysis, which was validated using various parameters. Our method demonstrated high specificity, and good separation of the chromatographic peak was achieved. Parameters such as linearity (r2≥0.9997), precision, and accuracy indicated that our proposed analytical method had good reliability and sensitiv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utility and convenience of our method for rapidly quantifying isovitexin in L. cuneata extracts.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 활성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and Lespedeza cuneata)

  • 박성익;손호용;이창일;황희영;박승우;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분획물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AC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90.8%, 야관문 91.2%로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분석 결과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6.1%로 가장 높았고 야관문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95.6%로 가장 높았다. FRAP assay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360.1 mg TE/g, 야관문 239.2 mg TE/g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이 어성초 13.2%, 야관문 35.2%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56.3%, 야관문은 water 층에서 93.6%로 가장 높았다. 어성초와 야관문에서 확인한 개별성분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페놀산 개별 성분의 활성은 caffeic aicd가 93.4%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개별 성분의 활성은 quercetin이 96.3%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야관문 추출물의 창상치유 효과 (Wound Healing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xtract)

  • 정희경;김길수;정유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74-3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추출물의 마우스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과 창상유발 동물실험 모델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를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에서 야관문 추출물은 0.2 m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염증반응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NO 생성 감소를 나타내었다. 창상유발 동물실험 모델에서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의 창상치유효과에 대해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SCO군과 CCO군보다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한 SSP군에서 약 20~30% 빠른 상처면적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흔 크기 역시 약 12% 작게 형성되었다. 또한 SSP군 조직의 외피와 진피 재생회복속도가 빨라진 것을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VEGF 및 TGF-${\beta}1$ 유전자 발현이 SCO군과 비교 시 각각 감소 및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관문 추출물이 항염증 및 교원질 생성 유도를 통한 조직재생 활성에 기여하여 창상치유 속도를 가속화하고 반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피부 창상치유와 관련한 코스메슈티컬 소재로써 산업적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from Lespedeza cuneata on Aldose Reductase

  • Quilantang, Norman;Lee, Ju Sung;Yun, Young-Sok;Limbo, Carlo;Yoo, Sang Woo;Lee, Seong;Lee, Sa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2-62
    • /
    • 2018
  • Inhibition of aldose reductase (AR) has been shown to prevent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many diabetic complications wherein several AR inhibitors were isolated from plants abundant in polyphenolic compounds. Lespedeza cuneata (Fabaceae), a perennial plant indigenous in East Asian countries, is shown to be abundant in these polyphenolic substances such as flavonoids and tannins.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to date regarding its effects on AR.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and stepwise polarity fractions of Lespedeza cuneata on AR was investigated. The bioactive compounds purified from L. cuneata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were also tested for AR inhibition. Results show that the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f L. cuneata exhibited potent inhibition against AR with $IC_{50}$ values of 0.57 and $0.49{\mu}g/mL$, respectively. Further analysis led to the isolation of acacetin (1), afzelin (2), astragalin (3), kaempferol (4), and scutellarein 7-O-glucoside (5). The AR inhibitory effects these five compounds were also determined in which compounds 2, 3, and 5 showed potent AR inhibitory effects with $IC_{50}$ values of 2.20, 1.91, and $12.87{\mu}M$, respectively. Quantitative analysis of astragalin (3) by HPLC-UV was also performed in the leaves and roots of L. cuneata (0.626 and 0.671 mg/g, respectively). This study reports that the flavonoids isolated from L. cuneata show promising AR inhibitory activities which can be further developed as natural therapies for treating and managing diabetic complications.

  • PDF

자원식물인 비수리의 유용물질 분석 및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활용 (Analysis of Useful Materials of Resource Plant, Lespedeza cuneata. G. don and Utilization as Functional Food)

  • 안철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99-108
    • /
    • 2017
  • 비수리는 자원식물로써 농업분야에서는 황폐지의 지피물 조성과 지력증진식물 그리고 녹화용 식물로써 연구되고 있었으며 최근에 기능성 물질에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 중에 있다. 또한 비수리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여러 가지 기능이 알려지면서 주로 기침, 천식, 조루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정확히 물질에 의해 효능이 발생하는지 연구가 미진한 부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비수리를 분석하였고 함유된 물질과 유효성분은 분석하여 조사한 결과 에서 같이 결과가 나타났다. 싸리속에서는 밝혀진 124개 물질 중에 84개의 물질이 성분이 확인되었고, 비수리에서는 밝혀진 6개 중에 5개가 성분이 확인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서 나머지 물질의 기능도 확인하였다. 비수리에 함유된 주요 물질과 기능으로는 Potassium isolespedezate, Potassium lespedezate는 항생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rifolin는 항생제와 간 보호제 역할, Vitexin는 간보호제 역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량분석기데이터에서 찾지 못한 D-pinitol은 기능을 최근에 D-chiro-inositol, D-pinitol이 체내 당 대사를 조절하는 능력을 가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며 D-chiro-inositol의 섭취로 인하여 혈당강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다(Larner, 2001; Pak et al., 1993). 작용기작으로는 D-chiro-inositol에서 유도되는 inositol phosphoglycan이 인슐린작용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postreceptor mediator (인슐린receptor에서 신호를 전달한 후 세포 내로의 downstream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중재자)로서, 생리적 농도의 인슐린에 반응하여 빠르게 생성되며 in vivo에서 인슐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Hong and Pak, 2005; Kennigton et al., 1990; Ortmeyer et al., 1993). 이러한 결과들은 D-pinitol이 당뇨병 전증(prediabetic) 환자 및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에 걸린 환자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따라서 싸리(Lespedeza)속 식물 중 비수리(Lespedeza cuneata), 호비수리(Lespedeza daurica), 땅비수리(Lespedeza juncea), 청비수리(Lespedeza inschanica) 중에서 비수리만 주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수리(Lespedeza cuneata)를 이용하여 성분 추출하여 활용한다면 식품 생산에 적용한다면 기능성 식품으로 기능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바이다.

야관문(Lespedeza cuneata) 종자의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 김선재;김두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2-3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의 열수 및 ethanol추출조건에 따른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야관문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은 용매분획 과정 중에서 열수추출조건에 비해 ethanol 추출조건에서 항산화 성분이 잘 이행되었고, 열수추출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상의 chloroform-methanol의 용매계에서 각 획분에 대해 DPPH-radical scavenging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한 경우는 methanol함량이 50% 부근을 중심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반면 ethanol 추출한 경우는 methanol함량이 50-60% 부근을 중심으로 활성이 나타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물질의 성질은 약간의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Sephadex LH-20의 gel filtration으로 분획한 결과 두가지 처리조건 모두 bed volumn에 대한 elution volumn의 비(Ve/Vt)가 1.25-1.52의 용출범위(1.1-2.2 g)에 활성이 인정되었다. 열수추출 및 ethanol 추출 조건의 경우 항산화 활성물질의 HPLC retention time은 각각 7.25분 그리고 7.41분으로 나타났지만 두 peak의 HPLC상의 거동이 일치하여 동일한 성분일 것으로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