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20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35초

Real-Time PCR법과 LC/MS법을 이용한 수계중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방법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Microcystin during Water Treatment Process between Real-Time PCR and LC/MS)

  • 박홍기;정미은;차동진;정은영;빈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01-1206
    • /
    • 2010
  • 현장의 환경 시료를 대상으로 Real-Time PCR법과 LC/MS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방법을 비교 연구하였다. 3종류의 primer쌍을 이용하여 3종의 Microcystis aeruginosa 표준균주를 대상으로 Real-Time PCR법을 실시한 결과 TOX2P/TOX2M primer를 이용한 균주에서만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다. 2009년 6~9월 사이에 남조류가 발생한 상수원수 시료를 정립된 Real-Time PCR법과 기존의 LC/MS법으로 실험한 결과 11개 시료 모두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고, 농도는 5.98~219.0 ${\mu}g/l$ 범위로 조사되었다. 정수처리 공정별 실험에서는 BAC 여과 단계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Real-Time PCR법은 기존의 표준시험방법인 LC/MS법 보다 분석시간을 많이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적인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미국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20년과 '한 책'의 분석 (An Analysis of 'One Book's Selected in Twenty Year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s in the U.S.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5-6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1998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선호도, 분류기호, 주제표목, 발행연도, 장르 등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지향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4월 LC(Library of Congress) 도서센터 웹사이트에 등록된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를 기반으로 전체 선정 책 1,102권 및 단 한 개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책 812권의 LC OPAC 서지레코드 735건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To Kill a Mockingbird 등 선호된 책들의 계속적 영향력과 'The Big Read'를 통한 '한 책'의 수명 연장, 발행 1-2년 된 신간에 대한 선호, LC 분류체계의 P(문학 및 어학) 주제 집중(530권, 72.1%)과 PS(미국문학)의 압도적 중요성(307권, 57.9%), 가정소설, 역사소설, 심리소설 장르의 높은 비중과 43개 장르의 분산, 고유한 주제표목 535개 중 "City and town life"와 "World War, 1939-1945"(8권) 표목의 중요성 및 개별 주제표목들의 다양성, 96개 주제표목 그룹에서 "African American..."(20권)과 "Woman..."(16권)으로 시작하는 그룹의 중요성 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선정 책들의 주제가 통합, 이해, 관용 등에서 인권, 환경, 평화 등으로 변화하고 다양화하는 현황과 추이를 기술하였으나, 책 선정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및 독서운동이 가져온 실제적 변화 등은 다루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LC/MS/MS를 이용한 혈장 중 리도카인의 정량 및 리도카인 패치제의 약물동태학적 평가 (LC/MS/M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Lidocaine in Hairless Rat Plasma and Pharmacokinetic Applications of Lidocaine Patch)

  • 황지연;김철준;신영희
    • 약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58-163
    • /
    • 2012
  • Lidocaine has been studied for many chronic pain conditions, including postherpetic neuralgia (PHN) and recently it has also been increasingly used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In this study, pharmacokinetics of a lidocaine patch was studied in four hairless male rats. The plasma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a validated LC/MS/MS method after applying a $3{\times}2cm^2$ (30mg) patch for 12 hours. From the plasma lidocaine concentration vs time curves, $AUC_{0-20h}$, Cmax, and Tmax of lidocaine patch were $2,926.32{\pm}335.28ng{\cdot}h/ml$, $256.86{\pm}29.63ng/ml$, and $6.00{\pm}2.31h$, respectively.

옥수수 자엽초 생장에서 오옥신과 $Ca^{2+}$ 상호작용 (Interaction of Auxin and $Ca^{2+}$ on Corn Coleoptile Segment Elogation)

  • 엄혜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315-320
    • /
    • 1990
  •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of auxin and Ca2+ on coleoptile segment elongation in seedlings of Zea mays L. Seedlings imbibed and raised either in the presence of 10 mM CaCl2 (HC), or in the absence of Ca2+ (LC) were used. Exposure to 10-5M auxin of coleoptiles from either HC or LC seedlings resulted in strong promotion of elongation. However, longer latent period (90 min) of the auxin effect was observed in HC than in LC seedlings (20 min). The length of latent period observed in HC coleoptiles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CaCl2. The latent period of auxin effect observed in HC seedlings was abolished by pretreatment of the coleoptiles with TMB-8 which inhibits IP3-induced Ca2+ release from the tonoplasts. In segments of LC seedlings, the promotive effect of IAA (10-5M) was abolished by treatment with 5 mM calcium but was reversible upon treatment of the segments with 5 mM EG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auxin on coleoptile elongation is closely related to intracellular Ca2+ level.

  • PDF

GHz용 적층 LC필터의 삽입손실에 대한 Test Board의 영향 (Effect of Test Board on Insertion Loss of GHz Multilayer LC-Filter)

  • 전명표;조정호;김병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8
    • /
    • pp.173-175
    • /
    • 2005
  • The effects of PCB Board on the filter characteristics such as insertion loss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measurement of 5GHz LC filter. Insertion loss measured with PCB Board of Teflon is 0.3 dB lower in comparion with FR-4. The filter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passband were different from the calculated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calculated value, the measured value shows that center frequency is 20MHz lower, passband is narrower and insertion loss is larger. The difference of Insertion loss between Teflon and FR-4 increases with increasing measurement frequency.

  • PDF

Imidacloprid의 아치사량이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a}l$)의 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lethal Doses of Imidacloprid on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Homoptera: Delphacidae))

  • 최병렬;이시우;송유한;한만종;유재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6-62
    • /
    • 2000
  • Imidacloprid의 아치사량 처리에 의한 벼멸구의 배설량, 수명, 산란력 및 기피작용 등의 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midacloprid를 $LD_{10}$, $LD_{50}$ 약량으로 미량국소처리 한 후 벼멸구의 사충율은 처리후 3일부터 사충율이 증가되기 시작하여 4일경에는 90%이상의 사충율을 보였다. $LD_{10}$으로 국소처리를 하였을 경우에 벼멸구의 수명은 16일로 무처리의 16.9일과 차이가 없었으나, $LD_{30}$에서는 13.5일로 수명이 짧아졌다. 일일산란수와 총산란수도 아치사약량 처리시 무처리 보다 40%이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화율도 감소하였다. 관주처리의 경우에는 $LC_{30}$농도에서 성충수명이 무처리보다 50% 줄었으며, 총산란력도 40%이상 감소하였으나, 일일산란수는 무처리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수산란일($NO_{50}$)은 $LC_{10}$, $LC_{30}$에서 각각 7.6일, 5.9일로 산란기간 중 후기에 산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약제처리에 의하여 알의 부화율이 무처리 보다 낮았다. $LD_{10}$으로 미량국소처리 한 후의 벼멸구의 배설량은 105.6 $mm^2$로 무처리의 110.2 $mm^2$와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LD_{30}$ 처리에서는 81.0 $mm^2$로 무처리와 유의차를 보였으며, 배설억제율은 26.5%이었다. $LC_{10}$, $LC_{30}$으로 유묘침지처리를 하였을 경우에는 무처리 대비 배설억제율이 각각 96.4, 98.0%을 보였다. $LC_{10}$, $LC_{30}$의 농도로 관주처리하였을 경우는 배설억제율이 79.5, 96.6%로 강한 흡즙저해작용을 보여 미량국소처리에 의한 접촉독 영향보다는 흡즙에 의한 약액 섭취가 섭식저해작용에 더 많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나 약량이 많을수록 배설량이 적어 흡즙저해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Imidacloprid를 유묘침지처리 후 기피작용을 조사한 결과, 벼멸구의 기피작용은 적었으나 관주처리에서는 처리 후 시간의 변화와 관계없이 $LC_{5}$, $LC_{10}$, $LC_{30}$ 처리에서 모두 약 20%의 기피율을 보였다.

  • PDF

LC15-0133, DPP IV 저해제: 여러 동물 모델에서의 효능 (LC15-0133, a DPP IV Inhibitor: Efficacy in Various Animal Models)

  • 임현주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8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 /
    • pp.5-20
    • /
    • 2008
  • GLP 1 기반의 약(GLP-1 유도체와 DPP IV 저해제)과 인크레틴 유사체는 최근 가장 각광을 받는 2당뇨 치료제 계열 중 하나이다. GLP-1은 위장에서 분비되는 핍타이드 인크레틴 호르몬으로서 췌장으로부터의 당-의존적 인슐린 분비를 증진하고, 위장통과를 지연시키며, 췌장 베타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 DPP IV 저해제는 GLP-1 불활성화시키는 DPP IV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인크레틴처럼 작용한다. LC15-0133은 경쟁적, 가역적 DPP IV 저해제 ($IC_{50}$ = 24 nM, Ki=0.247 nM)이며, DPP II, DPP 8, 엘라스타제, 트릴신, 유로키나제에 비해 DPPIV 에 대한 선택적 억제 효능이 우수하다. LC15-0133 랫과 개에서 긴 반감기와, 우수한 경구흡수율을 보였다. LC15-0133 랫과 개에서 각각 0.1 mg/kg 0.02 mg/kg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50%이상의 혈장 DPP IV 활성 억제효능을 유지하였다. C57BL/6 마우스에서 LC15-013301 경구당부하에 의한 혈당증가를 억제하는 최소유효용량은 0.01 mg/kg, 당에 의한 GLP-1 분비를 증가시키는 최소유효용량은 0.1 mg/kg 이다. Zucker 당뇨 랫에서 LC15-01331의 1개월간의 경구반복투여는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혈중 HbA1c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LC15-0133은 신규의 강력하고, 선택적인 경구 DPP IV 저해제이며, 여러가지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혈당강하효능을 보였다.

  • PDF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13 Ginsenosides by LC-MS/MS and its Application in Diverse Ginseng Extracts

  • Jo, Jung Jae;Cho, Pil Joung;Lee, Sangkyu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9권2호
    • /
    • pp.41-45
    • /
    • 2018
  • Ginseng (Panax ginseng Meyer)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herbal drug in Asian countries. Ginsenosides are major components having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efficacy like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d anti-tumor effects.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components in diverse ginseng products, we developed a new quantitative method using LC-MS/MS for 13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20(S)-Rh1, 20(S)-Rh2, Rg1, 20(S)-Rg3, F1, F2, and compound K. This method was successfully validated for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This quantification method applied in four representative ginseng products; fresh ginseng powder, white ginseng powder, red ginseng extract powder, and red ginseng extract. Here the amounts of the 13 ginsenosides in the various type of ginseng samples could be analyzed simultaneously and expected to be suitable for quality control of ginseng products.

Fruit Mediated Synthesis of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Using Lycium chinense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 Chokkalingam, Mohan;Huo, Yue;Kang, Jong-Pyo;Mathiyalagan, Ramya;Kim, Yoen-Ju;Yang, Deok-Ch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4-94
    • /
    • 2018
  • The gold (LC-AuNPs) and silver (LC-AgNPs) nanoparticles were rapidly synthesized by fruit extract of Lycium chinense within 1.15 and 25 min respectively in an eco-friendly way.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confirmed by relevant surface plasmon resonance peaks for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at 536 and 480 nm, respectively. FE-TEM results revealed that LC-AuNPs were 20-50 nm and LC-AgNPs were 50-100 nm. The maximum distribution of gold, silver elements and the crystallographic nature of synthesized were confirmed using EDX, elemental mapping and XRD. LC-AgNPs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 coli and S. aureus, whereas LC-AuNPs did not show inhibitory activity. The LC-AgNps nanoparticles exhibited significant cytotoxicity to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 line and less cytotoxicity to non-diseased RAW264.7 (murine macrophage) cells whereas LC-AuNps showed minimal toxicity to both cell lines. In-depth research on this rapid, facile and greenery nanoparticles may play a potential role in biomedical applications.

  • PDF

New Classes of LC Resonators for Magnetic Sensor Device Using a Glass-Coated Amorphous CO83.2B3.3Si5.9Mn7.6 Microwire

  • Kim, Yong-Seok;Yu, Seong-Cho;Hwang, Myung-Joo;Lee, Hee-Bok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0권3호
    • /
    • pp.122-127
    • /
    • 2005
  • New classes of LC resonators for micro magnetic sensor device were proposed and fabricated. The first type LC resonator (Type I) consists of a small piece of microwire and two cylindrical electrodes at the end of the microwire without direct contact to its ferromagnetic core. In type I resonator the ferromagnetic core of the microwire and cylindrical electrodes act as an inductor and two capacitors respectively to form a LC circuit. The second type LC resonator (Type II) consists of a solenoidal micro-inductor with a bundle of soft magnetic microwires as a core. The solenoidal micro-inductors fabricated by MEMS technique were $500\sim1,000\;\mu{m}$ in length with $10\sim20$ turns. A capaci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micro-inductor to form a LC circuit. A tiny glass coated $CO_{83.2}B_{3.3}Si_{5.9}Mn_{7.6}$ microwire was fabricated by a glass-coated melt spinning technique. A supergiant magneto-impedance effect was found in a type I resonator as much as 400,000% by precise tuning frequency at around 518.51 MHz. In type II resonator the changes of inductance as a func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 in micro-inductors with properly annealed microwire cores were varied as much as 370%. The phase angle between current and voltage was also strongly dependent on the magnetic field. The drastic increments of magnetoimpedance at near the resonance frequency were observed in both types of LC resonators. Accordingly, the sudden change of the phase angle, as large as $180^{\circ}C$, evidenced the occurrence of the resonance at a given external magnetic field.