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University Students' Propensity toward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Their Leisure Satisfaction  

Ryu, Mihyun (Departmen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ersity)
Cho, Hyangsook (Departmen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18, no.1, 2014 , pp. 47-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time constraint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ttempted to promote an effective and desirable leisure cultu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time constraint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withdrawal factors,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withdrawal and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leisure constraints, as disturbance of daily living and tolerance are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s lower in those with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y;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time constrai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곽호근(2006).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응의 관계. 인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가정혜(2010). 관광객들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관광정보 탐색과 지각된 관광위험에 관한 연구. 경영경제연구, 33(1), 87-109.
3 강길현(2003). 청소년 여가활동 참여정도와 여가제약 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 617-631.
4 강희양.박창호(2011).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5.
5 구현영(2009).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9(6), 818-828.
6 김경식(2012). 가족기능 및 부모의 의사소통과 한국 청소년의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2), 1-13.
7 김남선.이규은(2012).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7(2), 72-83.
8 김동진(1993). 대학생의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논문집, 14(1), 55-65.
9 김민경(2013). 청소년자녀 부모의 권위주의적 양육태도,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와 휴대폰중독: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18.
10 김병년.고은정.최홍일(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11 김성혁.김용일.오재경(2010). 온라인 오락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고독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9(1), 73-88.
12 김영은(2013).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 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외숙.박은정(2013). 기혼 취업자의 여가제약 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241-263.
14 김진희(201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흥렬(2009). 대학생들의 개인가치, 여가태도 및 행동의도의 영향관계 연구: 대전충청 지역 대상으로. 호텔관광연구, 11(2), 66-78.
16 김흥렬(2011). 여가활동 동기, 제약, 만족 및 대학생활만족 비교 연구: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5(2), 89-104.
17 김형지.김정환.정세훈(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과 이용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93.
18 공성배.김종길.박성진(2012). 스마트폰 정보 탐색유용성이 대학생 여가참여자의 여가경험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1(6), 71-81.
1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 하우동설
20 나은영(2005). 청소년의 이동전화 애착 이용, 효과지각 및 커뮤니케이션 효능감. 한국언론학보, 49(6), 198-223.
21 노갑택.박장근.임란희(2007). 전공별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 및 개인적 특성과 여가 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태도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46(4), 339-348.
22 동아일보(2012). 대학생 한달 용돈 41만원.책 사는데 3만원도 안쓴다 80%. 2012. 1. 8. http://news.donga.com
23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년 국민여가활동 조사. 문화체육관광부보고서.
24 박경란(2009). 예비노년층의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287-300.
25 박용민(2011). 성인들의 스마트폰중독과 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송강영.임영삼.안병욱(2011). 대학생의 여가 유능감과 여가몰입, 여가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425-433.
27 송원익.여인성(2004). 대도시 근로자의 여가 제약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4), 685-697.
28 심상신(2004). 대학생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기능과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2(3), 401-406.
29 안병욱(2009). 패러글라딩 참여동기, 제약 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1), 77-87.
30 안옥희.최현구(2006). 대학생의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1), 53-66.
31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 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09-132.
32 양심영.박영선(2005).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지, 43(4), 1-16.
33 오현희(2013).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련된 예측변인의 탐색: 가족 의사소통과 부모애착을 중심으로. 서울 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우종필(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 한나래.
35 우형진(2007). 휴대폰 이용자의 자아성향이 휴대폰 중독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존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2), 391-427.
36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37 윤설민.이태희.김홍렬(2009). 대전충청지역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 여가제약 및 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3(2), 5-20.
38 이영숙.박경란(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 활동참여와 생활반족도와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12.
39 이경님(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40 이남미.이근모(2010). 대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과 여가태도, 생활만족도 그리고 자아실현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837-849.
41 이주연.최명수.김규태.신승엽(2011). 스마트폰 운동 애플리케이션의 이용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815-824.
42 이주영(2007). 자아존중감.가상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자기통제력이 청소년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이연미.이선정.신효식(2009).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29-49.
45 전문희.박재진(2013). 대학생의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만족도의 관계. 한국스포트리서치, 24(2), 3-17.
46 정영진(2012). 승마운동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중앙일보헬스미디어(2012). 일주일에 한 번만 스마트폰 끄면 능률 $\longuparrow[30]$. 2012. 3. 20. http://jhealthmedia.joins.com.
48 최길례(2006).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수준과 여가만족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3), 49-63.
49 최현석.이현경.하정철(2012).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1005-1015.
50 최혜진.최연실.안연주(2011).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113-133.
51 한국대학신문(2012). 2012 전국대학생 의식조사 및 인물선호도 조사. 2012. 10. 23. http://news.unn.net.
52 한국정보화진흥원(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보고서.
53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2012년 인터넷중독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보고서.
54 한국인터넷진흥원(2013).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55 한성유.성기환(2011).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소비행동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0(1), 27-38.
56 현홍준.양승필.서용건(2010). 대학생의 여가 제약 요인과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 레저연구, 22(6), 627-645.
57 한주리.허경호(2004).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48(6), 138-165.
58 한호성(2007). 자기조절의 주요변인으로서의 자기통제력과 자아탄력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현무성(1999). 전북지역 대학생 여가실태 조사연구. 한국스포츠 사회학회지, 11, 245-259.
60 Bandura, A.(1977). Self-Efficacy Theor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DOI   ScienceOn
61 Beard, F. G. & Re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62 Godbey, G.(1985). Leisure in your life. An Exploration. PA:Venture Publishing.
63 Griffiths, M.(1999). Internet Addiction. The Psychologist, 12(5), 245-250.
64 Kraut, R., Lundmark, V., Patterson, M., Kissler, S., Mukopadhyaya, T. & Scherlis, W.(1998). Internet Paradox :A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3, 1017-1031.   DOI   ScienceOn
65 Rapoport, R, & Raport, R. N.(1975).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