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ducation Satisfaction of e-learning

e-learning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With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new paradigm creation requirement about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method is increasing and also the e-learning to apply traditional education industry was introduced in many field of education. The research about a learner's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aided by effort to spread this e-learning, have been processed much but most of these researches were intended for the enterprise and there are few for the high school.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for evaluating the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and analyzed the consciousness structure about the e-learning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using Fuzzy Structural Modeling method. Also, constructing an evaluation model considered the results of consciousness structure analysis, we evaluated the e-learn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showed a method which improved it by the sensitivity analysis.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으로 교육환경$\cdot$방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교육산업도 교육의 전 분야에서 이론 활용한 e-teaming이 많은 분야에서 도입되었고, 빠른 속도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 확산 노력에 힘입어 그동안 e-learning의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대부분이었고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e-learning 교육만족도 평가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대상으로 퍼지구조 모델링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e-learning 교육 만족도에 관한 의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의식구조분석의 결과가 고려된 평가모델을 구축하여 e-learning 교육 만족도를 평가하고,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e-learning 교육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홍경선, 교사를 위한 e-learning입문, 도서출판 문음사, 2004
  2. 마크 J. 로젠버그, e-learning-디지털 시대의 지식확산전략, 유영만 옮김, 도서출판 물푸레, 2001
  3. 고영기,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차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 황승국, 'AHP를 이용한 의식구조분석법', 한국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Vol.6, No.4, pp.61-70, 1996
  5. 정택수, 교차 종속관계 하에서의 효율적인 다기준평가법,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6. Moore, M. G. & Kearsely, G., Distance Education, Wadswoth Publishing Company, 1996
  7. W. H. DeLone,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 Success :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3, No.1, pp.60-95, 1992 https://doi.org/10.1287/isre.3.1.60
  8. W. H. DeLone,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ess : a Ten-Year updat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 19, No.4, pp.9-30, 2003
  9. L. F. Pitt, R. T. Watson, C. B. Kavan, 'Service quality : a measure of information systems effectiveness', MIS Quarterly, Vol.19, No.2, pp.173-187, 1995 https://doi.org/10.2307/249687
  10. 정영운, B2C e-learning 사용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김석정, e-learning 교육서비스의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2. 한국공업표준협회, 신QC 7가지도구, 한국표준협회, 1991
  13. 콘텐츠미디어, e러닝지도실무, 콘텐츠미디어, 2003
  14. 김종수, 품질시스템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