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isure Lifestyle and Culture and Art Consumption: Cases of Art Gallery Visitors

여가 라이프 스타일과 문화 예술 소비에 관한 연구: 미술관 관람객을 중심으로

  • Lee, Guiohk (Dept. of Communication Arts, Sejong University) ;
  • Park, Jowon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 이귀옥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
  • 박조원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6.05.18
  • Accepted : 2016.08.22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he segmentation of the art gallery visitors on the basis of leisure lifestyles. For this purpose, leisure lifestyle surveys were administered at Korea's three representative art gallerie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useum of Art, and Seoul Art Center's Hangaram Art Museum. A total of 31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identify leisure lifestyle factors. On the basis of the lifestyle factors,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n the differences of demographics, museum visiting behaviors, and general cultural consumption among the clusters were examined.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groups of lifestyles, 'culture and art lovers', 'active homebodies', 'low leisure spenders', and 'omnivorous culture and sports participants'. The four group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demographics, museum visiting behaviors, and general cultural consumptio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the segmented art gallery market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여가 라이프 스타일을 기준으로 미술관 관람객의 집단 세분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술관인 서울 소재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여가 라이프 스타일을 조사하였다. 314부의 설문 분석을 통해 여가 라이프 스타일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여가 라이프 스타일 차원을 반영한 문화 예술 소비자들의 집단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군집 간의 인구 통계학적, 미술관 관람 행동 및 일반적인 문화소비 활동의 차이를 점검하였다. 여가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문화 예술 소비자를 구분한 결과 '문화예술 선호형' 집단, '활동적 집돌이형' 집단, '여가 저향유형' 집단, '잡식성 문화/스포츠 참여형' 집단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4개 군집의 인구 통계학적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별, 직업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군집 간에는 미술관 관람 행동과 일반적인 문화예술 소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장 세분화에 따른 미술관의 마케팅 방안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