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Turnover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69초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Regional General Hospital)

  • 정연희;이창숙;최하나;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08-719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 노동과 직무만족, 그에 따른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감정노동 수준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면서도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하여 질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D시에 소재하는 종합병원에 간호사 중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 100명을 편의 추출하여 2015년 4월 6일부터 4월 12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감정노동 평균 점수는 $3.37{\pm}.85$, 직무만족 평균 $2.86{\pm}.66$, 이직의도 평균 $3.47{\pm}.87$로 측정되었고, 감정노동은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r=-.56, p<.001), 이직의도와는 양의 상관관계(r=.67, p<.001)를 보였으며,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와 음의 상관관계(r=-.64, p<.001)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병원 조직에서 중요한 위치인 간호사의 감정노동 수준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 검토가 요구되며, 또한 간호사 사기를 충족시켜 질 높은 간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근본적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Emotional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 정경이;한옥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0-28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광주지역의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를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경우 4년제졸업 및 대학원 이상이 3.72,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3.85로, 월 소득 수준은 200만원 미만이 3.76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정소진에서는 연령에서, 이직의도는 연령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에, 치과병원에서 근무한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은 감정소진(r=0.280, p<0.01)과 이직의도(r=0.194,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감정소진은 이직의도(r=0.359,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 5일제 근무를 안 하는 경우, 감정소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감정노동을 완화 및 관리하기 위한 개인 및 조직적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 윤순철;권수혜;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28-440
    • /
    • 2016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며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B광역시와 G도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0명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정노동(r=.372, p<.001), 직무스트레스(r=.471, p<.001), 소진(r=.41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beta}=.29$, p<.001), 소진(${\beta}=.24$, p<.001), 취업형태(${\beta}=.19$, p<.001), 감정노동(${\beta}=.16$, p=.017)으로 확인되었고, 이 변인들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총 32.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근무환경 개선 및 명확한 직무기술이 요구되며, 소진 및 감정노동의 경감을 위한 적극적인 심리사회적 중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 역할갈등, 호혜성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Role Conflict, and Reciprocity)

  • 이수진;김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67-4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역할갈등, 호혜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및 M시 소재 13개 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209명이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모델은 이직의도의 52.9%를 설명하였고(F=14.458, p<.001),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감정노동(β=.311)이었고, 호혜성, 역할갈등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과정 중 경험하는 다양한 사례에서 간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와 지침 마련이 필요하며, 우호적이고 평등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의 꾸준한 시행이 필요하다.

호텔 및 외식기업 조리사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 및 이직의도간의 영향 관계; 조리접점서비스를 중심으로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tel and Foodservice Culinary Employees; Focusing on the Culinary-related Service)

  • 나영선;조성호;이오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04-1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이직의도 및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가 이직 의도와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외식업 및 호텔에 유용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높아질수록 감정대한 지각수준이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 가설은 감정노동의 하위차원 즉 표현행위, 심층행위, 감정일탈이 높아질수록 감정부조화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발적 행위가 높아질수록 감정부조화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부조화에 대한 소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조리 종사자들은 감정부조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소진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리종사자들의 감정부조화에 대한 이직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감정부조화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직에 대한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콜센터 근로자의 감정노동, 스트레스반응 및 이직의도에 관한 융합적인 연구 (Convergence Study on Emotional Labor, Stress Respons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center Worker)

  • 김정임;최보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39-14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콜센터 근로자들의 일반적특성 및 업무관련특성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감정노동 수준, 스트레스반응 수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한국의 정보통신업체인 K사의 콜센터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7월15일부터 8월31일까지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사후검정으로 Tukey 분석법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감정노동수준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반응의 하부요인들인 신체화, 우울, 분노는 높아지고 이는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콜센터 근로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하여 감정노동 수준을 줄여주고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개인-조직 적합성과 감정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Personal - Organizational Fit and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Geriatric Hospitals)

  • 박미경;김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03-313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인력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 27일부터 10월 10일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28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혼자(β=-.106, p=.044), 개인-조직 적합성(β=-.441, p<.001), 감정노동(β=.318, p<.001)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세 변수의 설명력은 47.7%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조직에 적응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마련하고, 감정노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 최우정;조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73-379
    • /
    • 2022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G광역시에 소재한 100~3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 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도 8월 1일~20일까지였다. 연구 결과 조직몰입은 평점 3.19점, 간호근무환경은 평점 2.75점이었고, 감정노동은 평점 3.19점, 이직의도는 평점 3.16점이었다. 연구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조직몰입과 감정노동이었고 설명력은 32.0%였다. 본 연구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Rehabilitation Specialist)

  • 윤예숙;조성열;변용찬;송근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59-5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억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335명의 재활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변수, 직업관련 변수, 폭력 및 차별 경험, 그리고 소진 등의 변수를 통해 교차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6년과 2017년에 실시한 장애인 재활전문가 처우 및 인권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금만족도, 직업자긍심, 그리고 폭력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자긍심과 직무 만족 그리고 장애인 재활전문가가 폭력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직장문화의 조성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권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임금에 대한 만족도 제고와 처우개선뿐만 아니라,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원동원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and Resourcefuln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 강소라;김윤정;서형은;방윤이;이건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02-311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감정 노동과 자원동원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예측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한지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38명이고,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온라인상에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정노동은 연령, 결혼 유무, 직위, 임상 경력, 교대근무에 따라, 자원동원성은 성별과 임상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감정노동(${\beta}=.19$, p=.048), 자원동원성(${\beta}=-.18$, p=.038)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 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7%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원동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 조직 관리차원에서 이를 활용하여 전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면 병원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