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rning Outcome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7초

하이브리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외식창업관련과목의 교육효과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Effects of Hybrid Style Problem-Based Learning in Food Service Entrepreneurship Subject - Focusing on Problem Solving Skills)

  • 신승훈;유동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53-465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그 성과를 검증받고 있지만 사회과학과 경영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연구가 진행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외식창업관련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를 마친 후 외식창업관련과목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의 개발을 위해 교과목의 목표와 학생들의 외식창업관련 기초 지식을 점검하였다. 이후 문제의 개발과 시행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밀한 부분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하이브리드 형식의 문제중심학습을 진행하기로 하고 수업계획서, 문제의 생성과 적용, 평가과정에 대한 일련의 구성을 완성하였다. 교육 시행 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고 이들에게 각각 문제중심학습과 일반적인 강의방식의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전과 후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적인 강의방식의 일부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은 외식창업관련과목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학습방법임을 선행연구들과 함께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Effects of Motor Skill Learning and Treadmill Exercise on Motor Performance and Synaptic Plasticity in Harmaline Induced Cerebellar Injury Model of Rat

  • Kim, Gi-Do;Min, Kyung-Ok;Kim, Kyung-Yoon;Sim, Ki-Cheol;Nam, Ki-Won;Koo, Ja-Pung;Park, Joo-Hyun;Moon, Ok-Kon;Yu, Seong-Hun;Kim, Gye-Yeop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1-98
    • /
    • 2010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motor skill learning and treadmill exercise on motor performance and synaptic plasticity in the cerebellar injured rats by harmaline. Experiment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assigned 15 rats to each group. Group I was a normal control group(induced by saline); Group II was a experimental control group(cerebellar injured by harmaline); Group III was a group of motor skill learning after cerebellar injured by harmaline; Group IV was a group of treadmill exercise after cerebellar injured by harmaline. In motor performance test, the outcome of group I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roup III, IV(especially group III)(p<.001). In histological finding,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stroy of dendrities and nucleus of cerebellar neurons. Group III, IV were decreased in degeneration of cerebellar neurons(especially group III). In immunohistochemistric response of synaptophysin in cerebellar cortex,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than group I. Group III's expression of synaptophysin was more increased than group II, IV. In electron microscopy finding,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generated of Purkinje cell. These result suggest that improved motor performance by motor skill learning after harmaline induced is associated with dynamically altered expression of synaptophysin in cerebellar cortex and that is related with synaptic plasticity.

  • PDF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한 기초간호학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개발: 인체 구조와 기능, 병원미생물학, 병태생리학, 약물의 기전과 효과 (Development of Syllabuses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based on Learning Outcome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and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 박현주;김윤경;김주현;정재심;최스미;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88-21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yllabuses of basic nursing science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and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 based on learning outcomes. Methods: We developed a 3-phase plan to develop the syllabuses. In the first phase,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KSBNS) held a workshop in May, 2013 in which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basic nursing science subjects shared opinions about learning outcomes. As a result, initial prototype syllabuses came out. In the second phase, revised syllabuses based on learning outcome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in the conference held by KSBNS in November, 2013. In the last phase, a research team who taught basic nursing science subjects finalized the syllabuses during the meetings. Results: Syllabuses of 4 basic nursing science subjects were developed. Conclusion: These syllabuses of 4 subjects need to be disseminated throughout nursing colleges. Further revision needs to be mad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context of each school.

Intelligent System for the Prediction of Heart Disease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ith Anew Mixed Feature Creation (MFC) technique

  • Rawia Elarabi;Abdelrahman Elsharif Karrar;Murtada El-mukashfi El-tah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5호
    • /
    • pp.148-162
    • /
    • 2023
  • Classification systems can significantly assist the medical sector by allowing for the precise and quick diagnosis of diseases. As a result, both doctors and patients will save time. A possible way for identifying risk variables is to us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on-surgical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learning, are trustworthy and effective in categorizing healthy and heart-disease patients, and they save time and effor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edical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for the diagnosis of heart disease. We have used a mixed feature creation (MFC) technique to generate new features from the UCI Cleveland Cardiology dataset. We select the most suitable features by using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LASSO),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with Random Forest feature selection (RFE-RF) and the best features of both LASSO RFE-RF (BLR) techniques. Cross-validated and grid-search methods are used to optimize the parameters of the estimator used in applying these algorithms. and classifier performance assessment metrics including classification accuracy, specificity, sensitivity, precision, and F1-Score, of each classification model, along with execution time and RMSE the results are presented independently for comparison. Our proposed work finds the best potential outcome across all available prediction models and improves the system's performance, allowing physicians to diagnose heart patients more accurately.

IPMN-LEARN: A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low-grade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 Yasmin Genevieve Hernandez-Barco;Dania Daye;Carlos F. Fernandez-del Castillo;Regina F. Parker;Brenna W. Casey;Andrew L. Warshaw;Cristina R. Ferrone;Keith D. Lillemoe;Motaz Qadan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5-200
    • /
    • 2023
  • Backgrounds/Aims: We aimed to build a machine learning tool to help predict low-grade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IPMNs)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surgical resection. IPMNs are precursors to pancreatic cancer. Surgical resection remains the only recognized treatment for IPMNs yet carries some risks of morbidity and potential mortality. Existing clinical guidelines are imperfect in distinguishing low-risk cysts from high-risk cysts that warrant resection. Methods: We built a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SVM) learning model using a prospectively maintained surgical database of patients with resected IPMNs. Input variables included 18 demographic, clinical, and imaging characteristics. The outcome variable was the presence of low-grade or high-grade IPMN based on post-operative pathology results. Data were divided into a training/validation set and a testing set at a ratio of 4:1.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analysis was used to assess classification performance. Results: A total of 575 patients with resected IPMNs were identified. Of them, 53.4% had low-grade disease on final pathology. After classifier training and testing, a linear SVM-based model (IPMN-LEARN) was applied on the validation set. It achieved an accuracy of 77.4%, with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83%, a specificity of 72%, and a sensitivity of 83% in predicting low-grade disease in patients with IPMN. The model predicted low-grade lesions with an area under the curve of 0.82. Conclusions: A linear SVM learning model can identify low-grade IPMNs with goo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t may be used as a complement to existing guidelines to identify patients who could avoid unnecessary surgical resec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학 e-Learning 실습교육 (The E-Learning for Practice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College Education)

  • 이기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443-476
    • /
    • 2015
  • 미술 디자인계열 학과를 개설한 대학의 이러닝 강의는 실습중심의 전공 교과목조차 대부분 이론중심 강의로 운영되고 있다. 심지어 완전 사이버교육을 제공하는 사이버대학교들 조차 실습과목에 대한 사이버학습 운영에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을 토로하면서 이론위주로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사이버대학교들이 이러한 실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특강형식으로 일정기간 오프라인에서의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학습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갖게 되는 학생들의 중도탈락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러닝 환경에서 실습이 필요한 과목의 효율적인 이러닝 실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교육이 기존 강의실 기반의 실습교육에 비해 어느 정도의 학업성취도를 이루어 내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제 일반대학교 디자인학부 1학년 84명을 선정하였으며, 3개 분반으로 나뉘어진 전공실습 수업 중 1개 분반에서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수업을, 2개 분반에서는 강의실기반 실습수업을 각 7주간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이러닝 환경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수업은 강의실 기반 실습수업보다 학업성취도 면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학습 흥미도에 있어서는 증강현실기반의 실습이 수업자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학습몰입에 있어서 증강현실기반의 실습수업 집단이 더 높은 수준의 몰입을 보였다. 본 연구가 실제 대학교육의 정규과정에서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연구결과는 증강현실기반의 전공 실습교육이 기존의 이론중심 이러닝 강의나 이러닝 환경이지만 별도로 강의실에서 실습을 진행했던 대학들의 수업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방법임을 시사한다.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교육 요구조사 (Education Needs Assessment of Managers for Learning Organization in Small and Mum Enterprises)

  • 임세영;염명국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9
    • /
    • 2012
  • 본 연구는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역할과 구체적 과업별 중요도와 수행수준에 대한 학습조직화 지원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담당자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수요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조직담당자의 역할을 혁신자, 운영자, 전파자, 촉진자 등 4개로 구분하고 구체적 과업을 20개로 정리하여 5점척도에 응답하게 하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200여개의 중소기업에 배포한 결과, 123매의 응답이 회수되어 이를 기초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화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요구수준)에 대한 인식은 현행수행수준(3.73) 보다 높게(4.36) 나타났고, 역할 중요도의 순서는 혁신자, 운영자, 전파자, 촉진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직 담당자의 과업별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정도를 살펴본 결과 중요도(요구수준)는 전반적으로 중급(4.1) 이상의 높은 수준이 요구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현재 보유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의 보유수준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기초로 담당자에게 함양 또는 보강되어야 할 직무능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활성화를 위한 촉진활동, 학습조 리더 육성, KMS운영 및 성과창출 역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습조 도입에 따른 조직의 변화관리 역량의 함양과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유형별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치위생과 재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과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utcome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ccording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Learning Style)

  • 김명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63-372
    • /
    • 2021
  • 학습유형별 교수학습방법이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의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2명은 학습유형별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고, 24명은 대조군으로 교수학습을 수행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조사를 하였고, 프로그램 진행 2,3,4주차에 각각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5주차에 총괄평가, 교과흥미, 학습동기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교수학습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 형성평가, 교과흥미, 학습동기가 향상되었고(p<0.05),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교과흥미, 학습동기가 향상되었다(p<0.05). 유형별로 융합자에서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 형성평가가 향상되었고(p<0.05), 분산자와 융합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교과흥미와 학습동기가 향상되었다(p<0.05). 측정 항목 간의 상관관계에서 교과흥미는 총괄평가, 형성평가, 동기유발과 모두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p<0.05). 이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xperience of Non-contact Lectures on Learning Flow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 김유라;정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3-122
    • /
    • 2023
  •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With Corona 시대에 맞는 미용 교육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미용 전공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06월 07일부터 06월 21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286부를 표본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학습경험을 요인 분석한 결과 수업만족 2개의 하위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습몰입을 요인 분석한 결과 학습 즐거움과 학습몰입의 2개의 하위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수업 활동이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학습 즐거움(𝛽=.279, p<.007)과 학습몰입(𝛽=.221, p<.03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업 만족이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학습몰입(𝛽=.223, p<.04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수업 경험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시대에 맞는 효율적 비대면 교육 방안이 활발히 모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 배수현;박정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2-21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for nursing student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Methods: The 8-week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Joo, Whitmore and Hong model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two full-time nursing professors training students at one university in city G.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among the advisees of these two professor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29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were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d Mann Whitney U-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communication skills, communication as a nursing outcome, observation of communication, leadership, and leadership as a nursing outcom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reveal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the number of leadership activities using a portfolio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 can help cultivate important, basic grounding as well as achieve nurs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upon grad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