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k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5초

Antimicrobial activity of vegetable and fruit juices on the scalp bacteria

  • Park, Young-Doo;Eum, Jin-Seong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89-992
    • /
    • 2007
  • Twenty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human scalps. These strains were identified as 14 Bacillus megaterium, 1 Bacillus subtilis, 3 Staphylococcus aureus and 2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Two genuses are Gram-positive. In order to search for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natural plants, eighteen plant materials being made of perilla leaf as well as spices including garlic and ginger were used. The effects of these vegetable and fruit juices on the growth of scalp bacterial strains were investigated. Garlic and lemon juice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on the growth of twenty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4 kinds of species. Onion, spring onion and leek juices inhibited the growth of only one bacterial strains Bacillus megeterium MS13.

  • PDF

Screening of Vegetables for Inhibition Activity on Dopamine $\beta$-hydroxylase (DBH) and Monoamine oxidase (MAO)

  • Han, Yong-Nam;Yeunsu Ch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88-188
    • /
    • 1998
  • Extracts of 24 edible vegetables were tested concerning their action on in vitro inhibition on dopamine ${\beta}$-hydroxylase (DBH) and monoamine oxidase (MAO). All vegetables were purchased in Korean market and their common names were kept. Radish sprouts, ‘kkoch-na-mul’, ‘chong-gyong-chae’, ragwort, applemint showed strong DBH inhibitory effect when tyramine and crude bovine adrenal DBH were used as substrate and enzyme, respectively. ‘Cham-chwi’(Aster scaber), kale, ‘cham-na-mul’(Pimpinella brachycarpa), leek were found to have MAO-A inhibitory effect with serotonin and crude rat brain MAO-A. Lettuce, ‘chong-gyong-chae’, radish sprouts, beet leaves were found to have MAO-B inhibitory effect with benzyl amine and crude rat liver MAO-B.

  • PDF

황 함유 채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 김경희;김혜정;변명우;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77-583
    • /
    • 2012
  • 본 연구는 황 함유 채소류 중 사용범위가 넓은 마늘, 무, 부추, 생강, 양파, 파를 80% 에탄올에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추출 수율은 2.33~10.12%를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강이 $233.63{\pm}4.59$, 부추가 $220.98{\pm}10.56$ mg/g GAE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양파, 파, 마늘, 무 순으로 $69.07{\pm}1.42$, $68.83{\pm}2.11$, $19.41{\pm}0.40$, $19.05{\pm}03.32$ mg/g GA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강의 $IC_{50}$ 값이 $1.57{\pm}0.15$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부추>양파>무>파>마늘의 순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value의 측정 결과 역시 생강 및 부추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파>양파>마늘>무, FRAP value의 경우 파>양파>무>마늘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전체적으로 생강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부추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7가지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의 경우(5 mg/disc), $B.$ $cereus$(22.3 mm) 및 $E.$ $coli$(24.3 mm)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양파와 파는 10 mg/disc 농도에서 $E.$ $coli$(12.7 및 10.3 mm)와 $B.$ $cereus$(12.0 및 12.5 mm) 균주에 대해서만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L.$ $plantarum$ 균주(10 mg/disc)에 대해서는 마늘(18.0 mm)과 부추(10.4 mm)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다양한 한국음식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황 함유채소류 중 생강 및 부추는 항산화 활성이, 부추 및 마늘은 항균력이 높아 특히 부추의 경우 식품 첨가물 및 식품 보존제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젖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 박성보;김정도;이나리;정진하;정성윤;이희섭;황대연;이종섭;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28-14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이 있는 식물성 젖산균을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분리한 후,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김치, 부추, 포도 및 동동주에서 K-1, K-21, L-5, G-3 및 D-3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이들은 각각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bacillus plantarum, Weissella cibaria, L. plantarum 및 L. brevis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들은 MRS broth에서 44.3-71.9%의 ACE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G-3, L-5, K-1 균주는 skim milk가 함유된 MRS broth에서 59.0-8-98.6%의 높은 ACE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는 42.5-82.7%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G-3 및 K-1 균주는 pH 2.5의 인공위액에서 42.2-88.1%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분리균주는 0.3% oxgall에서 24시간 배양시 55.4-112.8%의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리균주는 유기산 생성에 따른 pH 감소 효과로 인하여 Pseudomonas aeruginosa를 포함한 일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었다.

Total petroleum hydrocarbon에 의한 작물의 발아 및 유근생장 저해 (Germination Rate and Radicle Growth Inhibition in Crops by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 임성진;김진효;최근형;권유빈;김두호;박병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3-278
    • /
    • 2013
  • BACKGROU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which are main materials of soil contamination by oil, are a term used for any mixture of hydrocarbons.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established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of TPH in farmland by 500 mg/kg, and reported that the TPH level of soil in 266 installation such as gas station, transport company, and military unit ranged from 1,356 to 55,117 mg/kg and were much higher than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in 2011. METHODS AND RESUL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PH on crop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soline, kerosene, and diesel on the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of mainly consumed crops. The germination rates of control in investigated all crops ranged from 80.0-100%. The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in majority of investigated crops were not inhibited even at 2,500 mg/L. However, germination in onion, leek, and green perilla and radicle growth in leek, rape, tomato, and green perill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gasoline, kerosene and diesel treatment.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inhibition of green perilla by kerosene and diesel were the highest, the percent inhibition at the 500 mg/L were 100 and 98.6%, 100 and 88.2%, respectively. 50% inhibition of germination in green perilla by kerosene and diesel were 39.96 and 29.87 mg/L, and 50% inhibition of radicle growth were 52.76 and 177.96 mg/L,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of TPH might to be established general level with exception by crops.

파좀나방의 발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stone leek minor, Acrolepiopsis sapporensis Matsumura (Lepidoptera: Acrolepiidae))

  • 최광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6-20
    • /
    • 1997
  • 파, 양파, 부추, 달래 등을 가해하는 해충인 파좀나방의 발육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파를 기주로 하여 항온기에서 각온도별 개체사육에 의해 나타난 각 태별 발육기간, 산란수, 성충수명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기간은 $15^{\circ}C$에서 10.5일, $20^{\circ}C$에서 5.6일, $25^{\circ}C$에서 4.8일로 $20{\sim}25^{\circ}C$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유충기간은 각 온도별 차이가 현저하여 $15^{\circ}C$에서 25.5일, $20^{\circ}C$에서 10.8일, $25^{\circ}C$에서 7.5일이었다. 3. 번데기기간은 $15^{\circ}C$에서 13.3일, $20^{\circ}C$에서 9.0일, $25^{\circ}C$에서 7.6일이었다. 4. 성충의 수명은 $15^{\circ}C$에서 9.8일, $20^{\circ}C$에서 8.5일, $25^{\circ}C$에서 8.4일, $30^{\circ}C$에서 5일로 나타났다. 5. $30^{\circ}C$에서는 알, 유충발육이 극히 부진하였고, 성충의 수명도 다른 실험온도($15{\sim}25^{\circ}C$)에서 보다 짧았다. 6. 암컷 한마리당 산란수는 $15^{\circ}C$에서 평균 113개, $20^{\circ}C$에서 평균 113개, $25^{\circ}C$에서 평균 134개였다. 7. 각온도별 1세대에 소요되는 기간은 $15^{\circ}C$에서 55.6일, $20^{\circ}C$에서 30.5일, $25^{\circ}C$에서 24.8일로 나타났으며, 파좀나방 발육기간인 4월하순부터 10월하순까지의 수원, 대전, 광주의 평균기온은 $19.9{\sim}20.8^{\circ}C$로서 $20^{\circ}C$ 내외이기 때문에 야외포장에서 1년에 6세대 발생될 것으로 고려된다.

  • PDF

파를 가해하는 파굴파리의 충태별 피해 양상 및 행동 (Injury Aspects of the Stone Leek Leafminer, Liriomyza chinensis Kato (Diptera: Agromyzidae) on Welsh Onion)

  • 최인후;김정화;김길하;김철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5-343
    • /
    • 2003
  • 파굴파리의 파 잎의 가해 습성을 조사한 결과 암컷성충은 잎의 외부에서 즙액을 섭취하고 엽육에 산란함으로서 피해를 주었다. 피해 잎은 직경 0.48mm의 백색 원형의 흡즙흔이 수십 개씩 점선을 형성하였고, 산란흔은 0.1${\times}$0.14mm 장타원형이고 1개 또는 수 개씩 V자형으로 무리를 지어 산란하였다 집단사육에서 성충의 흡즙은 우화당일에 시작하여 4-5일째에 가장 왕성하였고, 산란은 우화 2일부터 6일째까지 일별 산란수가 비슷하였다. 또한 흡즙과 산란은 밤보다는 낮에 더 활발하였다. 유충은 엽육에 갱도를 뚫고 엽의 위아래로 섭식하다가 밀도가 높고 발육이 진전되면 잎 끝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잎을 고사시켰다. 유충 1마리의 식해량은 72.1$\textrm{mm}^2$이었다. 노숙유충이 잎에서 탈출하는 시간은 오전 5-7시이었고, 번데기는 토양깊이 5cm, 파측면 10 cm근처에서 대부분 용화하였다. 월동태는 번데기로 지표에서 토양깊이 10cm 이내에서 서식하였으며, 5월상순부터 6월하순까지 약 2개월 사이에 우화하였다. 성충은 잔존된 파, 묘상, 이식된 포장, 밭뚝 등으로 이동하여 생존하였다.

부추(Allium tuberosum R.)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 변화 (Effect of γ-Irradiation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Leek (Allium tuberosum R.))

  • 한병재;양숙영;김준형;심성례;;이성진;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13-51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부추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사되지 않은 부추와 20 kGy의 선량으로 조사된 부추를 SDE방법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한 후 정유를 GC/MS로 분석하였다. 비조사 시료와 조사시료에서 각각 56종 ,54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alcohol류, aldehyde류, ester류, ketone류, 함질소화합물과 함황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부추에 함유된 특징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은 조사되지 않은 부추에서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그 농도에 있어서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두 시료 모두에서 함황화합물이 다량 검출되어 주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성분들 중에서 다량의 dimethyl trisulfide와 methyl-(Z)-1-propenyl trisulfide가 함황화합물의 상대적 농도에 크게 기여하고 그 외 dimethyl disulfide, 3-ethyl-1,2-dithi-1,2-ene, methyl allyl disulfide와 (E)-2-hexanal도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중 주된 화합물로 확인된 dimethyl trisulfide와 methyl-(Z)-propenyl trisulfide는 조사된 후 크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외에도 (E)-2-hexanal과 3-ethyl-1,2-dithi-5-ene, diallyl trisulfide 역시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dimethyl disulfide는 조사 후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앞의 화합물들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이외에도 diallyl sulfide와 allyl methyl sulfide, pyridine 등도 크게 증가하였다.

청주지역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Wholesale and Traditional Markets in Cheongju)

  • 노현호;강경원;박영순;박효경;이광헌;이재윤;엽경원;이은영;진용덕;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
    • /
    • 2010
  • 청주지역에서 유통중인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매시장과 재래시장에서 총 120점의 농산물을 채취하여 GLC와 HPLC 및 GC-MS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Procymidone과 penconazole 및 tetraconazole과 같은 3종의 살균제가 양파, 부추, 토마토, 풋고추에서 검출되었다.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양파에서 살균제 penconazole이 검출되었으며, 재래시장의 경우는 살균제 procymidone이 부추와 토마토에서, 살균제 tetraconazole이 풋고추에서 검출되어 3.3%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농약의 일일섭취추정량(EDI)은 일일섭취허용량(ADI)의 0.1%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치원 급식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및 미생물적 품질평가 (Evalu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Kindergarten Foodservice Settings)

  • 이주은;최경숙;강영재;곽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5-530
    • /
    • 2012
  • This research aims to audit foodservice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and to assess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and their food contact environments in kindergartens. Sanitation auditing was conducted in 10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to assess the levels of safety practices. Results revealed that the surveyed kindergartens scored 41.4 out of 100 points, on average. The average scores of each category were 6.4/11 (58.1%) for facilities sanitation, 4.2/12 (35.0%) for equipment sanitation, 2.4/10 (24.0%) for personal hygiene, 5.1/10 (51.0%) for food ingredients management, 6.0/17 (35.3%) for production process, 5.4/10 (54.0%) for environmental sanitation, 2.0/6 (33.3%) for kitchen utensils sanitation, and 2.2/6 (96.7%) for safety management.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prepared foods, personal sanitation (hands),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drinking water were assessed. Total plate counts (TPC) of the following menus exceeded the critical limit: seasoned leek (5 log CFU/g), cucumber (5.0 log CFU/g), panbroiled fish paste (TNTC at $10^4$), tangpyeongchae (5.3 log CFU/g), egg rolls (6.1 log CFU/g), panbroiled sausage (TNTC at $10^4$), and soft tofu pot stew (TNTC at $10^4$). Coliform which exceeded the standard limit were detected from seasoned leek (2 log CFU/g), cucumber (2.5 log CFU/g), panbroiled fish paste (2.0 log CFU/g), egg roll (3.8 log CFU/g), tangpyeongchae (4.0 log CFU/g), panbroiled sausage (2.3 log CFU/g), and soft tofu pot stew (3.7 log CFU/g). For seasoned foods (muchim), S. aureus ranged 2.2~2.9 log CFU/g. In food workers' hands, microbial profiles ranged 3.8~7.9 log CFU/hand for TPC, ND~4.5 log CFU/hand for coliforms, ND~4.7 log CFU/hand for S. aureus, and ND~5.3 log CFU/hand for Enterobacteriaceae. Microbiological profiles of food contact surface of knives, cutting boards, dish-clothes, and trays showed possibilities of cross-contamination. General bacteria were 2.1~4.5 logCFU/ml in 4 purified water samples and E. coli were found in the kitchen of one kindergarte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need more strict improvement: effective sanitation education methods and practices were strongly required, and more strict sanitation management for cooking utensils and equipment we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