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rning difficulties in mathematic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2초

컴퓨터 환경에서 극단적인 교수 현상의 가능성과 수학 교수.학습 양식에 관한 고찰 (Analysis on the Possibility of the Extreme Didactical Phenomena and the Mode of Using Computer for the Mathematics Teaching)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66
    • /
    • 2001
  •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didactical transpositions of the mathematical knowledges in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 and also analyse the extreme didactical problems Computer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ative that coul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nd many broad studies have been made to use computer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ut Any systematic analysis on the didactical problems of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mathematics education has not been tried up to this time. In this paper, first of all, we analysed the didactical problems in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and then, the mode of using computer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PDF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Guiding Students)

  • 유기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7-61
    • /
    • 2019
  • 본 연구는 6개 시 도 36명의 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 수업 요인 중 학생 지도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학생 평가, 교수 학습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집단별 평균 차이 검증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 교과 내용학과 교육학이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된 정도는 선행연구와 달리 두 가지 모두 다소 낮게 나타났다.

컴퓨터 환경에서 초등학교 기하 지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Elementary Geometry Using the Computer)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9-102
    • /
    • 2001
  • Computer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that coul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But the didactical problems of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mathematics education could give us new obstacl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application of the learning theories of mathematics to the computer environment. If the feedbacks of the computer are too immediate, students would have less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thinking and focus their attention on the visual aspects, which leads to the simple abstraction rather than the reflective abstraction. We also examined some other Problems related to cognitive obstacle to learn the concepts of geometric figure and the geometric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e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 to use computer more adequately in teaching and learning geometry.

  • PDF

Piaget의 개념 발달의 메커니즘과 대수의 역사 (Piaget's Mechanism of the Development of Concepts and the History of Algebra)

  • 민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485-494
    • /
    • 1998
  • This study is on the theory of Piaget's reflective abstraction and the mechanism of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he history of algebra and its application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at many students have in learning algebra. Piaget considers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s a linear process. The stages in the construction of different forms of knowledge are sequential and each stage begins with reorganization. The reorganization consists of the projection onto a higher level from the lower level and the reflection which reconstructs and reorganizes within a lager system that is transferred by profection. Piaget shows that the mechanisms mediating transitions from one historical period to the next are analogous to those mediating the transition from one psychogenetic stage to the next and characterizes the mechanism as the intra, inter, trans seque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lgebra is characterized by three periods, which are intra inter, transoperational. The analysis of the history of algebra by the mechanism explains why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have in learning algebra occur and shows that the roles of teachers are important to help studen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 PDF

GSP가 중학생들의 증명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An Influence of GSP to Learning Process of Proof of Middle School Students: Case Study)

  • 신유경;강윤수;정인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5-6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원의 성질' 단원의 증명학습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를 조사하여 GSP를 활용한 증명학습이 학생들의 어려움을 어떻게 완화시키는지를 탐구하였다. 진단검사를 통해, 학생들은 가정과 결론의 이해, 기호의 사용, 추론 과정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생들은 GSP를 활용한 증명학습을 통해 자신의 추측이나 추론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구체적인 사례를 일반화하거나 증명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찾는 탐구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현장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방향 (Difficulties and Issues in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657-675
    • /
    • 2002
  •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issues raised by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 general overview of the curriculum is presented in lin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Four classroom episodes are presented in brief in order to diagnose the problems in situating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hese episodes deal with lessons emphasizing activity rather than its associated concepts or principles, overusing multimedia data, pursuing play rather than its associated thinking, and distributing various individual worksheets in the na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methods. In addition to the episodes, interview data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are presented as needed. This paper discusses two aspects of activating the curriculum int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One deals with the issue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mselves, and the other covers those of research trends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This paper finally emphasizes a collaborative working relation among classroom teachers, mathematics educators, and policy makers with their own places and roles.

  • PDF

Challenges Faced by a Mathematically Strong Student Intransferring his Success in Mathematics to Statistics: A Case Study

  • Kim, Hyung Won;Fukawa-Connelly, T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23-240
    • /
    • 2015
  • This study qualitativel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challenges that a student who is highly successful in mathematics faces in learning college-level elementary statistics. The study draws on the constructs of eagerness, flexibility and willingness to characterize the necessary disposition for critical thinking that is essential in learning statistics. The case study is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assessment and a follow-up interview with a mathematics major enrolled in an elementary college statistics course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qualitative analysis relies on the student's verbal descriptions of the challenges he was experiencing in the course.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his strong inclination towards inquisitive learning and strong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supported this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the same characteristics might have been causing him difficulties in learning college-level elementary statistics.

초등학교 수학 학습 어려움 진단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Items for the Diagnosis of Difficulties in Learning Elementary Mathematics)

  • 김희정;조형미;고은성;이동환;조진우;최지선;한채린;황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61-278
    • /
    • 2022
  •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팬데믹으로 인하여 기존의 사회 및 교육적 체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교육 격차로 인한 학습자 맞춤형 교육 체계와 같은 여러 가지 교육적 대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별로 세밀한 진단을 통해 학습 과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피드백 및 보정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학 학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및 오개념을 진단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학 학습 진단 평가 문항은 전국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675명에게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평가 문항 개발 과정, 평가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과정, 현장 적용 과정 및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 교수·학습 지원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코로나19 감염증의 장기화 및 뉴노멀 시대의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수학 학습 어려움 및 오개념 진단 평가 문항의 활용 방안 및 관련한 교육 정책에 제언을 주고 있다.

전문성 발달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 형성에 있어서의 어려움 (Difficulties of Building a Learning Comm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권나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1호
    • /
    • pp.17-2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환경 아래에서 수학 교사들을 이해하고 고등학교와 대학 간의 협력을 통한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수학 교사들이 어떤 어려움을 가지는 가에 관해 조사하였다. 미국의 남동부 지역의 한 프로젝트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세 명의 예비 교사와 세 명의 멘토 교사,그리고 한 명의 대학에서 나온 교사가 학습 커뮤니티에 속하여 함께 일하였다. 연구 자료는 관찰노트, 인터뷰, 설문지, 이메일 내용 등이 포함되고, 사례 연구와 내러티브 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간의 파워 이슈, 논의할 주제 선택이나 서로에 대해 비판하기, 목표를 공유하거나 시간과 멤버 수 조절하는 것 등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 PDF

탈북학생과 지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 인식 조사 (Examining SENK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나귀수;박경미;박영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63-77
    • /
    • 2016
  • 탈북학생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수학포기자'의 유발 요인에 노출되어 있을 뿐 아니라 탈북학생 고유의 어려움까지 가중되어 수학학습과 관련된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인 탈북학생들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남한과 북한의 수학 학습 비교, 수학 학습의 어려움, 수학 내용 이해를 위한 노력, 수학 지도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에 있어서의 탈북학생들의 어려움은 수학 용어의 차이,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문제 상황의 생소함, 빠른 수업 진행과 충분한 연습 시간의 부족, 선수 학습 결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이해가 어려운 단원으로는 분수의 연산, 그리고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을 꼽았다. 지도교사들은 탈북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기초 지식 부족으로 처음부터 세세하게 가르쳐야 할 것이 많다는 점, 문화적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제 상황이해의 어려움, 전체적으로 학습 의지가 낮은 점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탈북학생 지원방안으로는 남북한의 상이한 교육과정 고려, 동료 교수법, 개별 지도, 탈북학생 맞춤형 언어적 표현, 반복 연습 기회 제공과 철저한 과제 점검, 구체화된 경험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