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 participation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5초

공학교육에서 학습자 질문 촉진을 위한 온라인 소통 창구의 활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Channels to Promote Learner Ques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 홍수민;유재혁;김한휘;임영섭;임철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21
    • /
    • 2023
  • In engineering education, stimulating students' questions and encouraging learning participation are crucial for achieving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and effect of an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in fostering engineering students' questioning abilities.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we gaug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an engineering class that implemented a communication channel, and scrutinize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questions,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and their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we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 satisfaction improved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s class w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was not utilized. Secondly,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asking questions positively escalated, alongside their actual frequency of posing questions. Thirdly, there was an improvement in learners' active engagement in their studies and their academic self-confiden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communication channels should be employed to motivate learners to pose questions and involve students in effective learning.

예비 영어교사 주도에 의한 영미시 평가표 제작 및 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Engag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he rubric development and the evaluation of a creative English poetry)

  • 이호;전소연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339-356
    • /
    • 2011
  •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a rubric and examined evaluation of their own English poetry. The current study would investigate: 1)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erception as a rubric developer and self-evaluator, 2) the number of analytic area that the participants included in their rubrics and the scoring scheme that they designed in their rubrics, and 3) the inter-rater differences between self-assessemnt and expert-assessment across analytic areas. Twenty-four EFL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learners' own English poetry, their field notes which contained the process of their writing, their rubrics, scores of self-assessment, and expert raters'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learner-directed assessment, that 'content' is the most important area, and that inter-rater difference is small across all analytic areas.

  • PDF

e-Learning 2.0 환경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 (A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f the Learner center e-Learning 2.0 Environment)

  • 성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87-690
    • /
    • 2007
  • 최근 웹2.0기술의 보급 확대로 개방과 참여, 공유를 의미하는 블로그, UCC 등과 함께 2.0시리즈가 대중화되고 있다. 그동안의 e-Learning이 강사주도형, 지식전달형으로 많이 치우쳐 이러닝에 학습자들의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었던 반면, 웹2.0기술을 활용한 e-Learning 2.0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e-Learning도 웹2.0을 잘 적용해 학습자들의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이러닝 2.0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e-Learning 2.0은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학습방법이나 노하우, 정보, 요약 노트를 주고받으면서 획기적으로 공부의 효율성을 서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참여동기와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박혜진;차승봉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ok the initiative in team formation, learning topic selection, learning planning and execution, and reflection. Collaborative learning was operated as an extracurricular program,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who finally completed all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al-oriente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Seco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Interpreting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judged that the higher the goal-oriente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f students who performed collaborative 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share knowledge, skills, and information they know. This study explored the outcomes of collaborative learning conduct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is meaningful that the learner'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hich can be expressed in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s,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which is a necessary behavior for group performance, is significant.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의 관점에서 초중등 교사와 학생이 본 현행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view of learner-centered classroom)

  • 윤은정;권성기;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404-417
    • /
    • 2015
  •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 시간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로 교과서를 꼽고, 현행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한 뒤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을 위해 과학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현재 과학 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 99명과 학생 8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들은 현재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으로 설명이 부족하고, 어려운 단어가 많으며, 문장이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고, 재미가 없다 등을 꼽았고, 과학 교사들은 학습 분량이 많고, 지식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실생활 연계가 부족하고, 스토리가 없는 등의 문제점을 꼽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과학 교과서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생 활동을 늘이며,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어나 문장을 구사하고, 스토리를 강화하고, 학생들이 자신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Study about Smart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 기은정;서동희;정순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519-5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교육에서 교수학습전략으로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을 도입하기 위한 융합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유사실험연구로 G시 소재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2018년 3월 2일부터 6월 8일까지 실험군 86명, 대조군 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과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 참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65, p=.288), 학업적 자기 효능감(t=2.668, p=.008)과 과제가치(t=2.070, p=.04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이 교수학습전략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러닝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른 EngageGram이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gageGram on e-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Social Comparison Motive)

  • 진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52-661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라 이러닝 참여도 동기부여자인 EngageGram이 학습자들의 이러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A대학교 '창의적 사고' 교과목을 수강한 144명(남: 106명, 여: 38명)이다.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는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하는 방법과 학습자들이 이러닝 학습상황에서 EngageGram을 보고 든 느낌이나 생각을 적도록 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비교동기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한 경우,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수준과 이러닝 참여도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닝 학습맥락에서 수집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도출한 사회비교유형에 따른 이러닝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학습상황에서 대체로 자기보다 참여도가 높은 학습자들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참여동기가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분석연구 분야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on the sociocultural approaches to science learning identity for the realiza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All')

  • 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7-2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를 포용한다는 것은 과학 학습 참여와 소외 현상에 작동하는 사회문화적 기제를 분석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으로 수행된 해외 학술지 논문 85편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 결과는 먼저 연도별, 국가별 출판 수와 같은 기본적인 현황과 함께 연구 대상으로 삼은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 연구 맥락(상황), 연구 방법에 대한 범주별 현황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주요 연구 문제와 주제에 대한 이론적 틀과 구체적인 연구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해당 연구 주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분야 연구는 과학 학습을 공동체에서 참여함으로써 정체성을 발달해가는 과정으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학습자가 지닌 다양한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학습에 긍정적인 자원으로 바라보고자 하며, 이를 억압하는 과학수업의 문화나 사회에서의 담론을 비판함으로써 과학 학습에 있어 정당한 학습자(legitimate learner)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기여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들은 특히 과학교육에서 공정성(equity) 이슈를 강조하며, 전통적인 과학수업에서 소외되어 온 다양한 학습자들을 포용하고 행위주체성의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과학 학습의 참여와 소외 현상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기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고 이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의무기록정보관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 적용 및 효과 (Trials and Effects of A Learner-centered Creative Training Technique on Undergraduate Education of Medical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 전진호;유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277-288
    • /
    • 2014
  • 의무기록정보관리학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학습동기 고취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 일개 대학의 의무기록정보관리학 과목을 수강하는 보건행정과 1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총 12주간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써 학습자들이 인지한 창의적 교수법의 효과는 참여 증대(4.03)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집중력 향상(4.00), 이해력 증대(3.97) 등의 순이었다. 창의적 교수법에서 사용한 도구의 효과는 2인 1조 팀 구성 방식(4.08)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입체교구 활용(4.03), 퀴즈카드(3.95) 등의 순이었다. 창의적 교수법 운영에서는 강의 시작할 때와 마칠 때 학습 내용을 반복해서 알려주는 방식(4.00)이 가장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었다. 결론적으로, 의무기록정보관리학 수업에서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교수법 활용은 수업 참여도와 집중도, 이해력 향상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 연구의 창의적 교수법과 같은 교수와 학생 모두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지원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권장한다.

학습자중심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학습정보를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information design of online dashboard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 임규연;은주희;정윤주;박하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50
    • /
    • 2018
  •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 온라인 대시보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점검, 재구성하는 학습자 중심의 과정을 지원한다. 이때 대시보드 상의 학습정보는 집약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춤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시보드가 어떠한 핵심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대시보드 사례 그리고 학습자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범주화한 결과, 학습준비, 학습참여, 상호작용, 학습성과의 4가지 정보유형 및 11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의 온라인 대시보드 설계 및 구조화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