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s System

검색결과 1,121건 처리시간 0.034초

공학교육에서 교수-학습포트폴리오의 개념과 활용방안 (Teaching and Learning Portfolios in Engineering Education)

  • 신윤호;이희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76-84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교수포트폴리오와 학습포트폴리오의 개념과 내용을 정의하고 외국대학의 사례를 통해 교수-학습 포트폴리오가 교수의 교육업적평가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여러 문헌과 현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해 본 결과, 교수-학습포트폴리오는 교수-학습 활동에서 다양한 각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개념 또한 다양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10개의 외국 대학에서는 교수의 교육업적 평가요소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를 채택하고 승진심사나 성과급 평가에도 활용하고 있었으나 국내 대학에서는 아직 이런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있거나 공학교육인증제의 확산과 더불어 도입하기 시작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기존의 강의계획서 개념을 뛰어 넘는 교수자의 교수포트폴리오와 더불어 학습자에 의해 작성되는 학습포트폴리오가 교육의 질을 높이는 필수 요소임을 파악하고 강조하였다.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교육 연구 (A Study on Object-Oriented Programming Education for Improving Logic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경모;홍태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67-373
    • /
    • 2009
  •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는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한다. 기존의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BASIC, C와 같은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JAVA와 같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한 교육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 중립적이며, 분산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JAVA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활용하도록 하였다. OOP/JAVA 학습 시스템을 통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교육은 초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수학, 과학 과목의 학습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컴퓨터에 대한 흥미도가 상승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주제기반 모바일 웹 콘텐츠 적응화 (Topic-Specific Mobile Web Contents Adaptation)

  • 이은실;강진범;최중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6호
    • /
    • pp.539-548
    • /
    • 2007
  • 모바일 콘텐츠 적응화는 데스크탑 PC 용으로 제작되고 표현된 웹 콘텐츠를 크기와 정보량이 제한된 사용자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표현해주는 적응화 기술을 말한다. 기존의 웹 콘텐츠 적응화 방법은 대부분 장치 의존적인 접근 방법을 취했다. 또한 소형 장치에 맞게 콘텐츠를 변환하는 작업이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졌고 콘텐츠와 연관된 문맥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 이 외에도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지 못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모바일 콘텐츠 적응화 방법은 범용성, 확장성, 사용자 적응성에 문제가 있었고, 그 결과 사용자는 방대한 양의 콘텐츠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새로운 웹 콘텐츠 적응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특징은 모바일 디바이스 적응화와 사용자 적응화를 동시에 적용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적응화를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 콘텐츠 적응화 과정을 블록 필터링, 블록 제목 추출, 블록 콘텐츠 요약, 학습을 통한 개인화 등의 4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웹페이지를 블록 단위로 나눠서 불필요한 블록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 블록만을 선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나타내며,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정보를 정보목록의 상위에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선호정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라인 뉴스사이트를 서점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모바일 웹 콘텐츠 적응화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디바이스 적응화와 사용자 적응화 모두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학습자원 메타데이터 응용표준 프로파일 (Application Profile for Multi-Cultural Content Based on KS X 7006 Metadata for Learning Resources)

  • 조용상;우지륭;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91-105
    • /
    • 2017
  • 한국은 최근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해 가고 있으며, 2015년 기준 다문화 가족수는 전체 인구의 3.5%, 8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또한, 2016년 기준 국제결혼비율이 10%를 넘어서고 있어 다문화 가족수는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결혼이주여성들과 다문화 가족 구성원들의 필요와 선호에 맞춘 학습자원과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메타데이터 표준 프로파일을 설계한 것이다. 연구 추진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소비자 집단을 선별하여 심층인터뷰를 가졌으며, 메타데이터 표준 프로파일 설계를 위해 공적 표준으로 채택된 관련 국제표준과 한국의 국가표준 시리즈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콘텐츠 특성을 분석하여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선별하여 프로파일로 구성하였으며, 콘텐츠 제작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필수와 선택 조건들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교육 수요를 분석하여, 한-한 변환 시스템, 맞춤형 학습콘텐츠 추천 서비스,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등 효과적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으로 기반을 조성했다는 점과 향후 교육과정의 주제별 서비스를 위해서도 자원이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웹기반 로봇 원격 교육시스템 (A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for Robotics)

  • 홍순혁;전재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7호
    • /
    • pp.583-589
    • /
    • 2004
  • 로봇 관련 강의에서 여러 가지 개념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가 아직 부족하고, 한정된 기자재로 인하여 로봇을 이용한 실험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3차원 로봇 시뮬레이터로 구성된 웹기반 로봇 원격 교육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학생은 웹상에 구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로봇과 관련된 개념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3차원 로봇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로봇 실험 및 실제 로봇과의 연동 실험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학습을 위한 평가시스템 설계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Mastery Learning)

  • 박재현;박덕원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81-490
    • /
    • 2004
  •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교육활동은 입시준비와 관련되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은 입시준비를 위한 평가가 아니라 진정한 의미의 학업성취도의 평가분석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미리 결정한 후 학습을 진행하게 하는 방법을 지향하고, 학습한 후 학생 스스로가 평가를 통해 자신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고, 다양한 평가분석을 통해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하위 과정의 학습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평가 본래의 목적에 맞게 학습자의 학습 곤란 및 결손을 적절한 시기에 밝혀주고 이를 교정하고 보충할 수 있는 진단평가와 함께 주어진 학습 과제에 대하여 어느 정도로 학습목표를 달성하였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형성평가로 크게 나누어서 각 평가 유형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과 함께 상호 작용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학습자 중심의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웹기반 사이버 강의의 영향 요인 분석 연구 (Influencing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Cyber Education)

  • 이석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35-242
    • /
    • 2005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사이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그 특성을 고찰하고 사이버교육의 평가준거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교육효과 관련 변인들을 선정하였다. 연구 모형은 체제론에 입각한 투입-과정-산출 모형을 적용하여 투입변인은 교수, 학생, 학습 환경이고, 과정변인은 교육내용, 상호작용, 강의참여이며, 산출변인은 교육효과성과 교육만족도로 하였다. 분석은 투입-과정-산출과정에서 관련 변인들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실제 사이버교육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이버강의에 참여하고 있는 1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사이버교육에 참여한 시간이 많거나 성적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효과에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둘째, 사이버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처음에는 교수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사이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생들의 강의참여가 중요하다.

  • PDF

일터 내 자기주도학습과 한국의 노동교육: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대한 함의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 오정록;박조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1-1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을 탐색하고 한국의 노동교육을 고찰하여,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관한 주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한국의 노동교육과 이와 관련된 법제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면밀하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인적자원개발뿐만 아니라 성인교육 및 평생학습의 관점에서도 함께 이루어졌다. 세 번째로 이와 같은 종합적인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근로자 주도의 노동교육에 가지는 시사점을 한국의 노동조합교육 법제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화가 이루어질 경우 산업민주화를 위한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에서 근로자의 노동조합교육 참여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의 노동조합교육은 적절한 법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제공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 Machine-Learning Based Approach for Extracting Logical Structure of a Styled Document

  • Kim, Tae-young;Kim, Suntae;Choi, Sangchul;Kim, Jeong-Ah;Choi, Jae-Young;Ko, Jong-Won;Lee, Jee-Huong;Cho, Youngwh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1043-1056
    • /
    • 2017
  • A styled document is a document that contains diverse decorating functions such as different font, colors, tables and images generally authored in a word processor (e.g., MS-WORD, Open Office). Compared to a plain-text document, a styled document enables a human to easily recognize a logical structure such as section, subsection and contents of a document. However, it is difficult for a computer to recognize the structure if a writer does not explicitly specify a type of an element by using the styling functions of a word processor. It is one of the obstacles to enhance document version management systems because they currently manage the document with a file as a unit, not the document elements as a management unit. This paper proposes a machine learning based approach to analyzing the logical structure of a styled document composing of sections, subsections and contents. We first suggest a feature vector for characterizing document elements from a styled document, composing of eight features such as font size, indentation and period, each of which is a frequently discovered item in a styled document. Then, we trained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such as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using the suggested feature vector. The trained classifiers are used to automatically identify logical structure of a styled document. Our experiment obtained 92.78% of precision and 94.02% of recall for analyzing the logical structure of 50 styled documents.

창의공학설계 교과에서 PBL을 위한 문제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f Problem Design for PBL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Subject)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242-52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BL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인 문제개발의 절차를 구체화하고, 창의공학설계 교과목 교육 내용을 토대로 PBL 학습에 필요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좋은 문제를 개발하기 위한 PBL 문제 개발 절차는 교육 내용 선택하기, 학습자 특성 파악하기, 문제 발견하기, 역할과 상황 설정하기, 문제 작성하기로 요약 할 수 있다. 위의 문제 개발 절차에 따라서 창의공학설계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토대로 PBL이 적합한 4개의 통합 문제를 개발하였다. 현재의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일제학습이 아닌 PBL을 통해서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창의공학 설계 수업을 위한 PBL 문제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PBL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 많은 강의 현장에 적용해 보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