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cy Time

검색결과 986건 처리시간 0.03초

Reducing the Flow Completion Time for Multipath TCP

  • Heo, GeonYeong;Yoo, Jo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8호
    • /
    • pp.3900-3916
    • /
    • 2019
  • The modern mobile devices are typically equipped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e.g., 4G LTE, Wi-Fi, Bluetooth, but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CP can support only a single path at the same time. The Multipath TCP (MPTCP) leverages the multipath feature and provides (i) robust connection by utilizing another interface if the current connection is lost and (ii) higher throughput than single path TCP by simultaneously leveraging multiple network paths. However, if the performance between the multiple paths are significantly diverse, the receiver may have to wait for packets from the slower path, causing reordering and buffering problems. To solve this problem, previous MPTCP schedulers mainly focused on predicting the latency of the path beforehand. Recent studies, however, have shown that the path latency varies by a large margin over time, thus the MPTCP scheduler may wrongly predict the path latency, causing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PTCP scheduler called, choose fastest subflow (CFS) scheduler to solve this problem. Rather than predicting the path latency, CFS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aths to reduce the overall flow completion time by redundantly sending the last part of the flow to both paths. We compare the performance through real testbed experiments that implements CF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both synthetic packet generation and actual Web page requests, show that CFS consistently outperforms the previous proposals in all cases.

FPGA-based Hardware Prediction Rendering for Low-Latency Touch Platform

  • Song, Seok Bin;Kim, Jin Heo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5권1호
    • /
    • pp.59-62
    • /
    • 2018
  • The delay between input action and visual interface feedback ("Latency") in a touchscreen inking task reduces the user's performance. When the latency is less than 2.38ms, the user cannot perceive the latency in dragging task. This value is difficult to achieve on recent touchscreens and general purpose computers. So, methods of predicting touch points to reduce perceptible latency has been proposed. In general, touch points prediction is not perfect. When using point prediction, feedback of the predicted points is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a while, erased when the actual points are displayed. When this task is implemented by software, it causes additional latency to work to erase predicted points feedback. It therefore propose a platform for rendering point prediction feedback without additional latency by the FPGA. This platform transmits input points and HDMI signals rendering feedback of input points to the FPGA. The FPGA draws the feedback of points predicted based on the input points on the HDMI and displays the screen. Since hardware rendering changes the HDMI signal every frame, it does not require erasing work and rendering can be done within an early tim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endering, so we will reduce the latency.

유발전위 뇌파 신호의 추출을 위한 구간 래이턴스 교정 평균가산 (Segments latency corrected average for evoked potentials)

  • 이용희;이두수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0호
    • /
    • pp.89-97
    • /
    • 1997
  • To extract time-varying evoked potential (EP), segement latency corrected average method is presented. This method is composed of three steps. First, adaptive filtering for reducing the effect of artifacts and removing background noise is performed. Next, validated intervals of individual segments are aligned, and latency components are detected by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previously obtained and measured EPs within the intervals. Finally, after the detected latency component, responses of segments are groupe and averaged, the shole corrected EP signal is obtained. In the experiments, the resutl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including simple averaging, Woody's method, and peak component latency corrected averaging are obtaine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e present method for evaluating performance. Therefore, the presented method confirms that it reflects the latency variations of fundamental peaks and gets the improved EP.

  • PDF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한 RFID 네트워크 에이전트 기반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방안 (RFID Agent based User Mobility Support Mechanism for Secure Information Transmission)

  • 윤동근;서창호;최성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45-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한 RFID 네트워크 에이전트 기반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방안을 제안한다. RFID 태그를 지닌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으며 이동하는 경우, 계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이동성이 지원되어야 하며,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가 있지만 핸드오버 지연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제안 방안과 기존 연구의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비교하였다. 또한, 큐잉 이론을 기반으로 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제안 방안의 핸드 오버 지연 시간이 기존 연구보다 적음을 확인하였으며, 제안 방안이 기존 연구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시-주파수 분석법을 이용한 시각자극 유발전위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Visual Evoked Potentials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 홍석균;성홍모;윤영로;윤형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9-267
    • /
    • 2001
  • The visual evoked potentials(VEPs) is used to assist in the diagnosis of specific disorders associated with involvement of the sensory visual pathways. The P100 latency is an important parameter which is diagnosis of optic nerve disorders.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latency delay, wave distortion, amplitude deduction in abnormal subjects. It is difficult to diagnose in the case of producing peak at the P100 latency. In this paper, difference of pattern between normal VEPs and abnormal VEPs using the Choi-Williams distribution method is studied. We observed the relationship about time and spectrum. The result shown that normal VEPs had maximum spectral value at 20Hz~26.7Hz and abnormal VEPs had maximum spectral value at 16.7Hz~20Hz. Also normal VEPs spectrum is higher than abnormal VEPs spectrum.

  • PDF

클라우드 환경에서 주식 체결 시스템의 저지연 극복에 관한 연구 (Study on Low-Latency overcome of Stock Trading system in Cloud)

  • 김근희;문석재;윤창표;이대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658-2663
    • /
    • 2014
  • 증권 시스템의 저지연(Low Latency)을 최소화하고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술(Socket Direct Protocol, TCP/IP Offload Engine)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고가의 네트워크 장비 지원으로는 속도 개선에 한계가 있으며, 도입 효과 또한 낮은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주식 체결 시스템의 저지연 극복을 위한 SPT(Safe Proper Time) 전송 방식을 제안한다. 이 제안 기법은 커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CPU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CPI(Cycle Per Instruction)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전송의 적시성을 만족하는 전송 방식이다.

사용자 수 증대와 초기 대기시간 감소를 위한 비디오 저장 서버의 설계 (Design of a Vido Storage Server that Maximizes Concurrent Streams and Minimizes Initial Latency)

  • 마평수;조창식;진윤숙;신규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608-2617
    • /
    • 1999
  •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수의 증대와 초기 대기시간의 감소는 비디오 저장 서버가 상용 서비스에 사용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스트라이핑 방법에 비하여 각 디스크에서 읽어오는 데이터의 크기가 2배가 될 수 있는 데이터 배치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은 디스크의 회전 대기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작아지도록 하므로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되어 사용자 수가 크게 증대되는 성능의 향상을 보인다. 또한 초기 대기시간이 일정 시간을 넘지 않도록 하는 디스크 스케쥴링 방법을 제안하였고, 허용 가능한 초기 대기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저장 서버의 순차적인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구현 사례와 기존의 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우수한 성능 향상이 있음을 보인다.

  • PDF

SMP 가상 머신의 I/O 지연 시간 감소를 위한 이벤트 라우팅 기법 (Event Routing Scheme to Improve I/O Latency of SMP VM)

  • 신정섭;김학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322-1331
    • /
    • 2015
  • vCPU(virtual CPU)는 하이퍼바이저 스케줄러에 의해서 실행 상태와 정지 상태를 반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정지 상태인 vCPU에게 전달된 이벤트는 vCPU가 실행 상태가 될 때까지 처리되지 못하고 지연 된다. 이러한 이벤트 지연 현상은 I/O 지연 현상으로 나타난다. SMP(symmetric multiprocessing) 가상 머신은 다수의 vCPU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벤트를 어느 vCPU에게 전달하는지에 따라 SMP 가상 머신의 이벤트 지연 시간이 달라 질 수 있다. SMP 가상 머신의 이벤트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각 vCPU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이벤트를 전달하는 새로운 기법인 이벤트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이벤트 라우팅 기법을 Xen ARM 하이퍼바이저에 적용하였고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네트워크 RTT(round trip time)와 TCP 대역폭 측정을 통해 I/O 지연 시간 감소를 확인하였다. 기존 Xen ARM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RTT는 최대 94% 감소하였고, TCP 대역폭은 최대 35% 증가하였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웹 객체의 평균 전송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해석적 모델 (Analytical model for mean web object transfer latency estimation in the narrowband IoT environment)

  • 이용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4
    • /
    • 2015
  • 본 논문은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의 슬로우-스타트 단계에서 웹 객체의 평균전송 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제안한다. 평균 지연은 네트워크의 종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서비스 품질이다. 제안하는 모델의 적용대상은 작은 윈도우 크기로 인해 패킷손실이 슬로우-스타트 구간에서만 발생하는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와 대역폭이 작은 사물 인터넷을 대상으로 한다. 모델은 초기 윈도우 크기와 패킷 손실률을 고려하여 지연시간을 구한다. 제안한 모델은 주어진 패킷손실에 대해 라운드 트립 타임과 초기 윈도우 크기에 따라 주로 영향을 받게 되며, 종단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요구하는 응답시간을 추정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선형예측부호화 스펙트럼을 이용한 유발이음청 방재파의 잠시측정 (Mesurement of Evoked Otoacoustic Emission Latency Using Linear Prediction Coding Spectrum)

  • 안정일;최진영;이건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5-190
    • /
    • 1991
  • An automatized latency calculation method of an e-OAE(evoked otacoustic emission) is proposed. The e-OAE signal measured from a normal adult is averaged 1000 times to remove noises. This averaged signal is converted to digital signal and that is processed by IBM-AT computer for latency calculation. we separate the stimulated and the emitted signal on the time domain by a modified LPC (linear prediction coding) spectrum, and the latency is calculated by cross-correlation method. By proposed latency calculation method the latency is 7.9[ms] for normal adul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also compared with that of the auto-correlation and cross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also compared with that of the auto-correlation and cross-correlation method. The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same precisi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can automatically calculate latency without subjective obser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