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

검색결과 2,026건 처리시간 0.026초

e-Learning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자의 얼굴 표정 분석 (Analyzing facial expression of a learner in e-Learning system)

  • 박정현;정상목;이완복;송기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63
    • /
    • 2006
  • e-Learning에서 교수 시스템이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흥미도, 관심도 또는 각성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학습자의 정서 상태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면 학습자가 지루해 할 때 학습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요소를 피드백 해줄 수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거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경우 학습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도움내용을 처치하는 등의 적응적 교수 시스템(adaptive tutoring system)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의 표정 인식 분야는 대부분 성인의 얼굴표정을 대상으로 하여 일상적인 감정인 분노, 혐오, 공포, 슬픔, 놀라움, 기쁨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상적인 표정들은 e-Learning 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감정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표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e-Learning에서 학습자가 어떤 표정을 짓는지를 먼저 연구하여 다양한 표정사진을 충분히 취득한 후에 각 표정사진의 감정상태가 무엇인지를 밝혀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표정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로 e-Learning에서 학습자가 나타내는 감정과 그 감정에 따른 표정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찾아내고 그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 PDF

초등 과학수업을 위한 캐릭터 기반의 대화형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Character-based Conversational Instruction-Learning System Design for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 정상목;송기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43-352
    • /
    • 2005
  • 기존의 초등과학 CAI나 웹기반 학습시스템의 문제점은 교수자의 학습 설계에 따라 획일적인 코스로 구성되어 있고 개인의 학습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설계되었으며 학습도중에 발생되는 학습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시스템에 반영 할 수 없어 학습 참여의욕과 학습 동기유발을 떨어뜨려 학습 효율을 높이지 못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참여와 학습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캐릭터 교사와 학습자의 대화를 통해 적극적인 학습참여의 기회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학습 흥미와 동기유발을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시해 주는 캐릭터 기반의 대화형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CAI 에서 학습자의 통제 소재와 학습 주도권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er's Locus of Control and Types of Learning Control on Academic Achievement in CAl)

  • 백미숙;이성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5-76
    • /
    • 2001
  • 본 논문은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관련하여 CAI의 학습효과를 검사하고,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학습주도권이 상호관련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은 전남 여수 J중학교 1학년 4개반 1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일차적으로 통제소재 검사를 실시하여 내적 외적 통제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집단에 대해 교사 주도형 CAI와 학습자 주도형 CAI로 수업을 실시하여 통제소재에 따른 학업 성취를 조사하였으며 집단간 차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데 ANOVA 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CAI학습결과로서 내적 통제자집단의 학업 성취가 외적 통제자집단에 비해 높았다. 둘째, 학습자 주도형 CAI학습집단이 교사 주도형 CAI학습 집단보다 학업 성취가 높았다. 셋째,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CAI의 학습주도권형에 따른 학업성취에는 상호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 PDF

중학교 지구과학 영역에서 POE 수업모형 적용의 효과 (The Effects of POE Model in the Earth Science Unit of Middle School)

  • 이은주;최성봉;김상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4
    • /
    • 200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y effect of a POE model in the earth science unit of middle school(POE: 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So this report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 that POE class and teacher-oriented class have on the level of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wo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66 students and 64 students of middle school 2rd grade in Gyeongsangnamdo for this study,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rough the pretest, the level of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And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verifi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finding out the effect of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on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the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was shown effective for improving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However, the POE class was found significantly effective for improving the sub-factors of operationally defining, designing investigations, graphing and interpreting data, but not effective for identifying and stating hypothesis, identifying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finding out the effect of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on learne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e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was shown effective for learne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 PDF

사이버 교육 시스템에서의 개별학습을 위한 적응적 탐색 지원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Navigation Support Technology for Individualized Cyber Learning System)

  • 박종선;김기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5-9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는 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학습자 특성 분석 및 프로파일 관리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특성요인으로서는 개인신상정보, 학습성취도 정보, 학습 특성 및 수행성과 포트폴리오 정보 등이며 이를 학습자 프로파일 관리 DB에서 학습자 특성에 대한 정교한 분석을 기반으로 관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구조화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High level & Low level 구조화 기법을 활용하고, 학습 주제와 세부 학습과제로 계열화하여 학습내용을 정교하게 구성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적응적 탐색지원과 규칙기반 기법을 활용한 조언 알고리듬 모듈을 구현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교육용컨텐츠를 다양한 매체로 학습할 때 학습자 개개인의 개별학습을 위주로 한 자기주도학습을 구현하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에 기초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The Interface Design and Development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 and Usability)

  • 백수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49-160
    • /
    • 2005
  • 본 연구는 e-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전략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호작용성과 상용편이성을 고려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를 구현한 것이다. 상호작용유형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1) 학습자와 교수자 (2) 학습자와 학습자 (3) 학습자와 학습컨텐츠 (4) 학습자와 학습운영시스템으로 나눈다. 학습운영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촉진될 수 있도록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 설계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을 설정하여 구현한다. 학습컨텐츠는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기초로 단순한 네비게이션, 일관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연결성, 사용자 지원, 즉각적 피드백이라는 여섯 가지 인터페이스 전략을 기초로 학습자의 사용편이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현한다. 본 연구개발은 학습운영시스템의 자기 주도적 기능을 보완하고 그러한 기능들을 학습컨텐츠와 연결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을 개선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e-러닝 학습 환경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Learner Satisfaction in Real-time Distance Video Lecture

  • Noh, Young;Lee, Kyeong-K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99-307
    • /
    • 2021
  • COVID-19 대유행이 전 세계로 확산됨에 따라 실시간 원격 화상 강의가 진행되면서 학습자만족 요인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실시간 원격 화상강의의 학습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5개요인(시스템 요인, 콘텐츠 품질,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학습동기)을 검증하였다. 수도권과 충청권 대학생의 유효 설문지 160개를 대상으로 구조적 방정식 모델을 분석한 결과 2개요인(시스템 요인, 콘텐츠 품질)을 제외한 3개요인(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학습동기)이 학습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은 실시간 원격 화상 강의 만족도 모델 개발과 평가를 통해 학습자만족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

맞춤형 영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콘텐츠 기반 분석 기법 (Analysis technique to support personalized English education based on contents)

  • 정우성;이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5-65
    • /
    • 2022
  • 인터넷 기술과 모바일 등의 기기 발전으로 교육환경도 전통적이고 수동적인 방식에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별 맞춤 교육의 역할도 커지고 있으며, 이에는 개별 학습자의 프로파일 구축이 중요하다. 기존의 ICT 기반 맞춤형 영어 교육의 다수는 어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학습 콘텐츠에 대한 분석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밀하게 사용자의 학습상태를 정의하기 위하여 단어와 문법을 대상으로 학습 상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학습자가 특정 콘텐츠에 얼마나 익숙한지를 알려주는 콘텐츠에 대한 숙련도 메트릭을 정의하였다. 이후 실제 영문 에세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전학습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숙련도를 결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평가 에세이 데이터에 대하여 적용성이 있음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기법은 학습상황에 대하여 통계치나 그래프를 제공하고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학습자료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 중심 체육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의미구성과 실천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aning Construction and Practice of Learn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 김승용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95-103
    • /
    • 2024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체육교육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과 신념을 살펴보고 체육교육과정을 실천하는 현장 속에서 나타나는 체육교사들의 이야기에 대해 질적 탐구를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개별 면담, 집단 면담 및 메타포 기록을 통해 자료의 수집 및 기록이 이루어졌으며 영역분석 및 분류분석의 방법을 통해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는 학습자 중심 체육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의미구성과 관련하여 '학습자 집중', '전체적 개발', 학습 평가'로 나눠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 체육교육의 실천 및 그 한계에 대해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체육교육의 전체적인 발달에는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생의 발전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개인으로서의 발전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프로젝트기반 학습과 웹 융합 의사소통 유형별 학습자 상호작용 (Project-based Learning and Learner Interaction by Web Convergency Communication Types)

  • 신명희;최도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 상호 작용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했다. 학습자 상호 작용의 경우, 학습의 장(場), 즉 다양한 기술 환경 속에서의 학습자 의사소통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3시간 교양영어 수강생 80명을 대상으로 카카오 톡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 상호 작용의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은 카카오 톡 활용 그룹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 그룹 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 2)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학업 성취도 모두 카카오 토크 활용 그룹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요즘 학생들에게 Kakao talk은 학습활동의 문제 해결 및 소통, 자료의 업로드 및 공유의 가장 좋은 환경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