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Culture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8초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문화에 대한 담론 변화 연구 - 1960-2010년대 신문 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A discourse analysis for Korean women's leisure culture from 1960s to the present - Application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 차민경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7-229
    • /
    • 2018
  • 본 연구는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시대별로 분석, 여성들이 여가 문제에 있어 어떤 이데올로기 갈등을 겪어왔는지 그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여성의 여가향유 환경 개선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 여가에 대해 다룬 총 4,614개의 언론 기사의 652,513개의 단어를 '의미연결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60년대에는 '현대화'와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고, 1970년대에는 전통적 현모양처에 뿌리를 두되 부업을 통해 가정 경제에 기여하는 희생적인 여성의 모습을 미덕화 했다. 1980년대 여성의 고등교육과 사회진출 증가로 '현대 여성 이데올로기'가 강조되었으나, 이 시기부터 여성 여가 문제에 있어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와의 본격적 갈등이 시작된다. 여성의 지위가 향상된 1990년대에는 오히려 두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심화된 양상을 보였고, 2000년대에도 이러한 갈등은 지속되며 오히려 이데올로기 갈등 사이에서 여성은 자신의 여가를 희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대에는 두 이데올로기 간의 갈등이 여전한 가운데,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여가상품의 증가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스낵컬쳐 여가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인천광역시 중학생의 근린여가시설 이용실태와 인식도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utilization of neighborhood leisure facilities in In-chon)

  • 김은정;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4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about neighborhood leisure fac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from 532 second grade students of 6 middle schools at Yeon-su Gu. Nam-dong Gu, and Suh Gu in In-cho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y were most likely to use the consumptive and commercial entertainment-association faciliti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frequencies of using facilities among the three areas. Th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use the leisure facilities whatever available for them easily to access. 2) All the using degree, sufficient degree and satisfactory degree of the leisure facilities were below the middle Point. The degree of using facilities by the student was in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areas but the sufficient and satisfactory degrees were varied. The regression result showed that the use of Public facilities as well as culture or sports fac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sufficient and satisfaction degrees This research suggests to offer inexpensive leisure facilities of culture and sports in district residential area so as to access easily and to offer facilities for girls' students to activate using leisure facilities.

  • PDF

발달장애학생 여가활동 접근성 확보를 위한 실천과제 : 평생계획 관점에서 학교-지역사회 연계 (Practical Tasks to Secure Accessibility to Leisure Activ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Focusing on school-community connec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planning)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07-114
    • /
    • 2018
  • 전환기의 발달장애학생이 여가활용 교과과정을 통해 스스로 여가를 찾고, 즐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지역사회 여가의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능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가활용의 교과과정과 지역사회 자원의 연결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과정으로서의 여가활용을 지도하는 교사의 여가활용 인식이 전제가 되며, 지역사회 기반의 여가활동 참여시 언급되는 개선점과 중요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의 평생계획과 관련한 최근의 연구들은 기존 요소에서 여가활동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총체적인 측면에서의 준비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여가활동의 중요한 자원으로서 학교 현장에서의 여가활동과 지역사회여가활동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여가활동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여가제약 협상전략 (Negotiation Strategy for Leisure Constraints in High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lub Activities)

  • 서광필;이철원
    • 여가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39-5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들이 여가활동 중에 부딪히게 되는 제약조건을 극복하며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 협상전략을 수립해나가는 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활동경력이 1년 이상, 주 2회 이상의 참여빈도, 그리고 1회당 2시간이상의 참여 강도를 보이는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비참여 관찰 등의 질적 자료를 이용하여 여가 제약을 극복하는 과정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네 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동아리 활동이 갖는 매력은 여가 제약을 극복하게 하는 중요한 동기요인이 되었다. 둘째, 동아리 활동에서 여가 제약은 존재하지만 여가 활동을 멈추게 하지 못하였다. 셋째, 시간과 경비 확보 또는 대인관계 개선 등의 여가제약 협상전략이 적절하게 구사되면서 연구대상자들은 성취감과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있었다. 넷째, 여가제약협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구대상자들은 그들의 고유한 동아리 문화를 만들어 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사례와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이 긍정적으로 여가 경험을 축적해 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University Students' Propensity toward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Their Leisure Satisfaction)

  • 류미현;조향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1호
    • /
    • pp.47-6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time constraint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ttempted to promote an effective and desirable leisure cultu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time constraint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withdrawal factors,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withdrawal and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leisure constraints, as disturbance of daily living and tolerance are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s lower in those with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여가 라이프 스타일과 문화 예술 소비에 관한 연구: 미술관 관람객을 중심으로 (Leisure Lifestyle and Culture and Art Consumption: Cases of Art Gallery Visitors)

  • 이귀옥;박조원
    • 문화경제연구
    • /
    • 제19권2호
    • /
    • pp.3-2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여가 라이프 스타일을 기준으로 미술관 관람객의 집단 세분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술관인 서울 소재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여가 라이프 스타일을 조사하였다. 314부의 설문 분석을 통해 여가 라이프 스타일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여가 라이프 스타일 차원을 반영한 문화 예술 소비자들의 집단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군집 간의 인구 통계학적, 미술관 관람 행동 및 일반적인 문화소비 활동의 차이를 점검하였다. 여가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문화 예술 소비자를 구분한 결과 '문화예술 선호형' 집단, '활동적 집돌이형' 집단, '여가 저향유형' 집단, '잡식성 문화/스포츠 참여형' 집단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4개 군집의 인구 통계학적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별, 직업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군집 간에는 미술관 관람 행동과 일반적인 문화예술 소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장 세분화에 따른 미술관의 마케팅 방안이 논의되었다.

농촌주민의 여가소비유형과 만족도 (Rural Residents' Leisure Satisfactions and Types by Social demographics in Korea)

  • 조영숙;이문주;황대용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4호
    • /
    • pp.1021-1048
    • /
    • 2009
  • Based on Rural living indicator -2005 survey data, in RD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Rural Residents' real life satisfaction or identity model by the types of leisure consumption depending on each generation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umption and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at between leisure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re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systematic random sampling with constructed questionnaires, 1,870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 in leisure consumption. In detai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ypes of Rural Residents' leisure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yles including Semi-leisure type, Passive leisure type and Total leisure type consumption. The preferred types of leisure consumption of Rural Residents' were Semi-leisure type, Passive leisure type and Total leisure type in order. Except for times-pending leisure culture consumption, Semi-leisure type and Passive leisure type influenced on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n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fluenced on leisure consumption-satisfaction, and finally leisure consumption satisfaction influenced on real life satisfaction.

  • PDF

신세대 기혼여성의 여가시설선호 및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isure Facilities Preference and Leisure Particip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New-generation Married Women)

  • 이정우;이윤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3권2호
    • /
    • pp.1-1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isure facilities preferences and leisure activities of new-generation married women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samples was composed of 195 married women under 35 years. old, selected by age and local distribu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re as follows. The new-generation wives preferred culture.intellectual arts facilities to sport facilities to sport facilities and participated in home-oriented activities. The more new-generation married women participated in active leisure, the higher level they showed in life satisfaction. There is no significant affect of leisure facilities preference o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the policies on leisure facilities and leisure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new-generation wives, such as establishing community leisure facilities which can help the mother as well as young children enjoy their leisure activities with less expense, and manag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which the new-generation wives easily participate with their families.

  • PDF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 A generational analysis)

  • 정영금;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1-15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on the basis of generation, and identify leisure characteristics or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in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mprised 1,144 single householders, among whom 74 belong to the teenage generation, 288 are of the eco generation, 154 belong to generation X, 104 are baby boomers, and 524 are of the older generation. Va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ross the generations, namely, conditions for leisure, degree of leisure participation, level of work-leisure balance, persistence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activity.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leisure characteristics and leisure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among the generations.

이명박 정부의 여가정책 개선방향 (Leisure Policies of Lee Myung-Bak Government and Directions of the Policies for the Future)

  • 윤동철;이준희;이연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18-42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의 여가정책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청와대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는 '17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백서 및 이명박 정부 100대 국정과제' 자료를 바탕으로 여가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으로는 첫째, 여가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둘째, 창의적 여가 스포츠 문화 콘텐츠 개발 정책 부족 셋째, 여가정책개발을 위한 기반조성 사업 전무 등과 같이 세 가지가 도출되었다. 정책방향으로는 첫째, 여가에 대한 인식 전환 둘째, 창의적인 여가 스포츠 문화 콘텐츠 개발 풍토 조성 셋째, 여가정책개발을 위한 기반조성 등과 같이 세 가지가 도출되었다. 시대는 지속적으로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만큼, 이명박 정부는 여가정책을 현재보다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선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