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atisfaction

검색결과 2,028건 처리시간 0.027초

K-MOOC 참여자의 학습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alysis of K-MOOC Learners)

  • 박혜진;권영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53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ffect on K-MOOC. It was confirmed how the ease and interaction of K-MOOC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and ease of K-MOOC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ase and interaction of K-MOOC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Third, the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of learners with prior course experience of K-MOOC learners were hig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urse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ffect of actual learning activities was verified for K-MOOC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K-MOOC activation plan and the case of using K-MOOC at each university.

e-learning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 Satisfaction of e-learning)

  • 이동후;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45-250
    • /
    • 2005
  •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으로 교육환경$\cdot$방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교육산업도 교육의 전 분야에서 이론 활용한 e-teaming이 많은 분야에서 도입되었고, 빠른 속도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 확산 노력에 힘입어 그동안 e-learning의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대부분이었고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e-learning 교육만족도 평가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대상으로 퍼지구조 모델링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e-learning 교육 만족도에 관한 의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의식구조분석의 결과가 고려된 평가모델을 구축하여 e-learning 교육 만족도를 평가하고,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e-learning 교육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 하였다.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the College Classroom)

  • 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0-1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협력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 -S 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Learner's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e-learning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한지영;이은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69-7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S 대학에서 열리는 보건교육학을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운영하고 학습자들의 e-learning에 대한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Blended Learning 환경을 설계하고 15주간 수업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환경에서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각정도(평균 3.65, 표준편차 .64)와 학습만족(평균 3.41, 표준편차 .69)은 모두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성과 경제성에 관한 영역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간,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영역부분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았으며, 학습자의 지각정도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이러닝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PDF

e-러닝에서 학습자의 사전동기와 수강관련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udents' Pre-motivation and Class Related Factors on Class Evaluation in e-Learning)

  • 황인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2호
    • /
    • pp.33-4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tud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and to provide a meaningful reference to policy-making of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he surveyed questionnaires from 23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learning course. in combination with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this study analyzes (1) the influences of students' pre-motivation level of student based-on ARCS theory on class satisfaction, (2) the influences of students' grade, attendance, and class involvement on class satisfaction, and (3) the influences of e-learning experience on students' pre-motivation level and class satisfaction.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1) students' pre-motivation level including Attention(A), Relevance(R), Confidence(C), and Satisfaction(S) is positively correlated to students' evaluation for teaching, (2) students' grade, attendance. and class involvement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students' evaluation for teaching, and (3) students' e-learning experience is not related with students' pre-motivation level, whereas it is related with class satisfaction.

  • PDF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 Woo, Chung Hee;Park, Ju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141-148
    • /
    • 2021
  • This study was tri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nurses working at one of 10 convalescent hospitals located in Korea's D region and between July 20 and August 12, 2019 and analyzed using SPSS 24.0.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learning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esting for significance based on bootstrapping p values. We found that workplace learning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self-efficacy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Exploring diverse factors and environmental featur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 convalescent hospital nurses is highly relevant to clinicians, especially given the gradually increasing number of convalescent hospitals, changes during the era of technology fusion, and the strategic demands arising from an aging society.

모바일 앱 활용 치아형태학 수업에서의 학습 만족도 제고 요인 (Factors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in Dental Morphology Class Using the Mobile Apps)

  • 이승희;정효경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869-88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4 freshmen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 University to examine the effect of dental morphological practice mobile application utilization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lass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Major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atisfaction and utility towards functions of mobile application strengthened positive perception of dental morphology class, leading to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learning, which suggested that functional convenience and utility in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the effective factor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Those results need to be given important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class using the mobile applications.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층별 조절효과를 반영하여) (A study on the impact of technology using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Reflecting the control effect with grade to organizations))

  • 박동국;박구만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3-50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T서비스 전문기업의 사례 중심) (A Study on the Impact of Inten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in Case Specialized Company with IT Service))

  • 박구만;박동국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39-748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기반의 글자교구재 디지털 앱 개발 사례와 교육효과 평가: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를 중심으로 (An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Its Learning Effect: Towards an Examination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 김새론;원은진;김형기;윤필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1-157
    • /
    • 2023
  • The present work aimed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Funt', the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Our work further evaluated the learning efficacy of the tool by the assessment of the three dependent measure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With a learning app of 'Funt', students can use AR app to access recognition-based or location-based experiences such that any objects, artifacts, or media appear to be in the app. Students are then able to interact with the digital content by manipulating it to learn more about it. Students's engagement should also increase when they create their own experience in AR to demonstrate their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concept or words. Learning effects were evaluat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hundred respondents aging six to nine years. One-group design for pre-test and post-test was utili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efficacy by comparing the non-'Funt' group and the Funt group scores. A pairwise t-Test was performed for pairwise comparisons between two learning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nt'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Funt' group in the measures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Funt' attracted the students' attention, provided them with a fun context to learn English vocabulary, and develop posi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R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